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오이뮨텍은 지난 11월 18일부터 20일(현지시간)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면역결핍학회(ESID)-유럽혈액학회(EHA)-유럽소아종양학회(SIOPE) 공동 Focused 심포지엄 2025’에서 인터루킨-7(IL-7) 결핍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사의 T 세포 증폭제 NT-I7(Efineptakin Alfa)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ESID-EHA-SIOPE 공동 Focused 심포지엄은 면역결핍, 혈액학, 소아종양학 전문가들이 모여 난치성 면역질환의 진단·치료를 다학제적으로 논의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회로 꼽힌다.
이번 연구는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의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NIAID)의 데릭 맥매스(Derek Macmath) 박사가 ‘IL-7 결핍 환자에서 나타나는 저위험 인체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관련 피부 악성 및 전암성 병변 대상으로 한 새로운 사이토카인 대체 요법으로 치료 가능성 제시’를 주제로 발표했다.
맥매스 박사는 NT-I7의 특발성 CD4 림프구감소증(ICL) 임상을 진행하는 안드레아 리스코(Andrea Lisco) 박사 연구팀 소속으로, 의약품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Expanded Access Program)을 통해서 현재까지 총 3명의 IL-7 결핍 환자를 대상으로 NT-I7 투여 사례를 분석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특히 환자 2번의 치료 경과가 상세히 공유되었다.
발표에 따르면, 환자 2번은 뚜렷한 피부 병변을 보였으나, NT-I7을 ‘단 1회’ 투여한 결과 피부 병변이 깨끗하게 치료되는 결과를 보였다. NT-I7 투여로 인한 근본적인 치료 방식으로 피부 병변까지 치료된 점에 대해 연구진은 주목할 만한 결과임을 강조했다.
IL-7 결핍 환자들은 유전적으로 T 세포가 충분히 생성·유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ICL 환자와 매우 유사한 면역 결핍 양상을 보인다. 대다수 환자들은 여러 유형의 HPV 감염성 피부 병변을 동반하지만, 현재로서는 레이저 치료 외에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다. 환자 2번 역시 손과 발 전반에서 8종의 HPV 감염이 확인되었고, 대부분이 저위험군이었으나, 발 병변에서 고위험 HPV 58(11%)이 검출되었다.
NT-I7은 ‘장기 지속형 인간 재조합 IL-7’으로 반감기 연장을 통해 체내에서 안정적으로 T세포를 증폭·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작용 기전 덕분에 NT-I7은 CAR-T 치료와의 병용, 급성방사선증후군(ARS) 림프구 회복, ICL, 면역항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병용 및 단독 임상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네오이뮨텍 최고과학책임자 최동훈 본부장은 “IL-7 결핍 환자의 병리와 ICL 환자의 면역 상태는 거의 유사하다.”며, “이번 사례는 NT-I7이 ICL 환자 예후 개선에도 매우 유망한 효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데이터”라고 강조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GEO, GMO와 동일 규제는 족쇄"... 유전자교정 규제 혁신 이뤄져야 |
| 2 | 500억 투입 '한국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신약개발 지형 흔든다 |
| 3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파우더·넥스피어' 세계일류상품 육성사업' 선정 |
| 4 | 로킷헬스케어, ‘자가혈 활성 주사 플랫폼’ 론칭 |
| 5 | 바이오의 꽃 ‘신약개발 레드바이오’ 흔들린다…VC 선택 기준 ‘사업성’ |
| 6 | 비보존, VVZ-2471 일본 물질특허 등록 허가…125개 화합물 독점권 확보 |
| 7 | DLBCL 치료 패러다임 전환…조기 CAR-T가 생존 곡선 바꾼다 |
| 8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 FDA EOP2 미팅 성공적 종료 |
| 9 | 네오이뮨텍, IL-7 유전자 결핍 환자서 NT-I7 면역 회복 효능 확인 |
| 10 | HK이노엔, 3분기 두 자릿수 성장…의약품 호조·중국·일본 매출 급증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네오이뮨텍은 지난 11월 18일부터 20일(현지시간)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면역결핍학회(ESID)-유럽혈액학회(EHA)-유럽소아종양학회(SIOPE) 공동 Focused 심포지엄 2025’에서 인터루킨-7(IL-7) 결핍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사의 T 세포 증폭제 NT-I7(Efineptakin Alfa)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ESID-EHA-SIOPE 공동 Focused 심포지엄은 면역결핍, 혈액학, 소아종양학 전문가들이 모여 난치성 면역질환의 진단·치료를 다학제적으로 논의하는 세계적 권위의 학회로 꼽힌다.
이번 연구는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의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NIAID)의 데릭 맥매스(Derek Macmath) 박사가 ‘IL-7 결핍 환자에서 나타나는 저위험 인체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관련 피부 악성 및 전암성 병변 대상으로 한 새로운 사이토카인 대체 요법으로 치료 가능성 제시’를 주제로 발표했다.
맥매스 박사는 NT-I7의 특발성 CD4 림프구감소증(ICL) 임상을 진행하는 안드레아 리스코(Andrea Lisco) 박사 연구팀 소속으로, 의약품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Expanded Access Program)을 통해서 현재까지 총 3명의 IL-7 결핍 환자를 대상으로 NT-I7 투여 사례를 분석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특히 환자 2번의 치료 경과가 상세히 공유되었다.
발표에 따르면, 환자 2번은 뚜렷한 피부 병변을 보였으나, NT-I7을 ‘단 1회’ 투여한 결과 피부 병변이 깨끗하게 치료되는 결과를 보였다. NT-I7 투여로 인한 근본적인 치료 방식으로 피부 병변까지 치료된 점에 대해 연구진은 주목할 만한 결과임을 강조했다.
IL-7 결핍 환자들은 유전적으로 T 세포가 충분히 생성·유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ICL 환자와 매우 유사한 면역 결핍 양상을 보인다. 대다수 환자들은 여러 유형의 HPV 감염성 피부 병변을 동반하지만, 현재로서는 레이저 치료 외에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다. 환자 2번 역시 손과 발 전반에서 8종의 HPV 감염이 확인되었고, 대부분이 저위험군이었으나, 발 병변에서 고위험 HPV 58(11%)이 검출되었다.
NT-I7은 ‘장기 지속형 인간 재조합 IL-7’으로 반감기 연장을 통해 체내에서 안정적으로 T세포를 증폭·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작용 기전 덕분에 NT-I7은 CAR-T 치료와의 병용, 급성방사선증후군(ARS) 림프구 회복, ICL, 면역항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병용 및 단독 임상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네오이뮨텍 최고과학책임자 최동훈 본부장은 “IL-7 결핍 환자의 병리와 ICL 환자의 면역 상태는 거의 유사하다.”며, “이번 사례는 NT-I7이 ICL 환자 예후 개선에도 매우 유망한 효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데이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