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킷헬스케어, ‘AI 심장재생 패치’ 개발 완료…국내외 전임상 착수
수축·이완 가능 심근 모사 패치 완성..국내외 최정상 연구진과 공동 전임상 진행
심근경색·심근병증·심부전 미충족 수요 겨냥..‘자가세포 기반’ 차세대 AI 재생치료
입력 2025.11.13 08:58 수정 2025.11.13 09: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AI 장기재생 플랫폼 전문기업 로킷헬스케어( 대표 유석환)가 심근 수축 및 이완 기능을 구현하는 독자적인 AI 심장재생 패치 제작을 완료했다. 회사는 심근경색 동물 모델을 이용한 국내외 전임상 시험에 본격 착수한다.

로킷헬스케어는 과거 독일 프라운호퍼 생명공학연구소(Fraunhofer IBMT)와 심장재생 패치 협력 경험과 더불어 피부, 연골, 신장 등 타 장기 재생에서 축적한 소재·세포처리 노하우를 통합해 독자 AI 심장재생 패치를 완성했다. 이는 '자가세포 기반'의 차세대 AI 재생치료를 지향해 연구개발을 이어온 결과물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AI 심장재생 패치는 심장근육과 모세혈관의 동시 재생을 목표로 설계됐다. 주요 기능은 전기신호 전도 및 동기 수축 유도, 심장벽 구조적 보강,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 국소 전달, 면역·염증 반응 최소화다. 이를 통해 손상된 심근을 재생하는 것이 핵심이다.

로킷헬스케어는 국내외 심장 분야 최고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통해 효능·안전성을 단계적으로 검증하고 적응증을 심근경색·확장성 심근병증·심부전 등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로킷헬스케어 관계자는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에서 약 1,980만명이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는 등 심혈관질환(CVD)은 여전히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이지만 기존 증상 관리 중심 치료법으로는  손상된 심근 자체를 회복시키는 데 한계가 있고, 심부전 등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근본적인 심혈관 질환 치료법 개발은 장기재생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게 해결 해야 할 도전 과제”라며 “피부, 연골, 신장에 이어 심장근육과 혈관을 재생하는 AI 심장재생 패치를 통해 종합 장기 재생 분야 글로벌 퍼스트 무버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기관지확장증, ‘안정적 조절’이 목표”…염증 조절로 악화 줄인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로킷헬스케어, ‘AI 심장재생 패치’ 개발 완료…국내외 전임상 착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로킷헬스케어, ‘AI 심장재생 패치’ 개발 완료…국내외 전임상 착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