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에이프로젠이 제조 혁신을 전면에 내세우며 ‘K-바이오의 테슬라 모델’을 향한 전략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에이프로젠의 핵심 생산공법인 퍼퓨전(Perfusion) 방식이 글로벌 상업 생산에서 이미 입증된 기술이라는 점이 업계와 투자자들 관심을 끌고 있다.
20일 에이프로젠에 따르면 퍼퓨전 방식은 애초 존슨앤존슨(J&J) 제약부문인 얀센이 150리터급 소형 배양기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공정기술로 고농도·고생산성을 특징으로 한다. 에이프로젠은 이 방식을 2000리터 배양기에 적용하도록 개선해 자사 세포주·공정기술에 맞게 최적화·고도화해 자사의 주력 생산 플랫폼으로 재정립했다.
퍼퓨전 공정 구성요소 중 핵심은 세포는 배양기 안에 가둬 두고 배양액만 밖으로 빼내서 회수하는 것이다. 얀센이 사용한 스핀필터(spin-filter)라는 방식은 100여 리터를 초과하는 크기 배양기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에이프로젠은 스핀필터(spin-filter) 대신에 ATF라는 장비를 2007년부터 사용해 1000리터 이상 배양기에 퍼퓨전 공정 적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ATF를 적용한 퍼퓨전 배양 장점은 해외에서 먼저 평가받았다.
일본계 글로벌 CDMO 기업 AGC Biologics(Asahi Glass Corporation Biologics)는 덴마크 코펜하겐 공장에서 해당 퍼퓨전 공법을 1000리터 배양기에 적용해 세계적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원료를 상업 생산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생산비용이 높은 유럽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생산성과 수율을 확보했다는 점은 에이프로젠 기술의 글로벌 신뢰성과 효율성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며 “에이프로젠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2000리터 배양기를 사용한 퍼퓨전 배양에 성공한 기업”이라고 말했다.
에이프로젠은 이러한 공정 경쟁력을 기반으로 저비용·고효율 바이오시밀러 제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비용구조가 가벼운 에이프로젠의 생산모델은 MENA·남미·동남아 등 신흥시장 공략은 물론 공정 자동화 역량을 앞세운 CDMO 사업 확장성에서도 경쟁력을 갖춘다는 평가다.
글로벌 상업 생산에서 실제 성공한 공정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CDMO 시장에서 협상력이 강해질 수밖에 없고, 에이프로젠 Perfusion 플랫폼은 시장 접근성 자체를 끌어올린 요소라는 게 에이프로젠 분석이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바이오산업이 CMO·CDMO 생산능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병목에 직면한 가운데 에이프로젠의 저원가·고효율 제조 모델은 산업 내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되며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를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도 거론된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GEO, GMO와 동일 규제는 족쇄"... 유전자교정 규제 혁신 이뤄져야 |
| 2 | 한국바이오협회, 'APAC 마이크로바이옴 리더십 포럼' 개최 |
| 3 | 바임, '쥬브아셀 론칭 심포지엄 2025' 성료 |
| 4 | 네오이뮨텍, '카빅티+NT-I7' 병용 임상시험 FDA IND 승인 |
| 5 | 캐나다 앱토즈 바이오사이언스, 한미약품에 인수합병 |
| 6 | 에임드바이오, IPO 공모가 최상단 11,000원 확정…의무보유 확약비율 80.2% |
| 7 | 에이프로젠, 자동화·저비용 기반 ‘K-바이오 테슬라 모델’ 전략 가속 |
| 8 | 태극제약 '도미나스', 장나라, 동안 피부 비결 공개 |
| 9 | ‘아일리아’ 황반부종 치료 고용량 제형 FDA 승인 |
| 10 | 2025년 건기식 시장 5조 9,626억원…‘K-Health W.A.V.E’ 속 일상 루틴 정착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에이프로젠이 제조 혁신을 전면에 내세우며 ‘K-바이오의 테슬라 모델’을 향한 전략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에이프로젠의 핵심 생산공법인 퍼퓨전(Perfusion) 방식이 글로벌 상업 생산에서 이미 입증된 기술이라는 점이 업계와 투자자들 관심을 끌고 있다.
20일 에이프로젠에 따르면 퍼퓨전 방식은 애초 존슨앤존슨(J&J) 제약부문인 얀센이 150리터급 소형 배양기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공정기술로 고농도·고생산성을 특징으로 한다. 에이프로젠은 이 방식을 2000리터 배양기에 적용하도록 개선해 자사 세포주·공정기술에 맞게 최적화·고도화해 자사의 주력 생산 플랫폼으로 재정립했다.
퍼퓨전 공정 구성요소 중 핵심은 세포는 배양기 안에 가둬 두고 배양액만 밖으로 빼내서 회수하는 것이다. 얀센이 사용한 스핀필터(spin-filter)라는 방식은 100여 리터를 초과하는 크기 배양기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에이프로젠은 스핀필터(spin-filter) 대신에 ATF라는 장비를 2007년부터 사용해 1000리터 이상 배양기에 퍼퓨전 공정 적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ATF를 적용한 퍼퓨전 배양 장점은 해외에서 먼저 평가받았다.
일본계 글로벌 CDMO 기업 AGC Biologics(Asahi Glass Corporation Biologics)는 덴마크 코펜하겐 공장에서 해당 퍼퓨전 공법을 1000리터 배양기에 적용해 세계적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원료를 상업 생산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생산비용이 높은 유럽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생산성과 수율을 확보했다는 점은 에이프로젠 기술의 글로벌 신뢰성과 효율성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며 “에이프로젠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2000리터 배양기를 사용한 퍼퓨전 배양에 성공한 기업”이라고 말했다.
에이프로젠은 이러한 공정 경쟁력을 기반으로 저비용·고효율 바이오시밀러 제조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비용구조가 가벼운 에이프로젠의 생산모델은 MENA·남미·동남아 등 신흥시장 공략은 물론 공정 자동화 역량을 앞세운 CDMO 사업 확장성에서도 경쟁력을 갖춘다는 평가다.
글로벌 상업 생산에서 실제 성공한 공정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CDMO 시장에서 협상력이 강해질 수밖에 없고, 에이프로젠 Perfusion 플랫폼은 시장 접근성 자체를 끌어올린 요소라는 게 에이프로젠 분석이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바이오산업이 CMO·CDMO 생산능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병목에 직면한 가운데 에이프로젠의 저원가·고효율 제조 모델은 산업 내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되며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를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도 거론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