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의 뷰티 사업은 올해 3분기 영업손실이 발생해 전기에 이어 적자 상태다. 생활용품·음료 부문의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으나 뷰티 사업 부문 부진에 발목을 잡혀 전체 영업이익은 반토막이 났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LG생활건강은 올해 3분기 1조 580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1조 6049억원 대비 1.6%, 전년동기 1조7136억원 대비 7.8%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462억원으로 전기 548억원 대비 15.7%, 전년동기 1061억원 대비 56.5% 각각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234억원으로, 전기 386억원 대비 39.3%, 전년동기 735억원 대비 68.2% 각각 감소했다.
타사상품 유통 매출 실적은 공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401억원을 사용해 전기 423억원 대비 5.2% 줄었으나, 전년동기 394억원보다는 1.8% 늘었다.연구개발비의 전체 매출액 대비 비중(이하 비중)은 2.5%.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4900억원으로 전기 5289억원 대비 7.4%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4541억원보다는 7.9% 증가했다. 비중은 31.0%.
3분기 누적 매출은 4조8827억원으로, 전년동기 5조2020억원 대비 6.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434억원으로 전년동기 4156억원 대비 41.1% 역성장했다. 순이익도 1654억원에 그쳐 전년동기 2938억원 대비 43.7% 줄었다.
타사상품 유통 매출 규모는 공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1214억원을 사용해 전년동기 1210억원 대비 0.4% 늘었다. 비중은 2.5%.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1조 5493억원으로 전년동기 1조5028억원 대비 3.1% 증가했다. 비중은 31.7%.
△ 사업부문별 실적

사업부문별로는 화장품 사업 실적 부진이 전체 매출을 끌어내렸다. 3분기 기준 전기까지 매출 비중 1위였던 화장품 부문은 3위로 떨어졌다. 매출은 전기 및 전년동기 대비 두자릿수 역성장했고, 영업손실이 발생해 전기에 이어 적자상태다. 생활용품과 음료 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다.
<3분기>
3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은 4710억원으로 전기 6046억원 대비 22%, 전년동기 6506억원 대비 28%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전기 38%, 전년동기 38%에서 30%로 축소됐다. 588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16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보다 손실폭이 더 커졌다. 11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비중은 -127%.
생활용품 부문 매출은 5964억원으로 전기 5420억원 대비 10%, 전년동기 5626억원보다는 6%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전기 34%, 전년동기 33%에서 38%로 커졌다. 영업이익은 424억원으로 전기 286억원 대비 48%, 전년동기 412억원 대비 3% 각각 늘었다. 비중은 전기 52%, 전년동기 39%에서 92%로 확대됐다.
음료 부문 매출은 5125억원으로 전기 4583억원 대비 12%, 전년동기 5004억원 대비 2% 각각 늘었다. 비중은 32%. 영업이익은 626억원으로 전기 425억원 대비 47%, 전년동기 535억원 대비 17%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전기 77%, 전년동기 50%에서 135%로 확대됐다.
<3분기 누적>
3분기 누적 기준 화장품을 포함해 생활용품, 음료 모두 영업이익이 역성장했다. 특히 화장품 부문은 영업손실 발생으로 적자전환했다.
화장품 부문의 누적 매출은 1조7837억원으로 전년동기 2조1512억원 대비 17% 역성장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41%에서 37%로 작아졌다. 162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 147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비중은 -7%.
생활용품 부문 누적 매출은 1조7118억원으로 전년동기 1조6374억원 대비 5% 증가했다. 비중은 35%. 영업이익은 1076억원으로 전년동기 1106억원 대비 6% 줄었다. 그러나 화장품 부문에서 영업손실이 발생하면서 비중은 전년동기 27%에서 44%로 커졌다.
음료 부문 누적 매출은 1조3872억원으로 전년동기 1조4134억원 대비 2% 감소했다. 비중은 28%. 영업이익은 1519억원으로 전년동기 1579억원 대비 4% 감소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38%에서 62%로 확대됐다.
△ 지역별 실적

지역별 매출을 보면 3분기 기준 전기 대비 국내와 북미 지역만 소폭 증가하고 나머지 지역은 감소추세다.
매출 비중 순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지역의 3분기 매출은 1조900억원으로 전기 1조760억원 대비 1% 늘었으나, 전년 동기 1조2595억원보다는 13% 역성장했다. 비중은 69%. 3분기 누적 매출은 3조3334억원으로 전년동기 3조6992억원 대비 10% 감소했다. 비중은 68%.
북미 지역 3분기 매출은 1705억원으로 전기 1626억원 대비 5%, 전년동기 1369억원 대비 25%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11%. 3분기 누적 매출은 4680억원으로 전년동기 4121억원 대비 14% 증가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8%에서 10%로 커졌다.
중국 지역의 3분기 매출은 1310억원으로 전기 1526억원 대비 14%, 전년동기 1369억원 대비 4% 각각 줄었다. 비중은 8%. 3분기 누적 매출은 4726억원으로 전년동기 5443억원 대비 13% 감소했다. 비중은 10%.
일본 지역 3분기 매출은 1006억원으로 전기 1057억원 대비 5%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956억원보다는 5% 늘었다. 비중은 6%. 3분기 누적 매출은3203억원으로 전년동기 2821억원 대비 14% 늘었다. 비중은 7%.
기타 아시아 지역의 3분기 매출은 687억원으로 전기 886억원 대비 2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646억원보다는 6% 증가했다. 비중은 4%. 3분기 누적 매출은 2281억원으로 전년동기 2009억원 대비 14% 늘었다. 비중은 5%.
유럽 지역 3분기 매출은 130억원으로 전기 177억원 대비 27%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119억원보다는 9% 증가했다. 비중은 1%. 3분기 누적 매출은 393억원으로 전년동기 407억원 대비 3% 줄었다. 비중은 1%.
중남미 지역의 3분기 매출은 23억원으로 전기 42억원 대비 46%, 전년동기 42억원 대비 45% 각각 역성장했다. 비중은 0%대. 3분기 누적 매출은 99억원으로 전년동기 123억원 대비 20% 감소했다. 비중은 0%대.
기타 지역 3분기 매출은 39억원으로 -25억원을 기록했던 전기 대비 256% 급증했으나 40억원의 매출을 올렸던 전년동기보다는 3% 줄었다. 비중은 0%대. 3분기 누적 매출은 110억원으로 전년동기 103억원 대비 7% 증가했다. 비중은 0%대.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로킷헬스케어, 이스라엘 공보험 진입 최종 파일럿 스터디 승인 |
| 2 | "펩트론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 글로벌 빅파마 평가 단계 진입" |
| 3 | 에이비엘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과 파트너십은 나의 힘” |
| 4 | SK바이오팜 “중국 이미 넘사벽…제2의 엑스코프리 '오픈이노베이션'서 찾을 것" |
| 5 | 휴온스 “클레이셔·메노락토 넘은 다음 목표는 신약…오픈이노베이션 승부수” |
| 6 | HK이노엔 “오픈이노베이션으로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 |
| 7 | 삼익제약, '마파람쿨과립' 등17개 품목 제조업무정지 처분 |
| 8 | 드림씨아이에스,큐리바이오와 ‘글로벌 오가노이드 포럼’ 성료 |
| 9 | 대봉엘에스, 개량신약·비만치료제 컨퍼런스 개최 |
| 10 | 국제약품, ‘mPGES-1 타깃 관절염·통증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LG생활건강의 뷰티 사업은 올해 3분기 영업손실이 발생해 전기에 이어 적자 상태다. 생활용품·음료 부문의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40% 이상 증가했으나 뷰티 사업 부문 부진에 발목을 잡혀 전체 영업이익은 반토막이 났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LG생활건강은 올해 3분기 1조 5800억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1조 6049억원 대비 1.6%, 전년동기 1조7136억원 대비 7.8%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462억원으로 전기 548억원 대비 15.7%, 전년동기 1061억원 대비 56.5% 각각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234억원으로, 전기 386억원 대비 39.3%, 전년동기 735억원 대비 68.2% 각각 감소했다.
타사상품 유통 매출 실적은 공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401억원을 사용해 전기 423억원 대비 5.2% 줄었으나, 전년동기 394억원보다는 1.8% 늘었다.연구개발비의 전체 매출액 대비 비중(이하 비중)은 2.5%.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4900억원으로 전기 5289억원 대비 7.4%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4541억원보다는 7.9% 증가했다. 비중은 31.0%.
3분기 누적 매출은 4조8827억원으로, 전년동기 5조2020억원 대비 6.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434억원으로 전년동기 4156억원 대비 41.1% 역성장했다. 순이익도 1654억원에 그쳐 전년동기 2938억원 대비 43.7% 줄었다.
타사상품 유통 매출 규모는 공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1214억원을 사용해 전년동기 1210억원 대비 0.4% 늘었다. 비중은 2.5%.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1조 5493억원으로 전년동기 1조5028억원 대비 3.1% 증가했다. 비중은 31.7%.
△ 사업부문별 실적

사업부문별로는 화장품 사업 실적 부진이 전체 매출을 끌어내렸다. 3분기 기준 전기까지 매출 비중 1위였던 화장품 부문은 3위로 떨어졌다. 매출은 전기 및 전년동기 대비 두자릿수 역성장했고, 영업손실이 발생해 전기에 이어 적자상태다. 생활용품과 음료 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다.
<3분기>
3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은 4710억원으로 전기 6046억원 대비 22%, 전년동기 6506억원 대비 28%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전기 38%, 전년동기 38%에서 30%로 축소됐다. 588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16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보다 손실폭이 더 커졌다. 11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비중은 -127%.
생활용품 부문 매출은 5964억원으로 전기 5420억원 대비 10%, 전년동기 5626억원보다는 6%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전기 34%, 전년동기 33%에서 38%로 커졌다. 영업이익은 424억원으로 전기 286억원 대비 48%, 전년동기 412억원 대비 3% 각각 늘었다. 비중은 전기 52%, 전년동기 39%에서 92%로 확대됐다.
음료 부문 매출은 5125억원으로 전기 4583억원 대비 12%, 전년동기 5004억원 대비 2% 각각 늘었다. 비중은 32%. 영업이익은 626억원으로 전기 425억원 대비 47%, 전년동기 535억원 대비 17%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전기 77%, 전년동기 50%에서 135%로 확대됐다.
<3분기 누적>
3분기 누적 기준 화장품을 포함해 생활용품, 음료 모두 영업이익이 역성장했다. 특히 화장품 부문은 영업손실 발생으로 적자전환했다.
화장품 부문의 누적 매출은 1조7837억원으로 전년동기 2조1512억원 대비 17% 역성장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41%에서 37%로 작아졌다. 162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 147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비중은 -7%.
생활용품 부문 누적 매출은 1조7118억원으로 전년동기 1조6374억원 대비 5% 증가했다. 비중은 35%. 영업이익은 1076억원으로 전년동기 1106억원 대비 6% 줄었다. 그러나 화장품 부문에서 영업손실이 발생하면서 비중은 전년동기 27%에서 44%로 커졌다.
음료 부문 누적 매출은 1조3872억원으로 전년동기 1조4134억원 대비 2% 감소했다. 비중은 28%. 영업이익은 1519억원으로 전년동기 1579억원 대비 4% 감소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38%에서 62%로 확대됐다.
△ 지역별 실적

지역별 매출을 보면 3분기 기준 전기 대비 국내와 북미 지역만 소폭 증가하고 나머지 지역은 감소추세다.
매출 비중 순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지역의 3분기 매출은 1조900억원으로 전기 1조760억원 대비 1% 늘었으나, 전년 동기 1조2595억원보다는 13% 역성장했다. 비중은 69%. 3분기 누적 매출은 3조3334억원으로 전년동기 3조6992억원 대비 10% 감소했다. 비중은 68%.
북미 지역 3분기 매출은 1705억원으로 전기 1626억원 대비 5%, 전년동기 1369억원 대비 25%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11%. 3분기 누적 매출은 4680억원으로 전년동기 4121억원 대비 14% 증가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8%에서 10%로 커졌다.
중국 지역의 3분기 매출은 1310억원으로 전기 1526억원 대비 14%, 전년동기 1369억원 대비 4% 각각 줄었다. 비중은 8%. 3분기 누적 매출은 4726억원으로 전년동기 5443억원 대비 13% 감소했다. 비중은 10%.
일본 지역 3분기 매출은 1006억원으로 전기 1057억원 대비 5%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956억원보다는 5% 늘었다. 비중은 6%. 3분기 누적 매출은3203억원으로 전년동기 2821억원 대비 14% 늘었다. 비중은 7%.
기타 아시아 지역의 3분기 매출은 687억원으로 전기 886억원 대비 2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646억원보다는 6% 증가했다. 비중은 4%. 3분기 누적 매출은 2281억원으로 전년동기 2009억원 대비 14% 늘었다. 비중은 5%.
유럽 지역 3분기 매출은 130억원으로 전기 177억원 대비 27%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119억원보다는 9% 증가했다. 비중은 1%. 3분기 누적 매출은 393억원으로 전년동기 407억원 대비 3% 줄었다. 비중은 1%.
중남미 지역의 3분기 매출은 23억원으로 전기 42억원 대비 46%, 전년동기 42억원 대비 45% 각각 역성장했다. 비중은 0%대. 3분기 누적 매출은 99억원으로 전년동기 123억원 대비 20% 감소했다. 비중은 0%대.
기타 지역 3분기 매출은 39억원으로 -25억원을 기록했던 전기 대비 256% 급증했으나 40억원의 매출을 올렸던 전년동기보다는 3% 줄었다. 비중은 0%대. 3분기 누적 매출은 110억원으로 전년동기 103억원 대비 7% 증가했다. 비중은 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