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평균 이자비용 · 이자보상배율 '증가'
이자비용, 코스피 50억원, 코스닥 13억원…전년 동기 대비 코스피 8.4%, 코스닥 5.2% 증가
이자보상배율, 코스피 39.04, 코스닥 330.25…전년 동기 대비 코스피 12.26P, 코스닥 218.37P 증가
입력 2025.11.06 00:39 수정 2025.11.06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사들의 이자비용과 이자보상배율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코스닥 모두 전년동기 대비 이자비용과 이자보상배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업신문이 2025년 상반기 상장 96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2개사, 코스닥 54개사) 이자비용과 이자보상배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2분기 누적 평균 이자비용은 코스피 50억 원, 코스닥 13억 원을 기록했다. 2024년 2분기 대비 코스피는 8.4%, 코스닥은 5.2% 각각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코스피 39.04, 코스닥 330.22로 나타났다. 전년 같은 기간대비 코스피는 12.26P 증가했고 코스닥은 218.37P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이 수치가 1보다 작으면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다는 뜻이며, 1.5 이상이면 재무 건전성이 양호한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면 ‘좀비 기업(한계기업)’으로 간주된다. 영업이익이 마이너스일 경우 이자보상배율도 음수가 되며, 이는 본업에서 손실을 내고 있다는 신호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2개사)

올해 2분기 누적 이자비용이 가장 많은 기업은 셀트리온으로 360억 원이다. 이어 △GC녹십자 241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 182억 원, △동아에스티 105억 원, △한독 99억 원, △한미약품 94억 원, △동성제약 79억 원, △유한양행 75억 원, △일동제약 75억 원, △이연제약 65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하나제약은 이자비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누적 이자보상배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52.94이다. 이어△한미약품 12.71, △셀트리온 10.88, △유한양행 7.50, △GC녹십자 1.46, △일동제약 0.64로 집계됐다. △동아에스티, △한독, △동성제약, △이연제약은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올해 2분기 누적 이자비용 증가율 상위 기업은 △이연제약이 6958.5%로 가장 높았다. 이어 △SK바이오사이언스 838.4%, △대웅제약 500.4%, △동성제약 494.5%, △삼일제약 100.2%가 증가했다. 이어 △동화약품 96.8%,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74.3%, △JW생명과학 49.1% △유한양행 30.3% △GC녹십자 28.8% 순으로 증가했다. 코스피 평균 8.4% 증가했다.

2분기 누적 이자비용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JW중외제약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6% 줄었다. 이어 △부광약품 -52.6%, △팜젠사이언스 -46.3%, △영진약품 -27.9%, △한미약품 -27.5%, △국제약품 -27.4%, △삼성바이오로직스 -25.1% △제일약품 -24.1%, △대원제약 -20.2% △유유제약 -19.2%로 이자비용이 감소했다.

이자보상배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파미셀로 727.95를 기록했다. 이어 △환인제약 611.4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302.50 △삼성바이오로직스 52.94, △JW중외제약 18.61, △SK바이오팜 18.75, △한올바이오파마 17.76, △대웅제약 16.53, △한미약품 12.71, △국제약품 11.84 순이다. 코스피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39.04로 집계됐다.

2분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현대약품 0.67, △동성제약 0.64로 2곳으로 나타났다.

2분기 이자보상배율이 전기 대비 가장 크게 감소한 기업은 대원제약으로 3.16P 줄었다. 이어 △일양약품 -1.41P, △유유제약 -0.98P, △동화약품 -0.80P, △제일약품 -0.64P, △일동제약 -0.47P, △부광약품 -0.45P, △영진약품 -0.27P, △JW생명과학 0.16P, △광동제약 0.21P 순으로 이자보상배율이 하락했다. 코스피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전기 대비 8.91P 감소했다.

이자비용이 전기 대비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부광약품으로 52.6% 줄었다. 이어 △영진약품 -27.9%, △제일약품 -24.1%, △대원제약오 -20.2%, △유유제약 -19.2%, △일동제약 -8.4%로 이자비용이 감소했다. 반면 동화약품은 96.8% 증가했고, △JW생명과학 49.1% △광동제약 12.7% △일양약품 8.3% 증가했다.

이자보상배율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많이 하락한 기업은 대웅제약으로, 57.45 줄었다. 이어 △동화약품 -10.96P, △종근당 -6.56P, △JW생명과학 -4.27P, △광동제약 -3.01P, △현대약품 -1.95P, △종근당바이오 -1.16P, △경보제약 -0.86P, △대원제약 -0.81P △유유제약 -0.47P 순으로 감소했다. 코스피 평균은 전년 동기 대비 12.26P 증가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54개사)

2025년 2분기(연결기준)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이자비용이 가장 많은 곳은 제테마로 64억 원을 기록했다. 이어 △파마리서치 53억 원, △알테오젠 44억 원, △코오롱생명과학 41억 원, △이수앱지스 39억 원, △셀트리온제약 35억 원, △휴온스 32억 원, △대화제약 24억 원, △지씨셀 23억 원, △CMG제약 22억원 순이다. 코스닥 평균 이자비용은 1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은 파마리서치는 19.12, 알테오젠 13.75로 두 회사가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휴온스 8.19 △셀트리온제약 7.52, △이수앱지스 2.31, △대화제약 0.58, △제테마 0.26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지씨셀 △CMG제약은 영업손실로 나타났다. 케어젠은 이자비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이자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은 알테오젠이 1452.4%, 파마리서치가 1388.3%, CMG제약이 1247.4%로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이어 △현대바이오사이언스 269.2%, △휴온스 127.1%, △바이넥스 116.0%, △에스바이오메딕스 100.1%로 100%이상 증가를 기록했다. 코스닥 평균 이자비용은 5.2% 증가했다.

전기 대비 기준 이자보상배율 증감은  △알테오젠 -32.80P, △한국비엔씨 -11.86P △동구바이오제약 -.0.20P 등이 두드러졌다.

2분기 이자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많이 감소한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은 에스티팜으로, 81.0% 줄었다. 이어 △휴젤 -67.4%, △동국생명과학 -67.1%, △JW신약 -63.5%, △동국제약 -59.5%, △경남제약 -38.2%, △경남제약 -38.2%, △아이큐어 -35.3%, △한국유니온제약 -32.2%, △엘앤씨바이오 -25.0%, △GC녹십자엠에스 -21.8%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2분기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한약품으로, 14815.20을 기록했다. 이어 △고려제약 1629.09, △휴메딕스 611.51, △신일제약 472.20, △휴젤 252.43, △폴라리스AI파마 143.93, △옵투스제약 107.82, △바이오플러스 61.78, △동국제약 40.03, △삼아제약 37.30 순이었다. 2분기 코스닥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330.25로 집계됐다.

2분기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총 7곳으로 나타났다. △바이넥스 0.96, △대화제약 0.58, △HLB제약 0.54, △한국파마 0.54, △비씨월드제약 0.53, △코오롱생명과학 0.32, △제테마 0.26 이다.

2분기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전기 대비 가장 크게 하락한 기업은 휴젤로, 4509.26P 감소했다. 이어 △알테오젠 -32.80P, △삼아제약 -17.69P, △한국비엔씨 -11.86P, △HLB제약 -10.44P, △테라젠이텍스 -4.28P, △동국제약 -1.48P, △경동제약 -1.48P, △진양제약 -1.34P, △대한뉴팜 -0.79P 순이다. 같은 기간 코스닥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115.03P 감소했다.

2분기 코스닥 제약바이오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전년 동기 대비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파마리서치로, 143.29P 하락했다. 이어 △삼아제약 -30.76P, △알테오젠 -23.36P, △한국비엔씨 -16.44P, △HLB제약 -6.80P, △휴온스 -6.17P, △대한뉴팜 -4.55P △휴엠엔씨 -3.12P △동구바이오제약 -2.62P, △테라젠이텍스 -2.26P 순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전년 동기 대비 218.37P 상승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인터뷰] 장미 유래 엑소좀으로 글로벌 공략 나선다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평균 이자비용 · 이자보상배율 '증가'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평균 이자비용 · 이자보상배율 '증가'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