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 전문 기업 로킷헬스케어(대표 유석환)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으로부터 당뇨발 AI 재생치료에 대한 임상시험 시작 승인을 획득했다.
이번 승인을 통해 로킷헬스케어의 혁신의료기술인 ‘3D 바이오프린팅 기반 자가 미세지방 조직을 이용한 상처 치료’는 국내 의료현장에서 첫번째 적용될 AI 바이오 프린팅 혁신의료기술이다.
회사 관계자는 “로킷헬스케어의 당뇨발 재생플랫폼은 5개국 임상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고, 단한번 치료를 통해 82%가 재생됨을 확인했다"며 "미국 남미 등에서 건강 보험 적용 중에 있어, 한국 내에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기존 치료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당뇨병성 족부궤양(당뇨발) 환자를 대상으로, AI 기반 바이오프린터로 제작한 환자 자가 미세지방 패치를 상처 부위에 이식해 조직을 보호하고 재생을 촉진하는 방식 첨단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의료기술이다.
특히 전 수술 과정이 하나의 수술방 안에서 단시간 내 이뤄지고, 별도 입원 없이 귀가가 가능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뛰어난 시간·경제적 효율성을 제공한다는 점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작년 기준 국내 당뇨발 환자는 약 17,000여 명 수준이며, 매년 1천여 명이 당뇨발로 족부를 절단한다. 족부 절단환자는 통상 5년 내 약 50%가 사망한다고 알려져있다.
일단 당뇨발이 악화되면 즉시 절단 외에는 아직까지 선택지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이번 첨단 기술이 향후 표준치료로 자리 잡을 경우, 당뇨발 환자들 족부보존을 위한 실질적 대안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 관계자는 “당뇨발 재생치료의 국내 도입은 절단 중심 기존 치료 패러다임을, 조직·혈관을 되살리는 재생치료 중심으로 전환하는 상징적 사건”이라며 “퇴직, 장기 요양,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삶의 질 저하와 더불어 사회 전반에 누적되는 상처 치유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반복 입원, 합병증 관리, 장기 재활에 들어가는 의료·사회보장비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임상 개시는 그동안 해외 임상 현장에서 활발히 사용돼온 로킷헬스케어 기술이 국내에서도 공식적인 평가와 인정의 단계에 진입했다는 의미”라며 “절단을 당연시하던 당뇨발 치료 공식을 ‘절단 없는 재생’으로 전환하고, 나아가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탄탄한 의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스탠드업테라퓨티스·서울대, 세계 최초 '세포초기화'로 '파킨슨병' 완치 제시 |
| 2 |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망막혈관 질병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
| 3 | 보령, 3분기 매출 2800억…영업이익 51% 증가하며 수익성 대폭 개선 |
| 4 | 바이오마커가 임상의 시작이자 끝…“초기 판단이 신약 성패 결정” |
| 5 | 비대면진료 제도화 초읽기…약사회 “플랫폼 왜곡 바로잡아야” |
| 6 | "트럼프 2기 '관세 폭탄'"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생존 전략은? |
| 7 | AI, 신약 개발 전 과정 주도..."'자율화 연구 시스템'으로 혁신 가속화" |
| 8 | K-뷰티, 남미 진출 지금이 적기 |
| 9 |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 차세대 키트루다 도전 ‘PB203' 국가신약 과제 선정 |
| 10 | [전문가 칼럼] 유럽 뷰티, 사후 스킨케어서 예방적 관리로 전환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 전문 기업 로킷헬스케어(대표 유석환)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으로부터 당뇨발 AI 재생치료에 대한 임상시험 시작 승인을 획득했다.
이번 승인을 통해 로킷헬스케어의 혁신의료기술인 ‘3D 바이오프린팅 기반 자가 미세지방 조직을 이용한 상처 치료’는 국내 의료현장에서 첫번째 적용될 AI 바이오 프린팅 혁신의료기술이다.
회사 관계자는 “로킷헬스케어의 당뇨발 재생플랫폼은 5개국 임상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했고, 단한번 치료를 통해 82%가 재생됨을 확인했다"며 "미국 남미 등에서 건강 보험 적용 중에 있어, 한국 내에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기존 치료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당뇨병성 족부궤양(당뇨발) 환자를 대상으로, AI 기반 바이오프린터로 제작한 환자 자가 미세지방 패치를 상처 부위에 이식해 조직을 보호하고 재생을 촉진하는 방식 첨단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의료기술이다.
특히 전 수술 과정이 하나의 수술방 안에서 단시간 내 이뤄지고, 별도 입원 없이 귀가가 가능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뛰어난 시간·경제적 효율성을 제공한다는 점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작년 기준 국내 당뇨발 환자는 약 17,000여 명 수준이며, 매년 1천여 명이 당뇨발로 족부를 절단한다. 족부 절단환자는 통상 5년 내 약 50%가 사망한다고 알려져있다.
일단 당뇨발이 악화되면 즉시 절단 외에는 아직까지 선택지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이번 첨단 기술이 향후 표준치료로 자리 잡을 경우, 당뇨발 환자들 족부보존을 위한 실질적 대안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 관계자는 “당뇨발 재생치료의 국내 도입은 절단 중심 기존 치료 패러다임을, 조직·혈관을 되살리는 재생치료 중심으로 전환하는 상징적 사건”이라며 “퇴직, 장기 요양,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삶의 질 저하와 더불어 사회 전반에 누적되는 상처 치유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반복 입원, 합병증 관리, 장기 재활에 들어가는 의료·사회보장비 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임상 개시는 그동안 해외 임상 현장에서 활발히 사용돼온 로킷헬스케어 기술이 국내에서도 공식적인 평가와 인정의 단계에 진입했다는 의미”라며 “절단을 당연시하던 당뇨발 치료 공식을 ‘절단 없는 재생’으로 전환하고, 나아가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탄탄한 의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