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삼성이 바이오 분야 신기술 및 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한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Life Science Fund)'를 통해,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술 플랫폼과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중국 프론트라인 바이오파마(Phrontline Biopharma, 이하 프론트라인)사에 투자한다고 25일 밝혔다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조성한 벤처 투자 펀드로, 삼성벤처투자가 조합을 결성해 운용 중이다..
ADC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항암 모달리티(치료 방식) 로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삼성은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Bispecific and Dual-payload) 기반 차세대 ADC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는 프론트라인 투자를 통해, 유망한 미래 사업 발굴 및 ADC 분야 핵심 연구를 강화할 수 있는 협력 기회를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프론트라인의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 플랫폼은 페이로드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호보완적 작용을 하는 두 가지 페이로드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일 페이로드 또는 단일 표적 ADC가 나타내는 한계인 내성, 종양 이질 취약, 반응 지속성 부족 등을 극복할 수 있다.
프론트라인은 현재 이중 항체 ADC에 대한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 1분기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 기술이 적용된 ADC 임상 진입이 추가 예정돼 ADC를 활용한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기업이다.
또,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10월 프론트라인과 ADC 분야 후보 물질 개발 및 제조, 상업화를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프론트라인이 보유한 파이프라인 2종의 공동 개발권을 확보했으며, 페이로드 1건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다른 개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독점적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지난 10월 공동연구 파트너십에 대한 협력 구조를 공고히 했으며, 삼성 핵심 연구 자원 공유와 기술 상호 발전을 위한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의 전략적 행보이자 협업 안정성과 실행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 탐색팀장 서민정 상무는 “프론트라인과 파트너십에 이어 투자까지 진행하면서 글로벌 ADC 시장에서 의미 있는 기술적 영향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십 및 투자를 통해 미래 기술에 대한 준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삼성벤처투자가 운용 중인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2021년 결성 이후 현재까지 유전자 치료제부터 ADC, 혈중 단백질 분석 기술, 생성형 AI 기반 단백질 신약 개발 및 유전자 편집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투자해 오고 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3Q 당기매출 전년比 10.8%↑, 영업익 · 순익 흑자전환 |
| 2 | 스탠드업테라퓨티스·서울대, 세계 최초 '세포초기화'로 '파킨슨병' 완치 제시 |
| 3 |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망막혈관 질병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
| 4 | 바이오마커가 임상의 시작이자 끝…“초기 판단이 신약 성패 결정” |
| 5 | 보령, 3분기 매출 2800억…영업이익 51% 증가하며 수익성 대폭 개선 |
| 6 | "트럼프 2기 '관세 폭탄'"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생존 전략은? |
| 7 | 비대면진료 제도화 초읽기…약사회 “플랫폼 왜곡 바로잡아야” |
| 8 |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 차세대 키트루다 도전 ‘PB203' 국가신약 과제 선정 |
| 9 | K-뷰티, 남미 진출 지금이 적기 |
| 10 | ‘키트루다’+‘파드셉’ 근육침습 방광암 FDA 허가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삼성이 바이오 분야 신기술 및 사업 개발을 위해 조성한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Life Science Fund)'를 통해,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술 플랫폼과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중국 프론트라인 바이오파마(Phrontline Biopharma, 이하 프론트라인)사에 투자한다고 25일 밝혔다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조성한 벤처 투자 펀드로, 삼성벤처투자가 조합을 결성해 운용 중이다..
ADC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항암 모달리티(치료 방식) 로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삼성은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Bispecific and Dual-payload) 기반 차세대 ADC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는 프론트라인 투자를 통해, 유망한 미래 사업 발굴 및 ADC 분야 핵심 연구를 강화할 수 있는 협력 기회를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프론트라인의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 플랫폼은 페이로드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상호보완적 작용을 하는 두 가지 페이로드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일 페이로드 또는 단일 표적 ADC가 나타내는 한계인 내성, 종양 이질 취약, 반응 지속성 부족 등을 극복할 수 있다.
프론트라인은 현재 이중 항체 ADC에 대한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 1분기 이중 항체 및 이중 페이로드 기술이 적용된 ADC 임상 진입이 추가 예정돼 ADC를 활용한 기술 경쟁력을 입증한 기업이다.
또,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10월 프론트라인과 ADC 분야 후보 물질 개발 및 제조, 상업화를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프론트라인이 보유한 파이프라인 2종의 공동 개발권을 확보했으며, 페이로드 1건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다른 개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독점적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지난 10월 공동연구 파트너십에 대한 협력 구조를 공고히 했으며, 삼성 핵심 연구 자원 공유와 기술 상호 발전을 위한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의 전략적 행보이자 협업 안정성과 실행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 탐색팀장 서민정 상무는 “프론트라인과 파트너십에 이어 투자까지 진행하면서 글로벌 ADC 시장에서 의미 있는 기술적 영향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십 및 투자를 통해 미래 기술에 대한 준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삼성벤처투자가 운용 중인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2021년 결성 이후 현재까지 유전자 치료제부터 ADC, 혈중 단백질 분석 기술, 생성형 AI 기반 단백질 신약 개발 및 유전자 편집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투자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