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신약 개발기업 에이프로젠이 축적해 온 이중항체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이중항체 제작 기술을 확보하며 신약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18일 “이중항체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중쇄와 경쇄가 정확한 조합으로 결합되도록 전기적 상보성을 정밀하게 조절해 불필요한 결합을 최소화함으로써 정제 부담과 생산 비용을 크게 줄인 것이 특징”이라며 “이 기술은 항암·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은 물론 공동개발·CDMO 사업에서도 경쟁력을 높여줄 핵심 기반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그는 “당사는 이미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이중항체 원천 특허를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 기술 출원까지 더해지면서 차세대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플랫폼 포트폴리오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덧붙였다.
에이프로젠은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술을 토대로 다양한 형태 이중항체·이중수용체 치료제 개발 역량을 확보해 왔다. 이를 기반으로 급성 혈액암 치료제 AP10과 골관절염 치료제 AP209와 같은 고난도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핵심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AP10(급성 혈액암 치료제)은 혈액암 세포에 존재하는 특수 당화 구조를 정확히 표적해 살해 T세포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설계된 이중항체다. 인간 면역체계를 갖춘 동물 모델에서는 약 20일 만에 암세포가 완전히 사라지고 생존 기간이 크게 증가하는 등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
또 체중 감소나 조직 손상 같은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에이프로젠은 이러한 비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AP10의 GLP 독성시험과 임상 1상 진입 준비를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기술이전 협의도 병행해 개발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핵심 파이프라인 AP209(골관절염 치료제)는 골관절염을 일으키는 두 핵심 인자를 동시에 차단해 연골 보호·통증 완화·염증 감소를 한 번에 구현하는 차세대 관절강 주사제다. 비글견 관절염 모델에서는 절뚝이던 개체가 정상 보행을 회복할 정도로 통증과 관절 기능이 개선됐고 연골 손상과 골극(뼈 돌기)까지 줄어드는 등 구조적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장기간·고용량 투여에서도 독성이 없어 안전성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현재 임상시료를 생산하고 글로벌 임상 진입 준비 단계다.
회사 관계자는 “ 급성 혈액암과 골관절염은 모두 기존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고 근본 치료제가 부재한 고성장 시장으로 AP10과 AP209 상업적 잠재력은 크다”며 “이중항체 분야에서 확보한 특허와 단백질 설계 역량이 두 파이프라인 개발 기반으로, 글로벌 파트너링과 임상 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파주시 '바이오클러스터' 도전…성공 조건 ‘병원·데이터·인재·인센티브’ |
| 2 | [약업분석] SK바이오사이언스, CDMO 깜짝…누적매출 전년比 3392억원 증가 |
| 3 | 한국비엔씨 "비만치료 후보물질, 체중감소 효과 위고비 '우위' 확인" |
| 4 | 부광약품, 3Q 누적매출 1382억 원…전년比 21.3%↑ |
| 5 | 대한약사회, 의협 총력투쟁 속 성분명 처방 ‘정책 본질 알리기’ 집중 |
| 6 | 안국약품,디메디코리아 인수 계약,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성장형 M&A 모델 제시 |
| 7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
| 8 | BMS,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 우승 기업 선정 |
| 9 | 브렉소젠,미국 CRO와 심근경색 치료제 'BRE-MI01' 공동개발 계약 |
| 10 | 안국약품, 3Q 매출 777억·영업익 49억…순이익 34억 흑자 전환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신약 개발기업 에이프로젠이 축적해 온 이중항체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이중항체 제작 기술을 확보하며 신약개발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18일 “이중항체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중쇄와 경쇄가 정확한 조합으로 결합되도록 전기적 상보성을 정밀하게 조절해 불필요한 결합을 최소화함으로써 정제 부담과 생산 비용을 크게 줄인 것이 특징”이라며 “이 기술은 항암·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은 물론 공동개발·CDMO 사업에서도 경쟁력을 높여줄 핵심 기반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그는 “당사는 이미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이중항체 원천 특허를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 기술 출원까지 더해지면서 차세대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플랫폼 포트폴리오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 덧붙였다.
에이프로젠은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술을 토대로 다양한 형태 이중항체·이중수용체 치료제 개발 역량을 확보해 왔다. 이를 기반으로 급성 혈액암 치료제 AP10과 골관절염 치료제 AP209와 같은 고난도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핵심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AP10(급성 혈액암 치료제)은 혈액암 세포에 존재하는 특수 당화 구조를 정확히 표적해 살해 T세포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설계된 이중항체다. 인간 면역체계를 갖춘 동물 모델에서는 약 20일 만에 암세포가 완전히 사라지고 생존 기간이 크게 증가하는 등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
또 체중 감소나 조직 손상 같은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에이프로젠은 이러한 비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AP10의 GLP 독성시험과 임상 1상 진입 준비를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개발·기술이전 협의도 병행해 개발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다른 핵심 파이프라인 AP209(골관절염 치료제)는 골관절염을 일으키는 두 핵심 인자를 동시에 차단해 연골 보호·통증 완화·염증 감소를 한 번에 구현하는 차세대 관절강 주사제다. 비글견 관절염 모델에서는 절뚝이던 개체가 정상 보행을 회복할 정도로 통증과 관절 기능이 개선됐고 연골 손상과 골극(뼈 돌기)까지 줄어드는 등 구조적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장기간·고용량 투여에서도 독성이 없어 안전성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현재 임상시료를 생산하고 글로벌 임상 진입 준비 단계다.
회사 관계자는 “ 급성 혈액암과 골관절염은 모두 기존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고 근본 치료제가 부재한 고성장 시장으로 AP10과 AP209 상업적 잠재력은 크다”며 “이중항체 분야에서 확보한 특허와 단백질 설계 역량이 두 파이프라인 개발 기반으로, 글로벌 파트너링과 임상 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