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1,505:130 vs 3,821:30
1,505개소와 130여개, 3,821개소와 30여개.
부산시약사회의 개설약국(1,505개소)과 면허대여·비자영으로 추정되는 약국(130여개소) 숫자와 경기도약사회의 개설약국(3,821개소)과 면허대여·비자영으로 추정되는 약국(30여개소)숫자이다.
개설약국을 기준으로 면허대여·비자영 약국을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부산은 8.6%이고, 경기도의 경우 0.78%로 단순한 수치 계산으로는 10배가 넘는 차이가 있다.
정확한 자료는 아니지만 대략적인 숫자 계산을 해 본 이유는 면허대여 의심약국에 관여하면서 부산에 대한 이미지가 혹시나 바빠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 때문이다.
경기도 약사님들의 투철한 준법정신으로 경기도 지역이 면대·비자영약국이 발붙일 곳 없는 비교적 클린지역인 것인가, 아니면 부산시약사회 약사님들의 지대한 관심이 제보로 생산되어 비교적 높은 수치가 나온 것인가? 부산시에 소속된 약사의 한 사람으로 후자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현재 부산시약사회도 분회 차원에서 비자영·면대 의심약국에 대한 소명자료를 접수하고 면담을 실시하고 있다. 그 중 일부 약국에 대해서는 지부 차원에서 청문을 계획하고 있다.
면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명이 되거나 정리를 약속한 약국은 현재 절반 정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사로 일부 비자영 면대의심약국의 개설약사는 개설과 폐업을 반복하며 항상 비자영 논란이 되는 약국을 전전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약사법 위반이나 난매행위로 주변약국에 많은 고통을 안겨 주었다.
비자영 업주 또한 여러 곳에 개설·폐업을 반복하면서 권리금을 챙기고, 건물주를 부추겨 약국 임대료를 상승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건물주가 직접 운영하는 비자영 약국도 눈에 띄었다.
최근 이명박 정부에서는 서비스산업선진화 방안에서 언급된 "일반인도 의·약사를 고용해 병원 또는 약국을 개설할 수 있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이 소식을 접한 면대 비자영약국도 조금만 버티면 면죄부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에 부풀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의약분업을 무용지물로 만들 것으로 예상되고, 담합이나 대형병원의 약국개설, 대기업의 의료서비스 시장 독점 등 상상할 수 없는 혼돈이 초래될 것이므로 실현 불가능한 일이다.
면대 비자영약국 개설의 근본적인 대책은 약사의 업권을 타인에게 넘겨주지 않겠다는 사명감이 최고의 수단일 것이라고 본다.
숫자는 다르지만 경기도와 부산시의 면대 비자영약국 척결률은 100%로 동일하길 바란다. 경기도약사회 임원들의 건투를 빈다.
2009-01-07 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