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한국바이오협회가 2025년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 경영실적을 조사한 결과, 주요 상장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매출와 영업이익 모두 전년동기 대비 큰 폭 성장해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거래소(KRX) 산업지수 중 바이오헬스케어 부문에 포함된 82개 공시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분야별(의약품·의료기기) 및 기업규모별(대·중견·중소)로 구분해 2025년 분기보고서를 토대로 ▲인력 ▲연구개발비 ▲매출 ▲재무상태 등을 종합 분석했다.

조사 결과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 인력은 50,236명으로 전년 대비 약 3.1% (1,500명) 증가했다. 인력 중에서 연구개발인력은 8,172명으로 전년대비 약 6.5% 증가했지만, 의약품은 증가(8.3%) 및 의료기기는 축소(△4.9%)되는 등 분야별 상반된 추세를 나타냈다.
1분기 연구개발 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11.4% 증가했다. 의약품 분야에서 대(17.6%)·중견(4.7%)·중소(25.3%) 기업 모두 증가해 전체 11.8% 증가했으며, 의료기기 분야는 중견기업이 감소(△4.6%) 했지만 중소기업 증가(30%) 영향으로 전체 7.9%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연구개발비 회계처리내역을 보면 판매비와 관리비는 의료기기분야 중견기업(△6.4%)을 제외한 전체 기업 모두 증가해 전년 대비 15.2% 증가한 반면, 개발비는 의약품분야 대기업 증가(18.3%)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모두 감소해 전체 1.5% 축소를 기록했다. 보조금은 의약품 중소기업(△16.5%)을 제외한 전체 바이오헬스케어기업이 증가하여 전체 17.2% 확대됐다.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의 성장성(매출액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약 11%p 증가(2024.1Q,5.4%→2025.1Q,16.4%)했으며, 분야별 및 기업규모별 모두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매출구조는 전년동기 대비 내수 7.4% 및 수출 38.6% 증가했으며, 특히 수출 경우 의약품 분야 대기업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등 수출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상승해 수익성(영업이익률)이 약 5.3%p 증가(‘24.1Q,11.8%→’25.1Q,17.1%) 했으며, 특히 의약품분야 대기업 영업흑자 확대 및 중소기업 영업흑자 전환이 영향을 미쳤다. 안정성(자기자본비율)도 전년 대비 약 0.06%p 소폭 증가(‘24.1Q,74.79%→’25.1Q,74.85%)하며, 의약품(74.1%) 및 의료기기(80.4%) 기업 모두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한국바이오협회 김은희 산업통계팀장은 “2025년 1분기 경영실적은 성장성· 수익성·안정성 모든 측면에서 양호한 성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의약품분야 중소기업은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돼 수익성이 개선되는 바 이러한 흐름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지속적인 추세인지 향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한국 최초 빅파마 지분 투자, 전례 없는 도약 신호” |
| 2 | [약업 분석] 파미셀, 수익성 개선 전환점…누적 영업익 247억, 전년比 1531% 증가 |
| 3 | 로킷헬스케어, 중국서 ‘동결 경화 바이오프린터’ 원천 특허 등록 완료 |
| 4 | 일양약품 “회계기준 위반 고의· 불순 의도 개입된 바 없어” |
| 5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자회사·파트너사 람다바이오,독일 '바이오텍 혁신상' 수상 |
| 6 | 한국비엔씨 "비만치료 후보물질, 체중감소 효과 위고비 '우위' 확인" |
| 7 | 파주시 '바이오클러스터' 도전…성공 조건 ‘병원·데이터·인재·인센티브’ |
| 8 | 셀리드, 감염병 대응 전임상시험 지원사업 선정 |
| 9 | 실리콘투는 레드카펫, "K-뷰티 브랜드는 그 위를 걸으라!" |
| 10 | 에이프로젠, 바이오시밀러·면역항암제 동시 비상…“기다림 결실로”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바이오협회가 2025년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 경영실적을 조사한 결과, 주요 상장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매출와 영업이익 모두 전년동기 대비 큰 폭 성장해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거래소(KRX) 산업지수 중 바이오헬스케어 부문에 포함된 82개 공시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분야별(의약품·의료기기) 및 기업규모별(대·중견·중소)로 구분해 2025년 분기보고서를 토대로 ▲인력 ▲연구개발비 ▲매출 ▲재무상태 등을 종합 분석했다.

조사 결과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 인력은 50,236명으로 전년 대비 약 3.1% (1,500명) 증가했다. 인력 중에서 연구개발인력은 8,172명으로 전년대비 약 6.5% 증가했지만, 의약품은 증가(8.3%) 및 의료기기는 축소(△4.9%)되는 등 분야별 상반된 추세를 나타냈다.
1분기 연구개발 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11.4% 증가했다. 의약품 분야에서 대(17.6%)·중견(4.7%)·중소(25.3%) 기업 모두 증가해 전체 11.8% 증가했으며, 의료기기 분야는 중견기업이 감소(△4.6%) 했지만 중소기업 증가(30%) 영향으로 전체 7.9%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연구개발비 회계처리내역을 보면 판매비와 관리비는 의료기기분야 중견기업(△6.4%)을 제외한 전체 기업 모두 증가해 전년 대비 15.2% 증가한 반면, 개발비는 의약품분야 대기업 증가(18.3%)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모두 감소해 전체 1.5% 축소를 기록했다. 보조금은 의약품 중소기업(△16.5%)을 제외한 전체 바이오헬스케어기업이 증가하여 전체 17.2% 확대됐다.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의 성장성(매출액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약 11%p 증가(2024.1Q,5.4%→2025.1Q,16.4%)했으며, 분야별 및 기업규모별 모두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매출구조는 전년동기 대비 내수 7.4% 및 수출 38.6% 증가했으며, 특히 수출 경우 의약품 분야 대기업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등 수출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1분기 상장 바이오헬스케어기업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상승해 수익성(영업이익률)이 약 5.3%p 증가(‘24.1Q,11.8%→’25.1Q,17.1%) 했으며, 특히 의약품분야 대기업 영업흑자 확대 및 중소기업 영업흑자 전환이 영향을 미쳤다. 안정성(자기자본비율)도 전년 대비 약 0.06%p 소폭 증가(‘24.1Q,74.79%→’25.1Q,74.85%)하며, 의약품(74.1%) 및 의료기기(80.4%) 기업 모두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한국바이오협회 김은희 산업통계팀장은 “2025년 1분기 경영실적은 성장성· 수익성·안정성 모든 측면에서 양호한 성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의약품분야 중소기업은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돼 수익성이 개선되는 바 이러한 흐름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지속적인 추세인지 향후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