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스템바이오텍(대표 나종천)은 23일 HLB바이오스텝, HLB바이오코드와 오가노이드 기반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평가 플랫폼 구축 및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3사는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동물대체시험법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은 피부 및 췌도 오가노이드 기술을 활용하여 HLB바이오스텝과 함께 인체에 대한 의약품 효능 예측력을 획기적으로 높인 오가노이드 기반 평가 플랫폼을 구축, 상용화할 예정이다. 또한 HLB바이오코드의 비임상 독성 평가 역량을 통한 의약품 안전성 평가 대체 시험법 개발도 진행된다.
강스템바이오텍의 신규 파이프라인인 오가노이드 치료제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회사는 HLB바이오스텝과 협력하여 피부 오가노이드 기반 탈모치료제와 췌도 오가노이드 기반 제1형 당뇨병 치료제의 조기 IND(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도모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스템바이오텍 나종천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기점으로 △오가노이드 기술 및 치료제 생산·품질관리 △국내 최대 비임상 유효성 평가 △비임상 독성 평가 기술 등 3사가 각 역량을 기반으로 협력함에 따라 오가노이드 활용 동물대체시험법 사업화와 당사의 차세대 치료제인 오가노이드 기반 탈모, 제1형 당뇨병 치료제 연구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의 경우 동물실험 없이 신약 허가가 가능해졌고, 유럽은 동물실험의 단계적 폐지를 예고하는 등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물실험 최소화 및 대체시험이 활성화되고 있어 3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글로벌 정세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네이처셀,미국 워싱턴서 '조인트스템' 연구성과-FDA EOP2 미팅 결과 발표 |
| 2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3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임상2상 AASLD ‘Late-Breaking Abstract’ 발표 |
| 4 | 커지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제약사, 속속 참여 |
| 5 | 비대면진료 제도화 ‘불씨’…약계 “약사 역할 빠진 제도화, 절대 불가” |
| 6 | 신약개발 2막 'AI·양자컴퓨팅'㊤ "양자중첩, 성공 다중경로 탐색하다" |
| 7 | 신약개발 2막 'AI·양자컴퓨팅'㊦ “보이지 않던 미시세계 타깃을 찾다” |
| 8 | 인트론바이오,혁신 'Mini-Hoc' 도입.. GLP-1 표지 파지 개발 성공 |
| 9 |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사 '에피스넥스랩' 설립 |
| 10 | 더마리움, 설립 두 달 만에 시드 투자 유치...뷰티테크 시장 본격 공략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강스템바이오텍(대표 나종천)은 23일 HLB바이오스텝, HLB바이오코드와 오가노이드 기반 의약품 안전성·유효성 평가 플랫폼 구축 및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3사는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동물대체시험법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은 피부 및 췌도 오가노이드 기술을 활용하여 HLB바이오스텝과 함께 인체에 대한 의약품 효능 예측력을 획기적으로 높인 오가노이드 기반 평가 플랫폼을 구축, 상용화할 예정이다. 또한 HLB바이오코드의 비임상 독성 평가 역량을 통한 의약품 안전성 평가 대체 시험법 개발도 진행된다.
강스템바이오텍의 신규 파이프라인인 오가노이드 치료제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회사는 HLB바이오스텝과 협력하여 피부 오가노이드 기반 탈모치료제와 췌도 오가노이드 기반 제1형 당뇨병 치료제의 조기 IND(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도모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스템바이오텍 나종천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기점으로 △오가노이드 기술 및 치료제 생산·품질관리 △국내 최대 비임상 유효성 평가 △비임상 독성 평가 기술 등 3사가 각 역량을 기반으로 협력함에 따라 오가노이드 활용 동물대체시험법 사업화와 당사의 차세대 치료제인 오가노이드 기반 탈모, 제1형 당뇨병 치료제 연구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의 경우 동물실험 없이 신약 허가가 가능해졌고, 유럽은 동물실험의 단계적 폐지를 예고하는 등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물실험 최소화 및 대체시험이 활성화되고 있어 3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글로벌 정세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