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리베이트 쌍벌제, 제약사와 도매상
리베이트 쌍벌제가 지난해 11월 28일 시행된 후 2개월이 지났다.조만간 닥칠 것으로 예상되는 정부의 합동조사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제약계 내에서 리베이트는 이제 ‘더 이상 통용돼서는 안될 위험한 영업’이라는 인식이라는 폭넓게 각인되고 있다.
여기에는 상위 제약사들의 역할이 크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리베이트를 주도해 왔다는 지적을 받아 온 이들 제약사들이 그만큼 당한 면도 있지만, 관행에 발목을 잡히면 글로벌을 꿈꿀 수 없다는 판단들이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이를 반영하듯 제약계 내에서는 상위 제약사들의 역할론을 계속 거론하고 있고, 이들 제약사들도 투명 영업 마케팅 정착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 내에서는 이 같은 의지를 밀고 나가면, 제약사들은 ‘환골탈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노력 여하에 따라 글로벌 진출을 앞당길 수 있는 정부 지원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기대도 많다. 여기서 비교되는 것이 도매상이다. 업계에서 거론하는 부분은 시장을 주도하는 도매상들이다. 제약사와 마찬가지로, 금융비용을 통한 투명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상위 제약사들이 매출 피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나서고 있는 반면, 도매업계에서는 다른 접근법이 이뤄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장의 투명화에는 적극 나서지만, 성장과 이익에 반하면 안된다는 인식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업계 내에서는 이런 인식들이 바뀌지 않으면 전반적인 노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오히려 내부적으로 갈등 마찰 혼란만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회원들 간 고발의 필요성 논란이 간단없이 이어지고 있는 것도 이 맥락으로 회자되고 있다.지금 도매업계는 호기를 맞았다. 금융비용을 바탕으로 한 투명화 노력은 도매업계의 경영환경 개선에도 큰 이득이 될 수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가 필요하다는 얘기들이 나오는 이유다.
이권구
2011-02-09 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