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김경아 사장)가 성과와 역량 기반이 인사 원칙 아래, 탁월한 업적을 통해 회사에 기여하고 미래 혁신을 선도할 차세대 리더를 중심으로 부사장 2명, 상무 4명 등 총 6명의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개발2본부장 신동훈 부사장(1974년생)은 의사 출신 임상의학 전문가로 바이오시밀러 임상 설계와 의학적 검토 및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신약 임상과 허가 전략을 수립했다.
개발1본부 MSAT(Manufacturing Science & Technology)팀장 신지은 부사장(1981년생)은 공정개발, 기술이전 등 전문성을 보유한 개발 전문가로 생산공정 최적화, 신규 파트너사 발굴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제고했다.
법무그룹장 손성훈 상무(1975년생)는 IP전문성을 갖춘 해외 변호사로 특허 출원과 법무 검토를 신속하게 지원하고 다수 글로벌 IP소송을 담당해 제품 적기 출시에 기여했다.
PE(Product Evaluation)팀 임상개발그룹장 안소신 상무(1980년생)는 중개의학 전문가로 비임상 신약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했고 신약 개발 임상 설계를 주도했다.
전략팀 사업전략그룹장 이남훈 상무(1977년생) 전략 수립, SCM 등 다양한 업무 경험을 갖춘 사업기획 전문가로 지주사 체제 전환을 주도하고 바이오 신사업 추진 전략 수립에 기여했다.
RA(Regulatory Affairs)팀 RA3그룹장 정의한 상무(1987년생)는 제품 인허가 전문가로 시판허가 국가를 확대해 매출증대 기반을 마련했고 바이오시밀러 개발일정 단축과 비용 절감에 기여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성장 잠재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글로벌 바이오 제약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지속 성장하도록 더욱 발돋움해 나갈 계획”이리고 밝혔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스탠드업테라퓨티스·서울대, 세계 최초 '세포초기화'로 '파킨슨병' 완치 제시 |
| 2 |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망막혈관 질병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
| 3 | 보령, 3분기 매출 2800억…영업이익 51% 증가하며 수익성 대폭 개선 |
| 4 | 바이오마커가 임상의 시작이자 끝…“초기 판단이 신약 성패 결정” |
| 5 | 비대면진료 제도화 초읽기…약사회 “플랫폼 왜곡 바로잡아야” |
| 6 | "트럼프 2기 '관세 폭탄'"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생존 전략은? |
| 7 | 삼성바이오에피스, 정기 임원 인사 단행 |
| 8 | AI, 신약 개발 전 과정 주도..."'자율화 연구 시스템'으로 혁신 가속화" |
| 9 | 한미약품 “비만 신약, GLP-1 파생 한계 넘을 것…H.O.P 전략으로 미충족 수요 정조준” |
| 10 | K-뷰티, 남미 진출 지금이 적기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김경아 사장)가 성과와 역량 기반이 인사 원칙 아래, 탁월한 업적을 통해 회사에 기여하고 미래 혁신을 선도할 차세대 리더를 중심으로 부사장 2명, 상무 4명 등 총 6명의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개발2본부장 신동훈 부사장(1974년생)은 의사 출신 임상의학 전문가로 바이오시밀러 임상 설계와 의학적 검토 및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신약 임상과 허가 전략을 수립했다.
개발1본부 MSAT(Manufacturing Science & Technology)팀장 신지은 부사장(1981년생)은 공정개발, 기술이전 등 전문성을 보유한 개발 전문가로 생산공정 최적화, 신규 파트너사 발굴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제고했다.
법무그룹장 손성훈 상무(1975년생)는 IP전문성을 갖춘 해외 변호사로 특허 출원과 법무 검토를 신속하게 지원하고 다수 글로벌 IP소송을 담당해 제품 적기 출시에 기여했다.
PE(Product Evaluation)팀 임상개발그룹장 안소신 상무(1980년생)는 중개의학 전문가로 비임상 신약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했고 신약 개발 임상 설계를 주도했다.
전략팀 사업전략그룹장 이남훈 상무(1977년생) 전략 수립, SCM 등 다양한 업무 경험을 갖춘 사업기획 전문가로 지주사 체제 전환을 주도하고 바이오 신사업 추진 전략 수립에 기여했다.
RA(Regulatory Affairs)팀 RA3그룹장 정의한 상무(1987년생)는 제품 인허가 전문가로 시판허가 국가를 확대해 매출증대 기반을 마련했고 바이오시밀러 개발일정 단축과 비용 절감에 기여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성장 잠재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글로벌 바이오 제약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지속 성장하도록 더욱 발돋움해 나갈 계획”이리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