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325> 제13회 약학사 심포지엄
대한약학회 약학사 분과학회는 지난 4월 22일 오후, 서울 양재동 소재 더케이 호텔에서 제13회 약학사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올해에도 작년에 이어 온라인으로 개최하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크고 작은 약학관련 사항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약학사 심포지엄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이번에 발표된 세 강연의 요지를 소개한다.1. KIST 도핑콘트롤센터(DCC)의 역사
DCC 원장을 역임한 권오승 책임연구원이 DCC의 역사를 개관하였다. DCC는 1984년 석박사 연구원 30여명과 GC와 HPLC 등의 오래된 ...
2021-06-10 09:21 |
![]() |
[기고] <324> 학원 유감
1979년 일본에 유학 가 보니 일본 사람들이 우리보다 책을 많이 읽고 있었다. 신문이든 만화책이든 틈나는 대로 아무거라도 읽는 것 같았다. 그 때 나는 책을 많이 읽는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잘 사는 것은 당연한 귀결(歸結)이라고 생각했다. 일본은 학문에 있어서도 우리보다 많이 앞서 있었다. 그런데 앞선 일본 학생들이 우리 학생들보다 더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으니, 해가 갈수록 한일(韓日) 간의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은 아닐까 걱정되었다.
그랬던 우리나라가 기적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지금은 선진국의 일원(一員...
2021-05-26 13:02 |
![]() |
[기고] <323> 경성약전 교사는 2층 건물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100년사’ 개정판(이하 100년사)의 99페이지를 보면, 맨 아랫줄에 ‘경성약학전문학교(이하 경성약전)는 1933년 11월 현 서울 을지로 6가 중구구민센터 자리에 붉은색 벽돌의 2층 교사를 건축하였는데 그 건물은 그 후 1936년 6월부터 1937년 4월까지 3층으로 증축되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그리고 100페이지에 1933년에 찍은 2층짜리 교사 사진이 실려 있고, 104페이지에는 1987년에 찍은 3층짜리 교사 사진이 실려 있다.
이 건물은 1945년 광복 후에는 사립 서울약학대학의 교사로 쓰이다가 이 사...
2021-05-13 11:59 |
![]() |
[기고] <322> 약학역사관 보람 3제
1. 3‧1운동과 약대 선배들
며칠 전 ‘한국대학신문’에 ‘서울대 약대생,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만세 선창’이라는 기사(이원지 기자)가 실렸다. 이 기사의 일부는 다음과 같았다.
“서울대학교는 약학대학 제약학과 유주현씨(학생회장)가 제102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만세삼창 선창자(先唱者) 중 한명으로 참여했다고 2일 밝혔다. 기념식은 행정안전부의 주관으로 국가 주요인사, 독립유공자 등을 모시고 1일,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개최됐다. 이번 기념식에 서울대 학생이 대표로 참석한 것은 1919년 3월1일 만세운동에 ...
2021-04-28 15:14 |
![]() |
[기고] <321> 회장으로 뽑힌 손자
지난 3월 초순에 초등학교 4학년짜리 손자가 전화를 걸어왔다. 흔치 않은 일이라 웬 일인가 하고 받았더니, 흥분한 목소리로 “할아버지, 저 회장 됐어요” 하는 게 아닌가? “그래? 와 축하한다, 근데 어떻게 된 거야?” 했더니, 남녀 합쳐서 7명이 나왔는데 자기와 어떤 친구 하나가 표가 같이 나와서 둘이서 결선 투표를 거쳐 한 표 차이로 자기가 뽑혔다는 것이다.
이 전화를 받고 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기뻤다. 첫째는 그 아이가 회장(옛날 말로는 반장)에 뽑힌 것이 좋았다. 사실 나는 평생 반장 한번 못 해 봤다. ...
2021-04-14 10:34 |
![]() |
[기고] <320> K-맞춤 소파
둘째 손녀 예원이(초5)는 내게 잔소리를 많이 한다. 소파(의자 포함)에 앉을 때 허리를 구부리고 앉으면 제 손을 내 등에 갖다 대고 ‘허리 펴!’라고 주의를 환기시킨다. 또 코가 보이게 마스크를 쓰면 바로 ‘마스크!’하며 경고를 준다. 손녀의 잔소리는 들을 수록 기분이 좋다. 내가 몇 십 년째 듣는 잔소리와는 영 다른 게 신기하다.
예원이의 잔소리를 들으며 곰곰이 생각해 보니, 내가 소파에서 앉을 때 허리를 구부리는 이유는 소파의 앉는 자리 폭이 깊어 허리가 등받이에 닿지 않기 때문이었다. 나는 다리가 짧아 특히 더 ...
2021-03-31 10:37 |
![]() |
[기고] <319> 장모님의 일생
우리 장모님께서 지난 2월 6일 98세로 소천하셨다. 늘 건강하셨는데 작년 설에 찾아 뵈었더니 모처럼 본인의 일생 이야기를 장편 소설처럼 말씀해 주셨다. 심상치 않은 예감이 들어 집에 돌아오자 마자 그 이야기를 컴퓨터에 입력해 놓았다. 그 이야기의 일부를 공유하고자 한다.
장모님은 일제 하인 1924년에 충남 산골(사곡)에서 태어나셨다. 1943년, 19살 어머니는 공주 읍내의 고모 댁에 가서 살았는데, 어느 날부터 읍내 국민학교(?)에 동원(動員)되어 일본인(군인?)의 교육을 받게 되었다. 약 20명의 처...
2021-03-18 10:38 |
![]() |
[기고] <318> AI가 무섭다
우리 교회에서는 새해 들어 90일 성경 통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매일 아침 카톡으로 보내온 파일을 열어 담임 목사님이 읽어 주는 일정 분량의 성경을 듣는다. 성경을 읽어 주는 분은 목사님이 아니고, 목사님의 음성을 인공지능(AI)이 재현한 것이라고 하는데, 재현된 음성이 진짜 목사님 음성과 구별이 안 될 정도로 똑 같다. 놀랍고 신기한 세상이다.
지난 주말에는 TV 예능 프로그램을 보다가 깜짝 놀랐다. 가수 옥주현과 인공지능(AI)으로 목소리를 재현한 가짜 옥주현에게 같은 노래를 부르게 한 후 누가 진짜...
2021-03-05 09:55 |
|
[기고] <317> 감동과 눈물
내가 1950년대 국민학교에 다닐 때는 매달 월사금(月謝金)을 학교 선생님께 내야만 했다. 많은 액수는 아니었지만 현금을 만져 보기 어려운 시골 사람들에게는 만만한 돈이 아니었다. 다행히 우리 집은 살기가 좀 괜찮아서 돈이 없어 월사금을 기일 내에 내지 못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다른 아이들은 종종 기일 안에 돈을 내지 못해 선생님에게 불려가곤 했었다. 또 선생님들은 가끔 월사금을 못 낸 학생들의 가정을 방문해야 했는데 이는 아이들의 부모로부터 월사금을 받아 오기 위한 것이었다. 선생님도 하기 싫은 일이었지만 ...
2021-02-17 10:30 |
|
[기고] <316> 돌아오지 못한 탕자
성경 (누가복음 15:11-32)을 보면 ‘돌아 온 탕자(蕩子)’ 이야기가 나온다. 한 아버지에게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착실한 형과 달리 동생은 아버지를 졸라 자기 몫의 유산을 미리 받아내 도시로 나가 창녀와 노는 등 방탕한 삶으로 재산을 탕진하고 마침내 거지와 다름없는 비참한 생활을 하기에 이른다.마침내 동생은 그간의 행동을 회개하고 오랜 망설임 끝에 아버지 집으로 되돌아 온다. 그가 돌아오기만을 학수고대하던 아버지는 멀리서 터벅터벅 돌아오는 둘째 아들을 발견하자 버선발로 달려나가 왈칵 껴안으며 ‘잘 돌아왔다’고...
2021-02-03 15:49 |
|
[기고] <315> 온라인 영상 회의 유감
연말이 가까워져도 코로나 사태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오히려 기승을 부리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부쩍 대면(對面) 회의보다 만나지 않고 회의를 하는 비대면(非 對面) 온라인 영상 회의를 선호(選好)하고 있다. 불행히도 언택트(untact)가 정말 뉴 노멀 (new normal)이 되어 버린 것이다.어떤 사람은 영상으로나마 소통을 할 수 있으니 다행이라고 말한다. 음성에 추가하여 영상으로 얼굴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게 된 것은 과학의 덕분으로 다행이긴 하다. 그러나 얼굴을 마주 볼 수 없는 온라인 회의에서는 영 사람 사는 맛이...
2021-01-20 09:24 |
![]() |
[기고] <314> 개 무시
1. 지난 가을에 친구네 부부하고 교외의 조용한 곳에 놀러 갔었다. 그 곳 식당 앞 양지 녘에 점잖게 생긴 개 한 마리가 편하게 앉아 일광욕을 즐기고 있었다. 평소 개를 좋아하는 친구 부인은 아내와 함께 그 개에게 다가가 반가운 척을 했다.그러나 그 개는 두 할머니가 보이지도 않는 듯 눈길 한번 주지 않았다. 과자를 주면서 불러보고 얼러봐도 요지부동이었다. 아, 사람을 싫어하는 개 인가 하고 생각할 즈음에 예쁜 어린 아이 한 명이 개 앞에 나타났다.그러자 그 점잖기만 하던 개가 벌떡 일어나 꼬리를 치며 어린이 앞으로 ...
2021-01-06 10:00 |
![]() |
[기고] <313> 약사 직능의 진화
요즘 ‘전원일기(田園日記)’라고 하는, 지난 1980년말부터 2002년말까지 22년간 인기리에 방송되었던 농촌 TV 드라마의 재방송을 가끔 본다. 훈훈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지만 드라마를 관통하고 있는 분위기는 농업이 쇠락하여 머지 않아 농촌이 붕괴될 것 같다는 무거움이었다. 그런데 오늘날의 우리 농촌의 삶은 드라마의 예상과 달리 붕괴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 때보다 나아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돌아보면 우리나라의 제약산업도 1987년에 물질특허제도가 도입되면 대부분 붕괴될 것이라는 무거운 ...
2020-12-16 23:38 |
![]() |
[기고] <312> 최근의 주례사
지난 10월 마스크를 쓰고 주례를 보았다. 그 때의 주례사를 다소 수정하여 소개한다.결혼식은 인생이라는 바다에 ‘OOO/OOO의 가정’이라는 이름의 돛단배가 항해를 시작하는 출범식입니다. 기쁜 마음으로 몇 가지 축복의 말씀을 드립니다. 두 사람이 탄 돛단배가 무사히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순풍을 만나야 합니다. 항해할 때에 운(運)이 좋은 사람은 순풍을 만나고, 운이 나쁜 사람은 폭풍을 만납니다. 그래서 운칠기삼(運七技三)이라는 말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인생의 7할은 운이 좌우한다는 말이지요. 저는...
2020-12-02 20:39 |
![]() |
[기고] <311> 어색한 표현들
세월이 가면 말도 바뀌게 마련이라지만 그래도 내 보기에 어색한 표현들이 적지 않다.1. 수동태의 남용1) 보여집니다 (일본어의 ‘미라레루’와 유사. ‘보입니다’로 충분). 2)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관심이 모이고 있다’, ‘관심이 간다’가 나을 듯). 3) 생각됩니다. 생각되어집니다 (일본어의 ‘오모와레루’가 연상됨. ‘생각합니다’가 좋을 듯). 4) 예상된다 (예상한다). 5) 에너지를 너무 분산한 것은 아닌가 (‘분산시킨 것은’이 나을 듯).2. ‘..도록 하겠습니다’의 남용1) 소개시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개하겠습니다’로 충분). 2...
2020-11-18 09:00 |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3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4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7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8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9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10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재이슈화에 ‘정치 공세’ 비판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