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양그룹 의약바이오 전문 계열사 삼양바이오팜(대표 김경진)은 24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시장에 상장했다고 24일 밝혔다. 상장 주식수는 743만 5,870주다.
이번 상장은 지난 1일 삼양그룹의 지주회사인 삼양홀딩스에서 인적분할된 이후 직상장 방식으로 이뤄졌다. 삼양홀딩스 주주가 기존법인과 신설법인의 주식을 지분율에 비례해 소유하게 되어 청약 절차 없이 상장됐다.
삼양바이오팜은 이번 상장을 계기로 기업의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시장에서 독립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됐다. 해외 파트너 및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한편, 연구개발(R&D)과 글로벌 진출 자금 확보 측면에서도 더욱 유리해졌다.
앞으로 삼양바이오팜은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 유전자전달체, 항암제 등 스페셜티(고기능성)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기업가치 제고에 나설 방침이다.
삼양바이오팜은 1993년 국내 최초로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 개발에 성공했으며, 현재 글로벌 봉합원사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항암제 중심의 의약사업도 강화해 고형암 7종, 혈액암 5종의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간 500만 바이알 생산이 가능한 세포독성 항암주사제 공장을 준공하고 일본과 유럽에서 GMP 인증을 획득했다. 자체 개발한 유전자전달체 ‘SENS(Selectivity Enabling NanoShell)’을 활용한 차세대 신약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삼양바이오팜 김경진 대표는 “이번 상장을 계기로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성을 독립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됐다”며 “삼양바이오팜이 가진 경쟁 우위를 바탕으로 기업가치를 높여 그룹 전체의 밸류에이션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양바이오팜은 고형암 7종, 혈액암 5종의 항암제 포트폴리오도 구축하고 있다.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생산이 어려운 항암제를 자체 기술로 국산화하고, 개량신약을 개발해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전 의약 공장에 액상주사제, 동결건조주사제를 합쳐 총 5백만 바이알을 생산할 수 있는 세포독성 항암주사제 전용 공장을 증설했다. 이 공장은 미국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에 맞춰 설계됐으며, 국내 항암주사제 공장 중 유일하게 유럽과 일본의 GMP를 획득했다.
삼양바이오팜은 자체 개발한 유전자전달체 ‘SENS(Selectivity Enabling NanoShell)’ 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SENS는 siRNA(짧은 간섭 리보핵산), mRNA(메신저 리보핵산)와 같은 핵산 기반 치료제 및 유전자 교정약물을 간, 폐, 비장 등 다양한 조직의 특정 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약물 전달 기술(DDS, Drug Delivery System) 플랫폼이다.
원하는 조직으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해 원하는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비표적(Off target)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한 것이 강점이다. 또한, 기존에 mRNA 전달체로 잘 알려진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 LNP)와 달리 생분해성 고분자와 LNP가 합쳐진 형태로 기존 전달체의 여러 단점도 보완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툴젠, 홍콩 진에딧바이오와 전략적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2 | 삼천당제약, 3Q 당기매출 전년比 10.8%↑, 영업익 · 순익 흑자전환 |
| 3 | '노보가 성장 멈추면 덴마크도 성장 멈춘다' |
| 4 | 스탠드업테라퓨티스·서울대, 세계 최초 '세포초기화'로 '파킨슨병' 완치 제시 |
| 5 | 압타바이오, 면역항암제 ‘APX-343A’ 유럽 특허 확보…글로벌 경쟁력 강화 |
| 6 | 삼양바이오팜, 인적분할 거쳐 코스피 상장 |
| 7 | "트럼프 2기 '관세 폭탄'"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생존 전략은? |
| 8 |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 차세대 키트루다 도전 ‘PB203' 국가신약 과제 선정 |
| 9 | 박셀바이오, 'MYO1D' 제거 표적항암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협약 |
| 10 | ‘키트루다’+‘파드셉’ 근육침습 방광암 FDA 허가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삼양그룹 의약바이오 전문 계열사 삼양바이오팜(대표 김경진)은 24일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시장에 상장했다고 24일 밝혔다. 상장 주식수는 743만 5,870주다.
이번 상장은 지난 1일 삼양그룹의 지주회사인 삼양홀딩스에서 인적분할된 이후 직상장 방식으로 이뤄졌다. 삼양홀딩스 주주가 기존법인과 신설법인의 주식을 지분율에 비례해 소유하게 되어 청약 절차 없이 상장됐다.
삼양바이오팜은 이번 상장을 계기로 기업의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시장에서 독립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됐다. 해외 파트너 및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한편, 연구개발(R&D)과 글로벌 진출 자금 확보 측면에서도 더욱 유리해졌다.
앞으로 삼양바이오팜은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 유전자전달체, 항암제 등 스페셜티(고기능성)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기업가치 제고에 나설 방침이다.
삼양바이오팜은 1993년 국내 최초로 생분해성 수술용 봉합사 개발에 성공했으며, 현재 글로벌 봉합원사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항암제 중심의 의약사업도 강화해 고형암 7종, 혈액암 5종의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간 500만 바이알 생산이 가능한 세포독성 항암주사제 공장을 준공하고 일본과 유럽에서 GMP 인증을 획득했다. 자체 개발한 유전자전달체 ‘SENS(Selectivity Enabling NanoShell)’을 활용한 차세대 신약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삼양바이오팜 김경진 대표는 “이번 상장을 계기로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성을 독립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됐다”며 “삼양바이오팜이 가진 경쟁 우위를 바탕으로 기업가치를 높여 그룹 전체의 밸류에이션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양바이오팜은 고형암 7종, 혈액암 5종의 항암제 포트폴리오도 구축하고 있다.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생산이 어려운 항암제를 자체 기술로 국산화하고, 개량신약을 개발해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전 의약 공장에 액상주사제, 동결건조주사제를 합쳐 총 5백만 바이알을 생산할 수 있는 세포독성 항암주사제 전용 공장을 증설했다. 이 공장은 미국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에 맞춰 설계됐으며, 국내 항암주사제 공장 중 유일하게 유럽과 일본의 GMP를 획득했다.
삼양바이오팜은 자체 개발한 유전자전달체 ‘SENS(Selectivity Enabling NanoShell)’ 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SENS는 siRNA(짧은 간섭 리보핵산), mRNA(메신저 리보핵산)와 같은 핵산 기반 치료제 및 유전자 교정약물을 간, 폐, 비장 등 다양한 조직의 특정 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게 하는 약물 전달 기술(DDS, Drug Delivery System) 플랫폼이다.
원하는 조직으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해 원하는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비표적(Off target)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한 것이 강점이다. 또한, 기존에 mRNA 전달체로 잘 알려진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 LNP)와 달리 생분해성 고분자와 LNP가 합쳐진 형태로 기존 전달체의 여러 단점도 보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