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생존이냐, 도태냐’,선택 기로 선 제약사
제약사들이 선택의 기로에 섰다. 선택은 ‘생존이냐, 도태냐’이고, 출발점은 정부의 잇따른 리베이트 근절책이다.‘주는 자와 받는 자’를 모두 처벌하는 쌍벌제로 1% 부족했던 리베이트 근절책이, 2번 이상 적발되면 해당 품목을 보험급여에서 삭제하는 ‘리베이트 투아웃제’로 완성(?)되며 영업 마케팅 입지가 크게 좁아졌다는 게 제약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물론 주지 않으면 문제될 것은 없다. 또 개별 제약사들은 지속적으로 리베이트 자정노력을 해 왔고, 어느 정도 정리도 됐다. 하지만 리베이트 투아웃제가 시행되며,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게 제약사들의 솔직한 심정이다.리베이트 영업은 아니더라도 불을 켜고 있는 감시자들의 눈과 마주치면 득이 될 것이 없다는 판단이다. 이 상황에서 대놓고 영업을 하기는 사실상 힘들다는 얘기다.업계에서는 일단 이 같은 ‘숨죽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매출을 위해 영업은 당연히 해야 하지만, 이전처럼 과감한 영업은 자제해야 ‘소탐대실’을 피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하지만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게 있다. 제약사들이 리베이트 두려움에 너무 매몰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당장 제약계 내부에서는 ‘리베이트는 리베이트일 뿐’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리베이트에 대한 두려움이 모든 것에 앞서면 제약사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회사에서 리베이트 없는 경영을 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CP 등 강력한 조치도 마련했다면, 숨죽이며 눈치만 볼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업계에서는 연구개발에 대한 말들도 연관돼 나온다. 리베이트 없는 영업에 발을 들여 놓았으면서도 연구개발을 등한시 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리베이트 카드를 들고 나온 목적중 하나가, 제약사들의 연구개발 유도라는 점에서 보면 ‘우리는 리베이트를 안 준다’로 자위하고 만족할 상황은 아니라는 얘기다. 정부의 리베이트 근절책은 제약사들에게 ‘긍정 부정’ 양쪽으로 작용한다. 이를 긍정으로 엮는 것은 제약사들의 몫이다.
이권구
2014-08-13 0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