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19일(수)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에 동행할 경제사절단 참가기업 122개사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 중 바이오헬스 기업이 무려 21곳에 달한다.
해당 기업으로는 △셀트리온 △보령 △HK이노엔 △올릭스 △지놈앤컴퍼니 △진케스트 △바이오오케스트라 △메디픽셀 △셀러스 △시프트바이오 △영케미칼 △아이엠비디엑스 △소젠 △웰트 △닥터나우 △에이슬립 △에이스메디컬 △지비소프트 △휴이노 △테서 △한국바이오협회다.
미국 경제사절단은 전경련의 모집공고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됐다.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위해 주요 경제단체 대표, 관련 공공기관, 전문가 등으로 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2차례 심의를 거쳤으며, 신청 기업들의 비즈니스 기대성과, 대미 교역 및 투자 실적, 주요 산업 분야 협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발됐다.
동 사절단은 이번 정부 출범 이후 최대규모의 경제사절단으로, 대기업 19개, 중소․중견기업 85개, 경제단체 및 협․단체 14개, 공기업 4개 등 총 122개로 구성됐다. 12년 만의 국빈방문을 전격 지원하기 위해 ’03년 이후 20년만에 처음으로 4대 그룹 총수와 6대 경제단체장이 모두 참여한다. 또 중소․중견기업의 미국 시장진출과 혁신스타트업의 성장 지원을 위해 전체 사절단 중 약 70%에 해당하는 중견․중소기업 85개사를 선정했다.
이번 사절단의 테마가 첨단산업인 만큼 반도체․항공우주․방위산업․에너지․바이오․모빌리티 분야의 기업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방미 기간동안 양국의 첨단산업 협력 고도화를 위해 힘쓸 예정이다.
경제사절단은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미국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가 주관하는 한미 첨단산업 포럼, 美 정부가 주최하는 백악관 환영 행사,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 테이블 등 다양한 행사에 참석하여 양국 경제 및 산업 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미국 정부 관계자 및 기업인들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비즈니스 확대의 기회를 갖게 될 예정이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일동제약의 유노비아, '1상 성공 비만 신약' 들고 공식석상 첫 등장 |
| 2 | 스탠드업테라퓨티스·서울대, 세계 최초 '세포초기화'로 '파킨슨병' 완치 제시 |
| 3 | 넥스트바이오메디컬,'넥스피어' 미국 FDA 프리서브미션 완료 |
| 4 | 디앤디파마텍, 경구용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오랄링크' 캐나다 특허 등록 결정 |
| 5 | 케어젠 " 코글루타이드,'정상 체중 비만' 개선 첫 임상 성공" |
| 6 | 제조소 이전에 생동시험 없다…식약처 20년 만 규제 대수술 |
| 7 | 한미약품 “비만 신약, GLP-1 파생 한계 넘을 것…미충족 수요 정조준” |
| 8 | "펩트론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 글로벌 빅파마 평가 단계 진입" |
| 9 | 로킷헬스케어, 이스라엘 공보험 진입 최종 파일럿 스터디 승인 |
| 10 | 에이비엘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과 파트너십은 나의 힘”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19일(수)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에 동행할 경제사절단 참가기업 122개사의 명단을 발표했다. 이 중 바이오헬스 기업이 무려 21곳에 달한다.
해당 기업으로는 △셀트리온 △보령 △HK이노엔 △올릭스 △지놈앤컴퍼니 △진케스트 △바이오오케스트라 △메디픽셀 △셀러스 △시프트바이오 △영케미칼 △아이엠비디엑스 △소젠 △웰트 △닥터나우 △에이슬립 △에이스메디컬 △지비소프트 △휴이노 △테서 △한국바이오협회다.
미국 경제사절단은 전경련의 모집공고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됐다.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위해 주요 경제단체 대표, 관련 공공기관, 전문가 등으로 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2차례 심의를 거쳤으며, 신청 기업들의 비즈니스 기대성과, 대미 교역 및 투자 실적, 주요 산업 분야 협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발됐다.
동 사절단은 이번 정부 출범 이후 최대규모의 경제사절단으로, 대기업 19개, 중소․중견기업 85개, 경제단체 및 협․단체 14개, 공기업 4개 등 총 122개로 구성됐다. 12년 만의 국빈방문을 전격 지원하기 위해 ’03년 이후 20년만에 처음으로 4대 그룹 총수와 6대 경제단체장이 모두 참여한다. 또 중소․중견기업의 미국 시장진출과 혁신스타트업의 성장 지원을 위해 전체 사절단 중 약 70%에 해당하는 중견․중소기업 85개사를 선정했다.
이번 사절단의 테마가 첨단산업인 만큼 반도체․항공우주․방위산업․에너지․바이오․모빌리티 분야의 기업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방미 기간동안 양국의 첨단산업 협력 고도화를 위해 힘쓸 예정이다.
경제사절단은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미국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가 주관하는 한미 첨단산업 포럼, 美 정부가 주최하는 백악관 환영 행사,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 테이블 등 다양한 행사에 참석하여 양국 경제 및 산업 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미국 정부 관계자 및 기업인들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비즈니스 확대의 기회를 갖게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