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6> 의약품의 오남용에 대한 단상
2018. 2. 7일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2016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항생제사용량이 34.8 DDD(Defined Daily Dose)로 집계되어 OECD 국가 중 1위이다. 이 수치는 하루 동안 1000명중 34.8명이 항생제 처방을 받고 있다는 뜻이다. 국내 항생제 처방은 의약품사용량을 집계하기 시작한 2008년 26.9 DDD에서 꾸준히 늘어 2013년 30 DDD를 넘어섰고 2014년 31.7 DDD로 정점을 찍은 뒤 2015년 31.5 DDD로 미미하게 줄었다가 2016년에 다시 전년에 비해 10.4%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OECD 건강통계 2017’에 보고된 2016년...
2018-07-23 10:43 |
![]() |
[기고] <5> 의약품 등의 품질관리에 대한 이야기
의약품은 공산품과 달리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위해 사람에게 직접 투여하는 물질로 국민 보건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약업자는 기업본래의 영리추구에 앞서서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킨다는 숭고한 사명감과 사회적 책임의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가공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 기능성식품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도 마찬가지로 국민건강을 위한다는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제조업자에게 법으로 생산제품에 대한 자가시험을 하여 허가받은 기준에 적합한 제품만 판매하도록 책임을 부여하고 있다....
2018-04-27 13:01 |
![]() |
[기고] <4> 88올림픽에 대비 식품접객업소시설을 선진국수준으로 개선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바꾸고 주방을 개방하였다
내가 약무식품국장으로 재직하던 1981년 9월에 88올림픽 개최지가 서울로 결정되었다. 그 이전에 서울로 결정된 86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에 대비하여 식품접객업소의 화장실과 주방시설을 위생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내가 하여야할 일이었다. 화장실은 대변 소변을 배설하는 변소와 손을 씻고 화장을 할 수 있는 세면대 등이 설치되어있는 장소이다.
영어로는 restroom, washroom, toilet, WC(water closet) 등으로 표현하는데 우리나라 화장실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80년대 초 우...
2018-04-20 11:25 |
![]() |
[기고] <3> 한약업사제도폐지와 관련된 해묵은 민원해결
한약업사시험문제와 이해단체간의 분쟁
1981년 제5공화국이 탄생되면서 야당 국회의원인 천명기 의원이 보건사회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이 해 8월 국립의료원 약제과장(부이사관)으로 재직하던 나는 약정국장 발령을 받아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내가 부임하기 전에 경기도에서 한약업사시험실시 공고를 하였다가 보사부가 경기도에 시험실시를 연기하도록 요청하여 보류되었고 그 전년도에도 다른 도에서 시험실시 공고를 하였다가 연기한 사실이 있다고 하였다. 한약업사시험은 1975년에 경남도에서 실시한 이후 계속하여 보류해왔...
2018-04-13 11:26 |
![]() |
[기고] <2> 원료의약품의 보호지정 성과와 뒷이야기
메벤다졸 에탐부톨의 보호대상의약품지정과 수용업체
의약품은 정부가 수입을 개방한 80년대까지 국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에 대하여 수입을 금지하여 보호해주고 있었다. 수입이 금지된 국산의약품은 대부분 완제의약품이었고 이 완제의약품은 제약선진국에서 개발한 원료의약품을 비싼 값으로 수입하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었으나 원료의약품은 기술과 자본이 부족하여 개발생산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원료의약품의 국산화가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선결과제였다.
내가 1974년 약무과장 자리에 있을 때 우리나라 ...
2018-04-05 09:00 |
![]() |
[기고] <1> 생물학적동등성시험제도 도입으로 국산의약품 신뢰제고
<연재를 재개하며>
필자는 1994년 공직을 마감하고 1997년 4월 21일부터 같은 해 8월 11일까지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나의 공직생활 35년’이란 제하에 공직에서 수행하였던 일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총 22회에 걸쳐 본지에 연재한 바 있었습니다.
△망국적 마약인 메사돈의 추적 △한국산 대마의 성분연구와 규제 △원료의약품의 국산화 저해규정폐지 및 보호제도 시행 △약효재평가 실시 △의약품등의 단계적 수입개방예시제 실시 △KGMP제도 정착기반 조성 △표준소매가제 실시 △목포시 시범 의약품분업의 경험 ...
2018-03-30 09:55 |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3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4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7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8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9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10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재이슈화에 ‘정치 공세’ 비판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