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7.3% 증가…청년·고령층 동시 유입
제조업 전반 침체 속 고용 '선방'…신규일자리는 360개
입력 2025.11.27 06:00 수정 2025.11.27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3분기 화장품산업의 고용은 제조업의 전반적인 고용 침체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양상을 띠었다. 바이오헬스산업군 내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반적으로 균형적인 고용 증가세가 이어진 가운데, 청년층 유입이 꾸준하게 나타나고 있다.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 증감 추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6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에 따르면, 3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전체 종사자 수는 113만59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이 1.2%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3.4%p 높은 수치다.

특히 화장품 제조업은 7.3%의 증가율로 바이오헬스 업종 중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3분기 화장품 제조업 종사자 수는 지난해 3분기(3만9288명) 대비 2881명 늘어난, 총 4만2169명으로 집계됐다. 화장품은 7개 분기 연속 바이오헬스산업 내 가장 높은 종사자 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고, 증가폭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25년 3분기 화장품산업 연령별 종사자 수 증감 추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령별 구성에선 30대 종사자가 1만4986명으로 전체의 35.5%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40대는 1만426명(24.7%), 20대 이하는 8398명(19.9%), 50대는 6692명(15.9%), 60세 이상은 1688명(4.0%)이었다. 

60세 이상 고령층 종사자의 경우 증가폭은 소폭 감소했지만 전년 대비 12.1% 증가해, 전 연령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고령화 흐름 속에서 장기 근속자의 잔류와 재취업 사례가 점차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청년층 유입도 지속됐다. 29세 이하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해, 바이오헬스 산업 전반의 청년층 증가세(0.8%)보다 높은 흐름을 보였다.

2025년 3분기 화장품산업 규모별 종사자 수 증감 추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사업장 규모별로는 전 규모에서 종사자가 고르게 증가하며, 균형 있는 성장 흐름을 이어갔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30~300인 미만 중형 사업장의 고용 규모는 1만9412명으로 전체의 46.0%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300인 이상 대형 사업장은 1만4407명으로 10.6% 증가해 고용 성장세가 가장 뚜렷했다. 30인 미만 소형 사업장 종사자는 8350명으로 2.0% 늘었다.

2025년 3분기 화장품산업 성별 종사자 수 증감 추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성별로는 여성 종사자 수가 2만4386명으로 전체의 57.7%를 차지했다. 남성 종사자는 1만7803명(42.3%)으로 확인됐다. 여성은 전년 동기 대비 7.4%, 남성은 7.3% 증가해 증가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여전히 여성 비중이 높은 구조가 유지되고 있다.

2025년 3분기 화장품산업 근속기간별 종사자 수 증감 추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근속기간별로는 5년 미만 종사자가 2만5864명으로 전체의 61.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전년 동기 대비 9.1% 늘어난 결과로, 화장품산업 내 신규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5~10년 미만 7950명(18.9%), 10~15년 미만은 4594명(10.9%)으로 나타났다. 15~20년 미만은 2409명(5.7%), 20년 이상 장기근속자는 1353명(3.2%)으로 조사됐다. 5~10년 근속 종사자 수를 제외하곤 전 연령대에서 종사자 수가 늘어났다. 특히 10~15년(+13.5%), 15~20년(18.7%) 근속 종사자 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2025년 3분기 화장품산업(제조업) 신규일자리 수 증감 추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신규 일자리 창출 규모는 360개로, 전년 동기(359개)와 거의 동일했다.

신규 채용 성별 구성은 여성이 233개(64.7%), 남성이 127개(35.3%)로, 여성 비중이 더 커졌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가 274개(76.1%)로 가장 많았고, 30대 35개(9.7%), 40대 33개(9.2%), 50대 13개(3.6%), 60세 이상은 5개(1.4%) 순이다.

직종별로는 '제조 단순 종사자'가 121개(33.6%)로 가장 많았고, '안내·고객상담·비서 등 사무보조 및 기타 사무원'이 36개(10.0%), '고무·플라스틱 및 화학제품 생산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이 28개(7.8%)였다. '무역·운송·생산·품질사무원'은 26개(7.2%), '화학공학 기술자 및 시험원'도 24개(6.7%) 늘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바이오헬스 수출이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확대되며 산업성장세로 이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고용 또한 안정적인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면서 특히 "최근 K-컬처 확산으로 뷰티 관련 품목의 해외 수요가 높아지며 화장품산업의 인력수요 증가와 청년층을 포함한 고용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인터뷰] 장미 유래 엑소좀으로 글로벌 공략 나선다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3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7.3% 증가…청년·고령층 동시 유입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3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7.3% 증가…청년·고령층 동시 유입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