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항암면역치료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대표 이제중)는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와 12일 황반변성 항체치료제 DDS(약물전달시스템) 제형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로 양 측은 ▲항체치료제 DDS 플랫폼 연구 협력 ▲ 보유 장비와 기술, 시장정보의 상호 공유 ▲공동 연구 과제에 대한 행정 및 기술 지원 등에서 전방위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황반변성은 3대 실명 원인 중 하나로, 현재는 대부분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를 억제하는 약물을 안구 내에 직접 주사해 치료한다. 치료 효과는 입증이 됐지만, 안구에 직접 주사를 놓는 주사제여서 많은 환자들이 공포감을 느끼거나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박셀바이오는 이러한 주사제형 치료제를 대체할 환자 친화적인 새로운 황반변성 치료제 VCB-1502를 개발하고 있다. 기존 항체에 비해 크기를 줄인 나노바디 항체 기반 VCB-1502는 DDS 제형으로 안구 침투율 등이 우수해 주사제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생물 기반 생산 시스템을 갖춰 생산 효율도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VCB-1502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가 수용체(VEGFR)와 결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신생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박셀바이오는 실제 연구에서 VCB-1502 나노바디 항체의 우수한 VEGF 항원 결합력과 생체 내 VEGF 억제를 통한 신생 혈관 생성 차단 능력을 확인했다.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는 “기존 황반변성 치료제는 항체 크기로 인해 주사제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나노바디 항체 기술로 크기를 줄여 투여 경로를 다각화한 DDS제형이 나오면, 점점 커지고 있는 전 세계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에 상당한 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박셀바이오는 DDS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와의 협력으로 황반변성 치료제 외에도 여러 개량 신약 연구 개발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박셀바이오는 항암면역치료제와 이중항체 치료제, DDS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 및 제제 개발 등의 분야에서 선도적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반려견 유선종양 전문의약품인 ‘박스루킨-15’에 대해 세계 최초로 림프종 면역보조치료제로 품목허가를 획득했고, 간암 치료 임상 2a까지 마친 NK(자연살해) 세포치료제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추가적인 치료목적 사용 승인을 받았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로킷헬스케어, ‘AI 심장재생 패치’ 개발 완료…국내외 전임상 착수 |
| 2 | '종합 약가제도 개편안' 발표 임박...제약업계 '기대 반, 우려 반' |
| 3 | FDA, 리처드 파즈더 신임 CDER 국장 임명…‘암 규제 혁신가’에서 최고 의약품 책임자로 |
| 4 | 에이비엘바이오 "일라이 릴리와 3.8조 규모 기술이전 체결" |
| 5 | “이대로면 첨단재생의료·바이오 무너져…연구비 쪼개고 규제 막혀” |
| 6 | 성분명 처방 도입 시 약품비 7.9조 절감…국민 10명 중 8명 “도입 찬성” |
| 7 | 신장이 안 좋을 때 조심할 건강기능식품 |
| 8 | 패션이 치료의 언어로…릴리, 비만 인식 전환 나선다 |
| 9 | 지놈앤컴퍼니, ‘GEN-001’ 위암 임상 2상 CSR 수령… ’항암 효과 확인’ |
| 10 | 보령, ‘페니실린 신 생산시설’ 착공.."생산 능력 2배 이상 확대"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항암면역치료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대표 이제중)는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와 12일 황반변성 항체치료제 DDS(약물전달시스템) 제형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로 양 측은 ▲항체치료제 DDS 플랫폼 연구 협력 ▲ 보유 장비와 기술, 시장정보의 상호 공유 ▲공동 연구 과제에 대한 행정 및 기술 지원 등에서 전방위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황반변성은 3대 실명 원인 중 하나로, 현재는 대부분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를 억제하는 약물을 안구 내에 직접 주사해 치료한다. 치료 효과는 입증이 됐지만, 안구에 직접 주사를 놓는 주사제여서 많은 환자들이 공포감을 느끼거나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박셀바이오는 이러한 주사제형 치료제를 대체할 환자 친화적인 새로운 황반변성 치료제 VCB-1502를 개발하고 있다. 기존 항체에 비해 크기를 줄인 나노바디 항체 기반 VCB-1502는 DDS 제형으로 안구 침투율 등이 우수해 주사제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생물 기반 생산 시스템을 갖춰 생산 효율도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VCB-1502는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가 수용체(VEGFR)와 결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신생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박셀바이오는 실제 연구에서 VCB-1502 나노바디 항체의 우수한 VEGF 항원 결합력과 생체 내 VEGF 억제를 통한 신생 혈관 생성 차단 능력을 확인했다.
이제중 박셀바이오 대표는 “기존 황반변성 치료제는 항체 크기로 인해 주사제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나노바디 항체 기술로 크기를 줄여 투여 경로를 다각화한 DDS제형이 나오면, 점점 커지고 있는 전 세계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에 상당한 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박셀바이오는 DDS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춘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와의 협력으로 황반변성 치료제 외에도 여러 개량 신약 연구 개발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박셀바이오는 항암면역치료제와 이중항체 치료제, DDS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 및 제제 개발 등의 분야에서 선도적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반려견 유선종양 전문의약품인 ‘박스루킨-15’에 대해 세계 최초로 림프종 면역보조치료제로 품목허가를 획득했고, 간암 치료 임상 2a까지 마친 NK(자연살해) 세포치료제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추가적인 치료목적 사용 승인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