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한국바이오협회는 신산업투자기구협의회와 공동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바이오기업과 전문 투자자가 함께 참여하는 '2025년 상반기 후속 투자유치 IR 프로그램(스마트 스타트, Smart Start)을 3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투자 위축 상황 속에서도 유망 바이오기업들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자리로,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과 전략적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해 투자 가능성을 모색했다.
개회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김정대 과장,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 신산업투자기구협의회 황만순 회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대내외적 환경 변화, 미국의 관세 등 글로벌 경제 불확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 바이오 기업의 기초 체력 제고와 사업화 성공 사례 창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국가바이오위원회를 통한 산업계 의견 수렴과 규제 개선 노력 중요성을 함께 언급햇다.
이번 설명회에는 국내 바이오 분야 전문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인터베스트,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 키움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한국산업은행, 파트너스 인베스트먼트, 썬업인베스트먼트 등 주요 벤처캐피탈 뿐만 아니라 안국약품, 대웅제약 등 제약사들도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투자 라운드 시리즈 B, C 및 pre-IPO 단계 투자를 희망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벤처 기업 맞춤형 지원으로 구성됐다. 상장 준비를 위한 한국거래소 전문가 강연을 시작으로, 7개 유망 바이오 기업 IR 발표가 진행됐으며, 투자관계자들과의 1:1 네트워킹도 13건 진행됐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와 투자유치 지원을 목적으로 바이오 산업 전주기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2024년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창업 부트캠프를 통한 우수 교육생 배출, 기업 IR 및 특허 멘토링, 병원 연계 맞춤형 컨설팅 지원, 국내외 투자유치 IR 개최, 그리고 상장 및 기업가치 평가 등 출구전략 다각화 관련 기업 컨설팅을 지원했다.
그 결과 2024년 6개 기업이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확보했으며, 투자유치 IR 참여 및 투자유치 확보 후 상장 기업 성과 2건, 상장 컨설팅 참여 후 상장 기술성 평가 통과 2건 등 주요 성과를 도출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최근 바이오헬스 분야 민간 투자 위축에 따라 바이오기업들 연구 개발 및 사업화 이슈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상장 바이오기업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이라며 "협회는 대내외적 환경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고, 산업계 수요 기반 프로그램 전환을 통해 바이오기업 사업화 촉진 효과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또한 "다양한 산업계 수요 기반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고부가가치 바이오 경제 기반 사회로 전환은 물론,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 발전과 선순환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첨단재생의료법 개정안 발의...“한국형 첨단재생의료 생태계 구축 분기점” |
| 2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한국 최초 빅파마 지분 투자, 전례 없는 도약 신호” |
| 3 | [약업 분석] 파미셀, 수익성 개선 전환점…누적 영업익 247억, 전년比 1531% 증가 |
| 4 | [인터뷰] 장미 유래 엑소좀으로 글로벌 공략 나선다 |
| 5 | 디티앤씨알오 “신규접근법 시대 맞춰 ‘하이브리드 CRO’" 선언 |
| 6 | [기자 수첩] 인체유래 스킨부스터, 기술과 윤리의 딜레마 |
| 7 | 머크, 백신·항체와 다른 플랫폼 확보…독감 예방 전략 확대 나서 |
| 8 | 로킷헬스케어, 중국서 ‘동결 경화 바이오프린터’ 원천 특허 등록 완료 |
| 9 | 일양약품 “회계기준 위반 고의· 불순 의도 개입된 바 없어” |
| 10 | 환인제약, 3Q 매출 1901억 원…상품 매출 성장에도 영업이익 44% ↓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바이오협회는 신산업투자기구협의회와 공동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주최로 바이오기업과 전문 투자자가 함께 참여하는 '2025년 상반기 후속 투자유치 IR 프로그램(스마트 스타트, Smart Start)을 3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투자 위축 상황 속에서도 유망 바이오기업들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자리로,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과 전략적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해 투자 가능성을 모색했다.
개회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김정대 과장,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 신산업투자기구협의회 황만순 회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대내외적 환경 변화, 미국의 관세 등 글로벌 경제 불확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 바이오 기업의 기초 체력 제고와 사업화 성공 사례 창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국가바이오위원회를 통한 산업계 의견 수렴과 규제 개선 노력 중요성을 함께 언급햇다.
이번 설명회에는 국내 바이오 분야 전문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한국투자파트너스, KB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인터베스트, 스마일게이트 인베스트먼트, 키움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한국산업은행, 파트너스 인베스트먼트, 썬업인베스트먼트 등 주요 벤처캐피탈 뿐만 아니라 안국약품, 대웅제약 등 제약사들도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투자 라운드 시리즈 B, C 및 pre-IPO 단계 투자를 희망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벤처 기업 맞춤형 지원으로 구성됐다. 상장 준비를 위한 한국거래소 전문가 강연을 시작으로, 7개 유망 바이오 기업 IR 발표가 진행됐으며, 투자관계자들과의 1:1 네트워킹도 13건 진행됐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와 투자유치 지원을 목적으로 바이오 산업 전주기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2024년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창업 부트캠프를 통한 우수 교육생 배출, 기업 IR 및 특허 멘토링, 병원 연계 맞춤형 컨설팅 지원, 국내외 투자유치 IR 개최, 그리고 상장 및 기업가치 평가 등 출구전략 다각화 관련 기업 컨설팅을 지원했다.
그 결과 2024년 6개 기업이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확보했으며, 투자유치 IR 참여 및 투자유치 확보 후 상장 기업 성과 2건, 상장 컨설팅 참여 후 상장 기술성 평가 통과 2건 등 주요 성과를 도출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최근 바이오헬스 분야 민간 투자 위축에 따라 바이오기업들 연구 개발 및 사업화 이슈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상장 바이오기업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이라며 "협회는 대내외적 환경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고, 산업계 수요 기반 프로그램 전환을 통해 바이오기업 사업화 촉진 효과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또한 "다양한 산업계 수요 기반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고부가가치 바이오 경제 기반 사회로 전환은 물론,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 발전과 선순환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