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430> 근엄하지 않은 아버지
며칠 전 둘째 아들로부터 ‘실(實)없는 소리, 아재개그, 허튼 소리, 유머가 많은 가정이 행복한 가정’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러고 보니 부모가 근엄한 훈계를 많이 하는 가정이 별로 화목해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 가정에서 자란 아이는 어른이 되어서도 일종의 훈계공포증 때문에 부모와 함께 있기를 힘...
2025-11-12 09:13 |
![]() |
[기고] <429> 건강기능보조제
2002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이라는 개념이 제도화되었다¹. 그 이전에는 영유아 조제식, 체중조절식, 특수질환자용 특수영양식품 등 일부만 관리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비타민·무기질·오메가-3 등 건강보조용 제품이 급증하면서 제도적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정부가 미국의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DSHEA, 1994)²와 일본의 특정보건용식품(FOSHU) 제도³를 참고해 별도의 관리 체계를 마련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명칭은 대상의 본질을 충분히 드...
2025-11-03 08:56 |
![]() |
[기고] <428> 칠전팔기(七顚八起)
칠전팔기, 일곱 번 쓰러져도 여덟 번 일어선다는 이 짧은 말은 삶의 불씨처럼 우리 가슴을 두근거리게 만든다. 며칠 전 TV에서 하지마비(下肢痲痺)라는 절망을 껴안고도 초인적인 재활을 하여 장애인 역도선수로 거듭난 한 젊은이의 이야기를 보았다. 그의 땀과 눈물에 젖은 칠전팔기 이야기는 희망의 씨앗이 되어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
2025-10-15 09:21 |
![]() |
[기고] <427> 바이오의약품 체내동태 워크숍
바이오의약품 체내동태 워크숍 2025년 8월 22일, 제7차 <PK Bootcamp@SNU> 워크숍이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신약개발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 워크숍은 2018년 약물동태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Dr. Yuichi Sugiyama 교수(일본 동경대 약학부, RIKEN 연구소, Josai 국제대학)의 도움으로 시작되어, 지난 7년간 국내 연구자들의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 이 워크숍은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며 난이도를 조절하고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을 거쳐, 국내 약물동태학 분야의 핵심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
2025-09-24 09:14 |
![]() |
[기고] <426> 집들이, 카페 문화
1970년대까지만 해도 결혼해 새 살림을 차리면 이웃이나 친지를 초대해 음식을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른바 ‘집들이’인데, ‘집들이’란 ‘집에 들어감’ 또는 ‘남을 집에 들임’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한다. 집들이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축복하고 공동체와의 유대(紐帶)를 확인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였다. 아무리 기다려도 신혼부부가 집들이 초청을 하지 않으면, 신랑 친구 몇 명이 작당(作黨)하여 사전 연락도 없이 신혼집(혹은 신혼방)에 들이닥치는 일도 종종 있었다. 가서는 식사는 물론 술과 노래, 춤으로 신혼부부를 곤란하...
2025-09-10 10:29 |
![]() |
[기고] <425> 원로 약사 공장장 10인의 회고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는 지난 2025년 5월 30일 오후 1:20부터 5:30까지 원로 약사공장장 10분을 모시고 좌담회를 하였다. 장소는 서울대 약대 21동 2층 소회의실이었고, 좌담회의 주제는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제약공장들의 초기 상황과 그 후의 발전과정에 대한 회고였다. 이 좌담회는 약학사분과학회의 연례 행사인 ‘약학사 사랑방 모임’의 세번째 행사였다. 좌담회의 녹취록(錄取錄)은 금년 말에 발간될 ‘약학사회지’ 제8권에 실을 예정이다. 이 좌담회에는 백우현, 이남복, 유한용, 홍우일, 문영일, 김태성, 김...
2025-08-27 09:05 |
![]() |
[기고] <424> 백우현 박사님
백우현 박사님 지난 7월 20일 동창회를 통해 약수(若水) 백우현(白于玹) 박사께서 소천하셨다는 비보(悲報)를 들었다. 병세가 만만치 않음은 알고 있었지만 예상보다 빠른 진행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나는 지난 5월 30일 백 박사님을 포함한 원로 제약공장 10분을 모시고 “우리나라 제약공장의 초창기 발전사(가제)”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하였다. 사전에 백 박사님께 전화를 걸어 그날 와 주십사 부탁을 드렸더니, “요즘 다리에 힘이 없어 통 외출을 안하고 있지...
2025-08-06 10:01 |
![]() |
[기고] <423> 침수와 누수문제
지난 호에 이은 자기 자랑임을 미리 밝혀둔다. 1. 침수(侵水)문제 1988년 강남구 자곡동에 길 새 좋고 남향(南向)인 벽돌집을 샀다. 집 앞에 제법 넓은 잔디 정원이 있었고 반(半)지하에는 세를 놓을 수 있는 방이 하나 있었다. 이 집의 난방은 기름 보일러(燈油) 방식이라 지난 호에서 자랑한 ‘연탄 아궁이 개선 기술’은 더 이상 필요 없었다. 이 집을 사서 한껏 좋아하고 있는데, 동네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아~ 이 집을 사셨군요” 하는 것이었다. 알고 보니 배수(排水)가 잘 안되어 장마철이...
2025-07-23 09:19 |
![]() |
[기고] <422> 연탄 아궁이 개량 기술
연탄 아궁이 개량 기술 인생을 돌아보며 내가 집안일 중에 잘했던 일, 즉 혹시라도 아내나 자식들 앞에서 “나도 한때는 말이지!” 하며 은근히 자랑할 만한 일이 있었나 곱씹던 중, 문득 신혼 초 수유리 단독주택에서 아궁이를 고쳤던 기억이 떠올랐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1975년 겨울, 신혼방은 유난히 추웠다. 온돌방 바닥이 워낙 냉골이라 요와 이불을 아무리 깔아도 몸이 떨렸다. 석유 스토브를 켜 보아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어느 날, 나는 반지하에 있는 부엌으로 내려가 방이 이렇게까지 추운 원인을 ...
2025-07-09 08:42 |
![]() |
[기고] <421> 주례 없는 결혼식
주례 없는 결혼식 요즘 결혼식의 모습은 과거와 사뭇 다르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결혼식 주례(主禮)가 없어진 일이다. 요즘 참석했던 세 번의 결혼식 모습을 소개한다. 첫번째 참석한 결혼식에서는 사회자의 소개에 따라 신랑이 선글라스를 쓰고 입장하였다. 단상에 오른 신랑은 “세상에서 제일 예쁜 신부가 입장합니다”고 외쳤다. 이에 신부가 아버지와 함께 식장에 들어서더니 대뜸 둘이 막춤을 추었다. 그 후 아버지 손을 잡고 행진한 신부가 신랑에게 인계되었고, 신랑 신부는 서로에게 자기가 어떤 배...
2025-06-25 09:06 |
![]() |
[기고] <420> 은사님들이 주신 교훈
지난달 5월은 스승의 달이다. 문득 나를 이끌어 주신 은사님들께 배운 교훈들이 머릿속을 스쳐간다. 1983년, 동경대학에서 학위를 마치고 서울대 약제학 교수직에 응모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을 때, 몇 해 전에 은퇴하신 ‘약제학의 대부(代父)’ 우종학 교수님께서 일부러 나를 찾아오셔서 이런 말씀을 해 주셨다.“비 오는 날이면 ‘우산 쓰고 가면 되지’ 하지 말고, 그냥 집에 있어라.”이 말씀은 교만하지 말고 세상을 조심하며 살아야 한다는, 일제강점기와 광복, 6·25 전쟁을 온몸으로 겪어 내신 삶의 지혜이자 사랑 어린 충고였...
2025-06-11 09:27 |
![]() |
[기고] <419> 약학의 특성 12: 교육의 깊이와 너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부터 상당 기간 동안, 약학대학 졸업생들의 사회 진출 분야는 매우 넓었습니다. 제약회사나 약국, 또는 병원약국뿐 아니라 화학, 식품, 화장품 공장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진출한 이들도 많았습니다. 이는 약학 교육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개론적인 지식(broad knowledge)을 습득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당시 학생들은 많은 과목을 이수해야 했기에 넓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 대신 한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 교육은 다소 부족했습니다.오늘날은 약학대학 졸업생이 다른 산업 분...
2025-05-28 15:44 |
![]() |
[기고] <418> 『한국약업사』보정판(補訂版) 출판의 의미
금년 3월 약업신문사는 창간 70주년 (2024년) 기념사업으로 『한국약업사』 보정판을 출판하였다. 원 『한국약업사』는 고(故) 홍현오 선생이 구한말에서 1970년에 이르는 시기를 약업(藥業)의 창업시대, 유년시대, 혼란시대, 재건시대로 구분하여 각 시대의 사건들과 약업인들의 활약을 상세히 서술한 불후(不朽)의 명저이다. 이 책에는 재한(在韓) 일본인의 약업 (제3장), 장업소사(粧業小史, 제6장) 및 주요 의약관계 연표도 함께 실려 있다. 이번 보정판에서는 ...
2025-05-07 17:17 |
![]() |
[기고] < 417>. 약학의 특성 11. 임상약학과 맞춤약학
내가 1967년 약대에 입학했을 때부터 조윤성 교수님은 임상약학(clinical pharmacy, 臨床藥學)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하셨습니다. 그 후 실로 오랜 세월에 걸쳐 논란을 벌이다가 근래에 와서 드디어 임상약학 교육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6년제 교육을 실시하던 2009년부터 본격적인 임상약학 교육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임상약학이란 창약학, 제약학, 용약학(用藥學)이라는 약학의 3대 분야 중에서 용약학의 목적을 구체화시킨 이름입니다. 임상약학 교육을 통해 약사들의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약물 투여가 가능해졌습니다. &nbs...
2025-04-23 10:01 |
![]() |
[기고] <416>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그만?
심창구 교수 지난 2월 11일부터 14일까지 3박 4일 동안, 근대 서양의약학이 일본에 도입된 경로인 규슈 지방을 탐방하고 돌아왔다. 방문한 모든 곳이 다 의미가 깊었지만, 그 중에서도 구마모토 현 오쿠니정에 있는 기타자토 시바사브로 (北里紫三郞) 기념관은 또 다른 의미에서 기억에 남는다. 기타자토는 뛰어난 세균학자로 작년부터 일본의 천엔짜리 지폐에 초상이 실릴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8살 때에 집안 형편이 넉넉치 못해 2년간 외가 쪽 집에서 살게 되었는데, 그 집에서는 먹여주고 학교 보내...
2025-04-08 10:14 |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3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4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7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8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9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10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재이슈화에 ‘정치 공세’ 비판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