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봉엘에스는 지난 21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개량신약 기술이전 및 비만치료제 글로벌 협업 컨퍼런스'를 열고 주요 파이프라인의 개발 현황과 기술이전 전략을 소개했다고 26일 밝혔다.
행사에는 77개 제약사 138명이 참석해 경구 항진균제, L-에르도스테인 신제형, GLP-1 기반 비만치료제 등 회사가 중점 추진하는 과제의 연구 진척과 사업화 로드맵이 공유됐다.
컨퍼런스는 세 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세션에서 대봉엘에스 박은주 이사는 주요 파이프라인의 R&D 추진 현황과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고, 김앤장 법률사무소 남경탁 전문위원은 개량신약 허가 전략을 통해 인허가 접근과 사업화 가능성을 설명했다.
두 번째 세션은 비임상과 안전성 평가에 초점을 맞췄다. 디티앤씨알오(DT&CRO) 이철규 부사장은 경구용 에피나코나졸과 L-에르도스테인 신제형의 효력 평가 데이터를 발표했고, 코아스템켐온 송시환 사장은 GLP 독성시험 기반의 안전성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타당성을 제시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임상 전략과 글로벌 협업 구조가 논의됐다. 클립스비엔씨 지준환 대표는 개량신약 임상 개발과 설계 방향을 소개했고, 쉴파 파마 라이프사이언스(Shilpa Pharma Lifesciences Limited)의 디팍 칼리타(Dr. Dipak Kalita)는 GLP-1 기반 비만·대사질환 치료제의 한국·태국 시장 사업화 계획을 발표했다.
칼리타 CTO는 "대봉엘에스는 한국 시장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로,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과 태국의 바이오 역량을 시너지로 묶어내는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경구용 에피나코나졸은 기존 외용 항진균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간독성과 약물 상호작용 부담을 낮추고, 1일 1회 복용으로 복약 편의성을 높였다. 대봉엘에스는 해당 물질의 특허를 2040년까지 확보해 장기 경쟁력을 기대하고 있다.
L-에르도스테인 신제형은 유효 이성질체인 L-form만 선택 적용해 투여 부담을 줄이는 한편, 제조공정 효율화를 통해 원가 절감과 환자 접근성 향상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대봉엘에스 관계자는 "원료의약품 제조로 축적해 온 기술력과 생산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적용할 개량신약을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며 "핵심 파이프라인 상용화를 가속화해 R&D 기반 성장형 제약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일동제약의 유노비아, '1상 성공 비만 신약' 들고 공식석상 첫 등장 |
| 2 | 로킷헬스케어, 이스라엘 공보험 진입 최종 파일럿 스터디 승인 |
| 3 | "펩트론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 글로벌 빅파마 평가 단계 진입" |
| 4 | K-뷰티, 미국 온라인 인기 업고 오프라인 '맹공' |
| 5 | 일반약 제형 변경 기준 첫 정비…동반질환 복합제 3상 부담도 완화 |
| 6 | SK바이오팜 “중국 이미 넘사벽…제2의 엑스코프리 '오픈이노베이션'서 찾을 것" |
| 7 | '혁신'이냐, '생존 위협'이냐...약가제도 개편, 이번 주 분수령 |
| 8 | "부활 신호탄" 바이젠셀, 혈액암 신약 'VT-EBV-N' 2상 통계적 유의성 확보 |
| 9 | [기업분석] 한국콜마 3Q 매출 6830억…전기대비 6.5% ↓ |
| 10 | 휴온스 “클레이셔·메노락토 넘은 다음 목표는 신약…오픈이노베이션 승부수”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봉엘에스는 지난 21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개량신약 기술이전 및 비만치료제 글로벌 협업 컨퍼런스'를 열고 주요 파이프라인의 개발 현황과 기술이전 전략을 소개했다고 26일 밝혔다.
행사에는 77개 제약사 138명이 참석해 경구 항진균제, L-에르도스테인 신제형, GLP-1 기반 비만치료제 등 회사가 중점 추진하는 과제의 연구 진척과 사업화 로드맵이 공유됐다.
컨퍼런스는 세 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세션에서 대봉엘에스 박은주 이사는 주요 파이프라인의 R&D 추진 현황과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고, 김앤장 법률사무소 남경탁 전문위원은 개량신약 허가 전략을 통해 인허가 접근과 사업화 가능성을 설명했다.
두 번째 세션은 비임상과 안전성 평가에 초점을 맞췄다. 디티앤씨알오(DT&CRO) 이철규 부사장은 경구용 에피나코나졸과 L-에르도스테인 신제형의 효력 평가 데이터를 발표했고, 코아스템켐온 송시환 사장은 GLP 독성시험 기반의 안전성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 타당성을 제시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임상 전략과 글로벌 협업 구조가 논의됐다. 클립스비엔씨 지준환 대표는 개량신약 임상 개발과 설계 방향을 소개했고, 쉴파 파마 라이프사이언스(Shilpa Pharma Lifesciences Limited)의 디팍 칼리타(Dr. Dipak Kalita)는 GLP-1 기반 비만·대사질환 치료제의 한국·태국 시장 사업화 계획을 발표했다.
칼리타 CTO는 "대봉엘에스는 한국 시장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로,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과 태국의 바이오 역량을 시너지로 묶어내는 모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경구용 에피나코나졸은 기존 외용 항진균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간독성과 약물 상호작용 부담을 낮추고, 1일 1회 복용으로 복약 편의성을 높였다. 대봉엘에스는 해당 물질의 특허를 2040년까지 확보해 장기 경쟁력을 기대하고 있다.
L-에르도스테인 신제형은 유효 이성질체인 L-form만 선택 적용해 투여 부담을 줄이는 한편, 제조공정 효율화를 통해 원가 절감과 환자 접근성 향상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대봉엘에스 관계자는 "원료의약품 제조로 축적해 온 기술력과 생산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적용할 개량신약을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며 "핵심 파이프라인 상용화를 가속화해 R&D 기반 성장형 제약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