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ASCO·맥킨지 심포지엄 참가
아시아 제약바이오 기업 다이이찌산쿄·베이진·시스톤 파마슈티컬스 등 참석
입력 2022.05.31 09:41 수정 2022.05.31 09:5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6월 4일부터 8일(미국 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2 미국임상종양학회(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CO)와 그 부대 행사인 맥킨지 심포지엄(McKinsey Symposium)에 참석해 파이프라인 임상 개발을 논의한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ASCO는 세계 3대 암 학회 중 하나로, 매년 의료 관계자, 과학자, 다국적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 등이 다수 참석해 암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항암제 임상 데이터 등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 ASCO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암 분야의 임상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진행 중인 임상과 관련하여 현지 연구자 및 협력사와 만나 긴밀한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또한, 개막 하루 전인 6월 3일(미국 현지시간)에는 경영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 & Company)가 주최하는 ASCO의 부대 행사 ASCO 맥킨지 심포지엄에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맥킨지 심포지엄의 주제는 ‘글로벌 무대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아시아 항암제(Asia Oncology – Stepping onto the global stage)’이며, 일본 제약사 다이이찌산쿄, 중국 바이오 기업 베이진(BeiGene)과 시스톤 파마슈티컬스(CStone Pharmaceuticals) 등이 참석한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상훈 대표가 유일하게 패널로 맥킨지의 초청을 받았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맥킨지의 공식 초청을 받아 아시아 지역의 항암제 개발을 논하는 자리에 패널로 참석하게 돼 기쁘다”며, “이번 초청으로 에이비엘바이오의 면역항암 분야 전문성이 세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됐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파이프라인의 임상을 가속화하고, 세계 면역항암제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에이비엘바이오는 퇴행성뇌질환 신약으로 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와 이를 활용한 ABL301 등의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 임상 1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면역항암제 분야에서는 그랩바디-T와 그랩바디-I를 기반으로 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그랩바디-T가 적용된 ABL503과 ABL111은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ABL105는 올해 그리고 ABL101과 ABL103은 2023년 임상 1상에 진입할 전망이다. 그랩바디-I 기반 ABL501은 국내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이비엘바이오, ASCO·맥킨지 심포지엄 참가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이비엘바이오, ASCO·맥킨지 심포지엄 참가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