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화순군, 광주과학기술원, 화순고등학교, 능주고등학교와 전남 지역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과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목표로 5개 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 주요 내용은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각 기관이 보유한 교육 노하우와 커리큘럼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화순군은 2024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에 전남권 17개 시·군과 함께 선정됐으며, 이번 협약은 실질적인 교육 커리큘럼 확장을 위해 5개 기관이 협력해 체결했다. 특히 화순군은 지난해 6월 전국 5곳 중 유일하게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돼, 약 73만 평 규모 첨단 백신·면역치료 단지 조성을 계획하며 바이오 및 백신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한편,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이 지원하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2025년 6월 교육관을 개관하며 본격적인 인력 양성에 나선다. 2026년까지 900명 이상 수료생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글로벌 바이오 화순 캠퍼스’ 운영에도 협력하여 지역사회는 물론 전 세계 백신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교육관은 광주·전남권에서 최대 규모 GMP 실습이 가능한 첨단 시설로,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까지 실습 가능한 50L 배양기, 고압멸균기, 연속원심분리기 등 의약품 생산 설비와 함께 HPLC, LC-MS 등을 활용한 이화학 분석, 미생물 시험, 환경 모니터링 등 품질관리 실습이 가능한 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교육기관과의 협력 범위도 한층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센터 관계자는 “최근 정부는 바이오 산업을 제2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 주관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산업통상자원부의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안’ 등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기반 조성과 정책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담당할 센터의 향후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고 전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넥스트바이오메디컬,'넥스피어' 미국 FDA 프리서브미션 완료 |
| 2 | 디앤디파마텍, 경구용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오랄링크' 캐나다 특허 등록 결정 |
| 3 | 제조소 이전에 생동시험 없다…식약처 20년 만 규제 대수술 |
| 4 | LG생활건강, 2026년 정기 임원인사 발표 |
| 5 | [약업분석] HLB그룹, 상반기 연구개발 및 상품·해외매출 증가세…일부 계열사 부진 |
| 6 | 550명 감원과 80명 신규 채용의 역설…노바티스, 무얼 버리고 무얼 남겼나 |
| 7 | 삼성제약, 전문의약품 중심 구조 강화…3분기 실적 방어 |
| 8 | [약업분석] HLB제약 3Q까지 누적 영업익 2억· 순익 23억 |
| 9 | [약업분석] 셀트리온제약, 제네릭 제품 매출 호조로 성장세 강화 |
| 10 | [기업분석] 제테마 3 Q 순손실 28억 … 적자지속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전남 화순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는 화순군, 광주과학기술원, 화순고등학교, 능주고등학교와 전남 지역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과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목표로 5개 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 주요 내용은 전남교육발전특구 운영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각 기관이 보유한 교육 노하우와 커리큘럼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화순군은 2024년 교육부가 주관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에 전남권 17개 시·군과 함께 선정됐으며, 이번 협약은 실질적인 교육 커리큘럼 확장을 위해 5개 기관이 협력해 체결했다. 특히 화순군은 지난해 6월 전국 5곳 중 유일하게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돼, 약 73만 평 규모 첨단 백신·면역치료 단지 조성을 계획하며 바이오 및 백신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한편, 센터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 화순군이 지원하는 ‘백신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을 통해 2025년 6월 교육관을 개관하며 본격적인 인력 양성에 나선다. 2026년까지 900명 이상 수료생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글로벌 바이오 화순 캠퍼스’ 운영에도 협력하여 지역사회는 물론 전 세계 백신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교육관은 광주·전남권에서 최대 규모 GMP 실습이 가능한 첨단 시설로, 미생물 배양부터 정제까지 실습 가능한 50L 배양기, 고압멸균기, 연속원심분리기 등 의약품 생산 설비와 함께 HPLC, LC-MS 등을 활용한 이화학 분석, 미생물 시험, 환경 모니터링 등 품질관리 실습이 가능한 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이를 통해 교육기관과의 협력 범위도 한층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센터 관계자는 “최근 정부는 바이오 산업을 제2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 주관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산업통상자원부의 ‘첨단산업 인재혁신 특별법안’ 등을 발표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기반 조성과 정책 실현을 위해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담당할 센터의 향후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