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단법인 병원약학교육연구원(이사장 정경주, 원장 민명숙)은 오는 12월 1일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5층 오크&프리미어룸에서 ‘2025 병원약학연구논문 및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 병원약학연구논문으로 선정된 연구팀에 연구비를 전달하고, 학술상 수상자 4인에 대한 시상이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병원약학 연구논문 공모사업’은 병원약학 업무 발전과 병원약사의 연구·학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병원약학교육연구원(이하 재단)은 병원약사의 현안과 관련된 지정 주제 연구에 자체 재원으로 1000만 원을 지원하고, 대웅제약 후원으로 자유 주제 연구에 1500만 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자유주제 공모에는 서울아산병원 한슬기 약사가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한 ‘입원 초기 전산 기반 위험도 평가 시스템으로 선별된 고위험 노인 환자에서 약사 주도 포괄적 약물 검토의 효과 분석’ 연구가 선정됐다. 해당 연구에는 1500만 원의 연구비가 지원되며, 연구 결과는 2026년도 한국병원약사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2027년 11월까지 과학기술논문색인지수확장판(SCIE) 학술지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병원약학 분야의 학술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2018년 신설된 ‘재단 학술상’은 병원약사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참여해 SCIE급 학술지에 게재한 우수 논문을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이 상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공정경쟁규약심의위원회의 심의·승인을 거쳐 한미약품과 일동제약이 후원하고 있다.

올해 학술상은 다수의 추천 논문 가운데 엄정한 심사를 거쳐 신수민(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금민정(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박혜영(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조정원(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약사가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패와 상금 500만 원이 수여된다.
학술상 심사는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유윤미 교수를 위원장으로 약학대학 교수 5인, 병원약사 5인 등 총 10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맡았다. 심사 기준은 게재 학술지의 영향력지수(Impact Factor, IF), 연구의 독창성, 연구내용의 활용성, 병원약제부서 또는 약사 직능 발전 기여도, 학문적 기여도, 저자 참여도 등 6개 항목이다.
정경주 이사장은 “올해 학술상에서는 항생제 관리 프로그램, 약사 참여 진통제 관리 개선, 약물 농도 모니터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연구들이 선정돼 의미가 크다”며 “병원약학 연구논문이 성공적으로 수행돼 다제약물 관리사업 병원 모형 확장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툴젠, 홍콩 진에딧바이오와 전략적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2 | [기업분석] 파마리서치 3Q 매출 1354억…전년比 51.8%↑ |
| 3 | 삼천당제약, 3Q 당기매출 전년比 10.8%↑, 영업익 · 순익 흑자전환 |
| 4 | 마이크로디지탈, 대표 바이오소부장..일회용바이오리액터 국내 최초 사업화 |
| 5 | 모더나, 2028년 BE 목표 선언…“백신으로 버티고 종양으로 성장한다” |
| 6 | [기업분석] 아모레퍼시픽H 3Q 누적 순이익 …전년比 60.1%↓ |
| 7 | [히트상품톺아보기㉜] 바이오 신물질로 만든 세포랩 '바이오제닉 에센스' 항노화 효능 '뚜렷' |
| 8 | 미래의학연구재단 경연 우승 '바이오바이츠' 근감소증 돌파구 찾는다 |
| 9 | 지역의사제 첫 관문…지역의료 회복 vs 인프라 경고 |
| 10 | '노보가 성장 멈추면 덴마크도 성장 멈춘다'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재단법인 병원약학교육연구원(이사장 정경주, 원장 민명숙)은 오는 12월 1일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5층 오크&프리미어룸에서 ‘2025 병원약학연구논문 및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 병원약학연구논문으로 선정된 연구팀에 연구비를 전달하고, 학술상 수상자 4인에 대한 시상이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병원약학 연구논문 공모사업’은 병원약학 업무 발전과 병원약사의 연구·학술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병원약학교육연구원(이하 재단)은 병원약사의 현안과 관련된 지정 주제 연구에 자체 재원으로 1000만 원을 지원하고, 대웅제약 후원으로 자유 주제 연구에 1500만 원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자유주제 공모에는 서울아산병원 한슬기 약사가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한 ‘입원 초기 전산 기반 위험도 평가 시스템으로 선별된 고위험 노인 환자에서 약사 주도 포괄적 약물 검토의 효과 분석’ 연구가 선정됐다. 해당 연구에는 1500만 원의 연구비가 지원되며, 연구 결과는 2026년도 한국병원약사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2027년 11월까지 과학기술논문색인지수확장판(SCIE) 학술지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병원약학 분야의 학술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2018년 신설된 ‘재단 학술상’은 병원약사가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로 참여해 SCIE급 학술지에 게재한 우수 논문을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이 상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공정경쟁규약심의위원회의 심의·승인을 거쳐 한미약품과 일동제약이 후원하고 있다.

올해 학술상은 다수의 추천 논문 가운데 엄정한 심사를 거쳐 신수민(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금민정(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박혜영(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조정원(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약사가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패와 상금 500만 원이 수여된다.
학술상 심사는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유윤미 교수를 위원장으로 약학대학 교수 5인, 병원약사 5인 등 총 10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맡았다. 심사 기준은 게재 학술지의 영향력지수(Impact Factor, IF), 연구의 독창성, 연구내용의 활용성, 병원약제부서 또는 약사 직능 발전 기여도, 학문적 기여도, 저자 참여도 등 6개 항목이다.
정경주 이사장은 “올해 학술상에서는 항생제 관리 프로그램, 약사 참여 진통제 관리 개선, 약물 농도 모니터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연구들이 선정돼 의미가 크다”며 “병원약학 연구논문이 성공적으로 수행돼 다제약물 관리사업 병원 모형 확장에도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