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우수약학교육 기준
김창종〈중앙대 약대 교수〉
세계보건기구(WHO)는 1997년 캐나다 벤쿠버회의에서 미래약사배출(Preparing for th pharmacist)에 대한 보고서(http://www.ipsf.org/education-front.html)를 채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국제약학연맹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Federation)에서는 1998년에 네덜란드 해이그에서 우수약학교육기준(Good Pharmacy Education Practice, GPEP)을 수립하여 세계 약학교육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미래의 약사는 7가지 기능을 갖는 직업인 (seven star pharmacist : 七星藥師)으로, 즉 보건의료인, 의사결정자, 의사소통 능력자, 지도자, 관리자·경영인, 평생 학습인, 교육자가 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 보건의료인(caregiver)으로서 약대 졸업생은 약물(의약품)의 전문가로서 기본적으로 두 가지 분야에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전문적 직능을 요구받으니 이들을 필요충분하게 교육하여야 한다.
첫째, 환자나 다른 의료전문가와의 협력관계 속에서 환자들의 약물과 관련된 알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환자에게서 최적의 결과를 이끌어내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려는 목표를 갖고, 그들의 지식과 기술을 직접적(임상적으로, 조제에 의해)으로나 간접적(분석적으로, 기술적으로, 전술적으로)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최적의 비용-효과적인 환자 관리와 건강 증진을 위해 약물과 약물 사용에 대한 교육, 정보, 추천을 개인 및 집단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2. 의사결정자(decision maker)로서 생물의학, 약제학, 약학에 관련된 사회·행위 관리학, 임상약학 및 약학실습과 같은 수업을 통해 약사의 직능과 관련된 핵심정보에 대한 지식습득과 이해를 통해 매일의 업무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를 결정하거나 업무와 관련된 연수를 수행하는 동안 분석적이고 명확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함으로써 과학적 질문의 원리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정보를 체계적으로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여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정보에 기반한 논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3. 의사소통능력자(communicator)로서 다양한 청중들의 다양한 목적에 맞추어 언어적 및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정보와 매체 및 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4. 지도자(leader)로서 전 공동체의 복지에서 지도적 위치를 맡을 의무를 지니고 있다.
5. 관리자·경영인(manager)로서 의약품과 약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여 환자 관리를 최적화 한다는 목표를 위해 자원(사람, 물건, 재정, 시간)과 정보를 효과적이고 창조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직접 최고관리자가 되거나 고용주나 의료팀의 관리자·지도자에 의해 관리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6. 평생학습인(life-long learner)으로서 사회에서 그들의 업무와 전문적 직능을 충족하고 발전시키는 수단으로서 평생교육의 개념과 원칙을 가지고 이를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7. 교육자(teacher)로서 차세대 약사들을 위한 교육과 훈련에 도움을 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교사로서 참여하는 것은 다른 이들에게 지식을 제공할 뿐 아니라 그들 스스로에게도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가지고 있는 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욱이 동료들과의 일치감과 높은 가치와 윤리적 원칙에 부합하는 전문가로서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기본 교육과정은 자연과학, 약학, 의료과학의 균형적인 완전한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물의 체계, 약물과 약의 다른 구성요소의 화학, 병태생리학과 질병의 상태, 약과 생물 사이의 상호작용, 제형설계·개발, 약관련 생산물의 작용과 사용, 약사(藥事) 및 의약품의 판매·투약을 규정하는 법률, 각국 약사윤리규정, 안전과 위험관리, 약물역학과 약물·보건 경제학, 실제 약사업무 및 사회·행위과학, 자원(인력, 물리적, 재정, 시간)의 효과적 관리, 및 제조, 유통, 실험실에서 좋은 수련을 제어하는 지침 등을 교육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2003-04-21 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