
난치성 항암치료제 및 당뇨합병증 치료제 개발업체 압타바이오(대표이사 이수진, 293780)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APX-343A’의 국내 임상 1상에서 환자 투약을 본격적으로 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PX-343A’ 단독투여군과 펨브롤리주맙(키트루다) 병용투여군을 포함해 안전성·내약성 및 초기 항암 효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코호트에서 확보되는 안전성 및 약동학(PK) 데이터는 향후 병용 임상 가속화와 글로벌 개발 전략 수립에 핵심 근거가 될 전망이다.
‘APX-343A’는 암미세환경(TME)에서 암관련섬유아세포(CAF)와 면역억제성 M2 대식세포 간 상호작용을 차단해 면역억제 미세환경을 개선하고, 면역세포의 종양 침투를 촉진하는 기전의 신약이다.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고형암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할 수 있는 기전으로, 특히 CAF를 표적하는 항암제가 아직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압타바이오 관계자는 “첫 번째 코호트의 투약 개시는 ‘APX-343A’ 임상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른 것을 의미한다”며 “안전성 및 PK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내 후속 코호트에 진입하고, 키트루다 병용 임상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토대로 글로벌 파트너링 논의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압타바이오는 지난해 머크(MSD)와 임상시험 협력 및 공급계약(CTCSA)를 체결해 병용 개발 기반을 마련했으며, 올해 AACR·ASCO에서 전임상 및 임상 프로토콜을 공개하고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 지정을 받는 등 글로벌 개발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한국 최초 빅파마 지분 투자, 전례 없는 도약 신호” |
| 2 | 파주시 '바이오클러스터' 도전…성공 조건 ‘병원·데이터·인재·인센티브’ |
| 3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자회사·파트너사 람다바이오,독일 '바이오텍 혁신상' 수상 |
| 4 | 한국비엔씨 "비만치료 후보물질, 체중감소 효과 위고비 '우위' 확인" |
| 5 | 부광약품, 3Q 누적매출 1382억 원…전년比 21.3%↑ |
| 6 | 안국약품,디메디코리아 인수 계약,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성장형 M&A 모델 제시 |
| 7 | 실리콘투는 레드카펫, "K-뷰티 브랜드는 그 위를 걸으라!" |
| 8 | 대한약사회, 의협 총력투쟁 속 성분명 처방 ‘정책 본질 알리기’ 집중 |
| 9 | 코아스템켐온 "뉴로나타-알, 식약처 보완서류 제출 완료" |
| 10 | 에이프로젠, 바이오시밀러·면역항암제 동시 비상…“기다림 결실로”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난치성 항암치료제 및 당뇨합병증 치료제 개발업체 압타바이오(대표이사 이수진, 293780)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APX-343A’의 국내 임상 1상에서 환자 투약을 본격적으로 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PX-343A’ 단독투여군과 펨브롤리주맙(키트루다) 병용투여군을 포함해 안전성·내약성 및 초기 항암 효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코호트에서 확보되는 안전성 및 약동학(PK) 데이터는 향후 병용 임상 가속화와 글로벌 개발 전략 수립에 핵심 근거가 될 전망이다.
‘APX-343A’는 암미세환경(TME)에서 암관련섬유아세포(CAF)와 면역억제성 M2 대식세포 간 상호작용을 차단해 면역억제 미세환경을 개선하고, 면역세포의 종양 침투를 촉진하는 기전의 신약이다.
기존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고형암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할 수 있는 기전으로, 특히 CAF를 표적하는 항암제가 아직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압타바이오 관계자는 “첫 번째 코호트의 투약 개시는 ‘APX-343A’ 임상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른 것을 의미한다”며 “안전성 및 PK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내 후속 코호트에 진입하고, 키트루다 병용 임상도 빠르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토대로 글로벌 파트너링 논의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압타바이오는 지난해 머크(MSD)와 임상시험 협력 및 공급계약(CTCSA)를 체결해 병용 개발 기반을 마련했으며, 올해 AACR·ASCO에서 전임상 및 임상 프로토콜을 공개하고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 지정을 받는 등 글로벌 개발 가능성을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