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130> 사라져서 좋아요 – 욕과 견학
지난 호에는 쉽사리 사라질 것 같지 않던 우리나라의 나쁜 풍속들이 용케도 사라진 사실로부터 우리나라의 미래를 밝게 전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오늘은 대학에서 사라진 풍습 두 가지를 더 소개하기로 한다.
첫째는 욕이다. 예전의 서울대학 학생들은 자기들끼리의 일상의 대화에서 별의별 화려한 (?) 욕들을 사용했었다. 1966년 학원에 다닐 때 서울대 법대를 나온 영어 강사 선생님한테 들은 이야기이다. 어떤 높은 외국인이 여름 방학이 끝나 막 개강을 한 서울대에 가 보았더니 오랜만에 만난 학생들이 반갑...
2013-07-17 07:09 |
![]() |
[기고] <129> 용케 없어진 것들
오랜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서울에서 자가용으로 출퇴근하게 된 A박사에게 직장동료 B가 조언을 하였다. ‘한국에서 운전을 하려면 지갑에 면허증과 오천원짜리 한 장을 함께 끼워 놓아야 한다’고. A박사는 ‘아마 그렇게 해야 사고가 잘 안 난다는 말인가 보다’ 생각하고 즉시 실행에 옮겼다. 어느 날 시내를 지나는데 교통 경찰이 차를 세우고 면허증을 보여달라는 것이었다. 면허증을 제시하였더니 경찰은 잠시 후 말없이 면허증을 되돌려 주었다. 한참을 가던 A 박사는 면허증 뒤에 끼워 놓았던 오천 원권이 없어진 사실을 ...
2013-07-03 10:10 |
![]() |
[기고] <128> 누가 말하느냐가 더 중요해
며칠 전 온누리교회 설교 시간에 이재훈 목사님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이다. 온누리교회의 담임목사이셨던 고 하용조 목사님께서 부목사님들과 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일어난 일이란다. 한 젊은 부목사가 ‘자기는 영어를 잘 못해서 속상하다’는 취지의 하소연을 했단다. 이 말은 들은 하목사님은 “속상해 하지마”라고 말한 뒤 “사실이잖아?” 했단다.
많은 교인들이 이 예화를 듣고 감동하였다. 마침 이날 이목사님의 설교 주제가 겸손이었기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설교 말씀에 따르면, 열등감은 교만한 사람이 나타내는 반응이며, 자...
2013-06-19 10:07 |
![]() |
[기고] <127> 사랑의 말
“예나야, 너는 누굴 닮아 이렇게 똑똑하지?” 물으면 예나 (큰 손녀, 여섯 살)는 “할아버지요”라고 대답한다. 내가 그렇게 대답하도록 평소에 교육시킨 탓이다. 뻔한 대답이지만 나는 기분이 좋아져 “옳지, 옳지” 하면서 껄껄 웃는다. 물론 아내가 옆에 있으면 예나의 대답은 “할머니, 할아버지요”로 바뀌지만… 나는 결혼식 주례를 볼 때마다 ‘결혼은 사랑하기로 결심하는 의식이다’라고 강조한다. 결혼 후 사랑하는 마음이 없어질 때에도 ‘사랑하기로’ 결심하였다는 것을 만천하에 공표하는 의식이 결혼식이라는 말이다. 이 말에 이...
2013-06-05 10:09 |
![]() |
[기고] <126>일본과 네델란드의 전통 지키기
얼마 전 TV를 보다가 깜짝 놀랐다. 일본의 동경대학은 지금도 입학시험 합격자를 옛날처럼 게시판에 번호를 써 붙여서 발표하고 있었다. 학교 내 운동장 게시판에 합격자의 수험번호를 써 붙여 놓고 정해진 시간이 되기까지는 건장한 럭비부 학생들이 사람들의 출입을 통제하다가, 정각이 되면 게시판 앞으로 군중들을 인도한다. 그러면 군중들은 자신의 이름을 찾으려고 목을 빼고 게시판을 쳐다 본다. 물론 자신의 이름을 발견한 사람은 환호하고, 자신의 이름을 발견하지 못한 사람은 낙심하거나 운다.
문득 1960년대 우리나라...
2013-05-22 10:12 |
![]() |
[기고] <125> 홍매(紅梅) 한 그루를 심으며
관악산 자락에 자리잡은 서울대학교는 지금 만화방창(萬化方暢), 그야말로 꽃동산이다. 춘흥(春興)에 겨워 “꽃이 정말 예쁘지?” 하고 학생들에게 물어보았다. 그런데 되돌아 오는 대답은 여지없이 “하지만 교수님, 내일 모레부터 중간고사가 시작되요”이다. 아! 학생들은 꽃이 피어도 꽃을 즐길 심정이 아니었던 것이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해마다 봄 꽃이 흐드러지면 학생들에게 그것은 1학기 중간고사가 멀지 않았음을 알려 주는 전령(傳令)에 다름 아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봄 꽃은 그저 스트레스에 불과한 것이다. ...
2013-05-08 13:12 |
![]() |
[기고] <124> 불효 2제 (不孝二題)
1971년 나는 강원도 원주 38사단에서 훈련을 마치고 경남 사천 (泗川)에 있는 ‘육군항공학교’라는 부대에서 항공기 정비 교육을 받고 있었다. 학교 교장이었던 모 중령은 늘 우리에게 ‘너희들이 졸병 계급장을 달았다고 인간이 졸병인 것은 아니다. 너희도 장교 계급장을 달면 바로 장교가 될 수 있는 사람들이다’라며, 졸병들에게 하기 쉽지 않은 프라이드 교육을 하곤 하였다. 이런 지휘관 때문이었을까? 육군항공학교는 여러 면에서 드물게 모범적인 부대이었다.그러나 그 부대에 대한 쓰라린 추억이 있다. 그곳에서 훈련을 받고 있...
2013-04-24 10:20 |
![]() |
[기고] <123>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최근 ‘개그 콘서트’라는 티브이 프로그램을 보면 어떤 사안 (事案)에 대하여 새로운 시각의 정의를 내리는 코너가 인기를 끌고 있다. 오늘은 이를 흉내 내어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내 나름의 정의를 내려 보기로 한다. 팔구십을 훌륭하게 살고 계신 대 선배님들 보시기에 가소로운 이야기이겠지만 말이다.
1. 나로부터 아버지 모습을 발견하는 것이다. 문득 거울을 보니 그 속에 내가 아닌 늙으신 아버지 모습이 보인다! 순간 가슴에 애잔한 바람이 지나간다. ...
2013-04-10 10:27 |
![]() |
[기고] <122> 2단계 약사국시(안)-II
2단계 약사국시안에 대해 중론(衆論)이 모아지지 않는다는 소문을 들은 나는 답답한 마음에 2012년 11월 13일 몇몇 교수님들께 “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시 2단계 도입안에 찬성합니다. 제 의견에 동의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라는 메일을 보냈다. 메일 내용(이하 일부 생략)은 다음과 같았다.
1. 우리나라에서 의사 고시 등은 기초과목을 배제하고 직능 시험만으로 면허를 주고 있으며, 이런 경향은 조만간 약사고시에도 적용될 수 밖에 없는 흐름임. 이렇게 되면 약학의 기초과...
2013-03-27 11:30 |
![]() |
[기고] <121> 2단계 약사국시(안)-I
2015년 2월이면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6년제 약대 졸업생들이 배출된다. 그들부터는 새로운 형태의 국가시험 (이하 약사국시)에 합격해야 약사 면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6년제가 실시된 이래 6년제 졸업생들에게 어떠한 시험을 통해 면허를 줄 것인가가 꾸준히 논의되어 왔다. 많은 논의 중 오늘은 소위 ‘2단계 약사국시안 (이하 2단계안)’에 대해 언급하려고 한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이하 국시원)은 이미 6년제 시행 전부터 ‘약사직무 분석 및 평가 영역 분류 연구 (‘04-‘06)’와 ‘약사국시 과목 개선 실행 방안 연구 (...
2013-03-13 10:44 |
![]() |
[기고] <120>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2013년 1월 9일, 약제학 전공 대학원생들과의 신년하례 모임에서 학생들의 새해 소감과 각오를 들어 보았다. 그들의 말들을 요약하면 ‘지난 1년은 연구에 시행착오(施行錯誤)가 많았는데 올 한해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도록 열심히 노력하겠다. 그리고 가끔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일을 기획할 때에 내가 너무 늦게 시작한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초조할 때가 있는데, 앞으로는 매사에 좀 더 부지런을 떨어야겠다’는 내용이었다. 그 말을 듣고 나는 다음과 같은 덕담(德談)으로 그들을 축복해 주었다.
‘첫째, 시행착오는 그 끝에...
2013-02-27 10:43 |
![]() |
[기고] <119> 진작 말하지
내가 1967년 약대 1학년이었을 때 1,2학기에 걸쳐 문화사(文化史)라는 교양 과목을 수강해야 했다. 문화사 강의를 담당하신 유 아무개 교수님은 외부 강사이셨는데, 작지만 뚱뚱한 체구에 늘 올백으로 머리를 빗어 넘기셨다. 그 분은 강의 중에 ‘우리가 집권하면 이렇게 하겠습니다’라는 식의 허풍을 떠시곤 해서 어떤 학생 하나가 ‘선생님 도대체 집권할 가능성은 있으십니까?’라고 물었던 적도 있다. 1학기 수업이 끝날 즈음 교수님은 ‘모든 학생들은 방학 중 리포트를 써서 개학 전에 제출하라’고 지시하셨다. 그리고는 출석부를 보...
2013-02-06 10:00 |
![]() |
[기고] <118> 꼴찌와 농땡이
1. 꼴찌가 일등?
1971년 경의 일이다. 서울 약대 4학년에 B라고 하는 한 복학생이 있었다. 그의 4학년 1학기까지의 학업 성적은 클래스에서 거의 꼴찌일 정도로 형편없었다. 4학년 2학기에 거의 올A를 받지 않고서는 도저히 대학을 졸업할 수 없는 성적이었다.
4학년 2학기 시험이 끝나자 마자 B군은 민첩하게 움직이기 시작하였다. 자기 생각에 2학기 성적도 클래스에서 꼴찌가 될 것이 분명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는 담당 교수님들을 연차적으로 찾아 뵙고 다음과 같이 간곡하게 부탁 드렸다. “교수님, 죄송하지만 교수...
2013-01-23 10:28 |
![]() |
[기고] <117> 군대 이야기 세가지
1. 최소한 지지는 않을 수 있었는데.
1974년 봄 원주의 한 부대에서 있었던 일이다. 옆 부대와의 축구 시합에서 1:0으로 지고 난 우리 부대는 그야말로 ‘초상집’ 분위기였다. 부대 간부는 전 중대원을 식당에 ‘집합’시켜 바닥에 무릎을 꿀렸다. 일종의 기합이었다. 그리고는 인사계를 맡아 보면 이 상사님이 훈시를 시작하였다. 긴 잔소리가 있었지만 요점은 ‘너희들 요새 군기가 빠졌다’는 것이었다. 요샛말로 빠져도 ‘너~무” 빠졌다는 말씀이었다. 까닥하면 연병장 집합으로 상황이 악화될 수도 있는 분위기였다. 분에...
2013-01-09 10:23 |
![]() |
[기고] <116>주례 육태 (主禮六態)
1. 내 결혼식 때 주례는 한관섭 명예교수님이 해 주셨는데 얼마나 주례사가 짧았던지 5분 늦게 식장에 도착한 우리 육촌 형님이 내 결혼식을 보지 못하였다. 결혼식 사회를 본 친구 최응칠 교수는 그 주례사가 자기가 본 주례사 중 가장 짧았다고 회고한다. 한 교수님은 “잘 먹고 잘 살라는 말 이외에 뭐 할 말이 있어?” 하셨지만, 그 사건(?) 이후 나는 ‘주례사는 내용도 내용이지만 어느 정도 시간을 끌어 주는 것도 중요한 역할의 하나’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2. 반면 내가 경험한 가장 긴 주례사는 고 한구동 ...
2012-12-19 13:38 |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3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4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7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8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9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10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재이슈화에 ‘정치 공세’ 비판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