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국제약품㈜(대표이사 남태훈)이 개발중인 mPGES-1 타깃 염증저해기전 관절염 및 통증 치료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비임상 과제에 최종 선정돼 최근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회사는 향후 2년간 임상1상 IND(임상시험계획서) 승인을 위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21년부터 추진 중인 범부처 국가 R&D 사업으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국가프로젝트다.
회사 측에 따르면 mPGES-1 저해제는 염증반응시 과발현되는 PGE2 생합성 경로 마지막 단계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면서 다른 프로스타노이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존 항염증 치료제 부작용을 줄이고 염증∙진통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타깃 특이성 측면이 높은 치료제다.
현재 시판중인 NSAIDs 및 COX-2 억제제는 여전히 수요가 높지만, 장기 복용에 따른 위장·심혈관계 부작용이 문제로 지적돼 왔고, 이 때문에 안전성과 장기 복용성을 갖춘 차세대 기전 약물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대안으로 평가 받는 약물이 mPGES-1저해제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의약업계에서도 mPGES-1 저해제가 효능과 부작용극복이 검증될 경우 기존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블록버스터급 후보물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제약품은 동물실험에서 기존 치료제인 셀렉브렉스 대비 우수한 효과를 확인, 이번 비임상과제 선정을 계기로 비임상∙임상 연구가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사는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 연구 및 기술이전 논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연구책임자인 김영관 국제약품 전무(CTO)는 "이번 비임상 과제를 통해 효력∙독성∙안전성을 확실히 검증한 뒤 임상시험에서 이를 입증한다면 항염증 치료제 시장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성공적 신약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Market Research Future 에 따르면 고령화와 비만 인구 증가로 관절염 및 만성 염증성 질환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며 글로벌 항염증 치료제 시장은 2024년 1,078억 달러에서 연평균 5.2%로 성장해 2035년 1,883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일동제약의 유노비아, '1상 성공 비만 신약' 들고 공식석상 첫 등장 |
| 2 | 한미약품 “비만 신약, GLP-1 파생 한계 넘을 것…미충족 수요 정조준” |
| 3 | 로킷헬스케어, 이스라엘 공보험 진입 최종 파일럿 스터디 승인 |
| 4 | 대웅제약 “비만치료제 시장, 혁신 제형 기술로 승부 본다” |
| 5 | "펩트론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 글로벌 빅파마 평가 단계 진입" |
| 6 | 삼성바이오에피스, 정기 임원 인사 단행 |
| 7 | "부활 신호탄" 바이젠셀, 혈액암 신약 'VT-EBV-N' 2상 통계적 유의성 확보 |
| 8 | K-뷰티, 미국 온라인 인기 업고 오프라인 '맹공' |
| 9 | [기고] 정제 품질 핵심, '타정 툴링'(Tableting Tooling)의 이해 |
| 10 | 일반약 제형 변경 기준 첫 정비…동반질환 복합제 3상 부담도 완화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국제약품㈜(대표이사 남태훈)이 개발중인 mPGES-1 타깃 염증저해기전 관절염 및 통증 치료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비임상 과제에 최종 선정돼 최근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회사는 향후 2년간 임상1상 IND(임상시험계획서) 승인을 위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21년부터 추진 중인 범부처 국가 R&D 사업으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국가프로젝트다.
회사 측에 따르면 mPGES-1 저해제는 염증반응시 과발현되는 PGE2 생합성 경로 마지막 단계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면서 다른 프로스타노이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존 항염증 치료제 부작용을 줄이고 염증∙진통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타깃 특이성 측면이 높은 치료제다.
현재 시판중인 NSAIDs 및 COX-2 억제제는 여전히 수요가 높지만, 장기 복용에 따른 위장·심혈관계 부작용이 문제로 지적돼 왔고, 이 때문에 안전성과 장기 복용성을 갖춘 차세대 기전 약물 개발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대안으로 평가 받는 약물이 mPGES-1저해제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의약업계에서도 mPGES-1 저해제가 효능과 부작용극복이 검증될 경우 기존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블록버스터급 후보물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제약품은 동물실험에서 기존 치료제인 셀렉브렉스 대비 우수한 효과를 확인, 이번 비임상과제 선정을 계기로 비임상∙임상 연구가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사는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 연구 및 기술이전 논의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연구책임자인 김영관 국제약품 전무(CTO)는 "이번 비임상 과제를 통해 효력∙독성∙안전성을 확실히 검증한 뒤 임상시험에서 이를 입증한다면 항염증 치료제 시장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성공적 신약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Market Research Future 에 따르면 고령화와 비만 인구 증가로 관절염 및 만성 염증성 질환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며 글로벌 항염증 치료제 시장은 2024년 1,078억 달러에서 연평균 5.2%로 성장해 2035년 1,883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