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160> 지혜로운 삶
(에피소드 1) 외간 남자와 바람을 피우러 모텔에 간 부인이, 역시 외간 여자와 바람을 피우러 온 남편과 모텔 복도에서 마주쳤다. 부인과 남편 둘 다 기겁을 하였지만, 부인은 재빨리 냉정을 되찾고 같이 온 외간 남자에게 “김형사님, 저 사람이 바로 제 남편입니다”라고 외쳤다. 그 결과로 남편만 외도 현장에서 잡힌 꼴이 되었단다. 부인의 임기응변(臨機應變)의 기지(機智)가 놀라울 따름이다.(에피소드 2) 성경(왕상 3:26)을 보면 한 아기를 두고 서로 자기가 엄마라고 주장하는 두 여인을 재판한 솔로몬 왕의 이야기가 나온다. 솔...
2014-10-08 10:31 |
![]() |
[기고] <159> 아웃리치
우리 부부는 금년 7월 20여명의 교회 식구들과 함께 캄보디아에 아웃리치(outreach)를 다녀왔다.교회에서의 아웃리치란 선교 목적을 위한 일종의 봉사활동인데, 그 동안 나는 늘 마음은 있었어도 건강 때문에 참여해 보지 못했었다. 이번에는 더 늙으면 못 간다는 비장한(?) 마음으로 참여한 것이다. 프놈펜에 도착한 다음 날인 7월 26일 아침, 교회가 마련해 놓은 북카페(book cafe)에서 도착 예배를 드렸다. 그 때 자기소개를 하던 한 젊은 선교사 부부가 이런 위로 예배는 처음이라며 울컥 눈물을 삼켰다. 이 모습을 본 순...
2014-09-24 09:38 |
![]() |
[기고] <158> 사람을 두려워하는 나라, 일본 (14) - 도시락과 쟁반을 좋아해
1. 일본 사람들은 식당에 가서도 도시락(벤또)을 즐겨 주문한다. 반면에 우리는 학교 또는 소풍 갈 때에는 싸 가지만, 식당에 가서까지 도시락을 시켜 먹지는 않는다. 일본의 도시락은 값도 제법 비싸다. 예컨대 마꾸노우찌벤또는 다른 메뉴 못지 않게 값이 고가(高價)이다. 한마디로 일본 벤또는 우리나라의 도시락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위상을 자랑한다. 왜 일본 사람들은 식당에 가서까지 벤또를 즐겨 먹을까? 늘 궁금한 의문이었다.2. 또 일본의 대중 식당에 가서 음식을 주문하면, 종업원은 예외 없이 1인...
2014-09-03 09:38 |
![]() |
[기고] <157> 사람을 두려워하는 나라, 일본(13) – 수동태와 동명사가 많은 일본어
나는 약창춘추 67-76, 102 및 105 (총 12회)를 통하여 ‘일본 사람은 사람 (남)을 두려워하는 것이 특징’이라는 주장을 펴 왔다. 오늘은 이러한 특징이 일본어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을 추가하기로 한다. 즉, 일본어에서는1. 명사(名詞) 앞에 ‘오’나 ‘고’를 붙임으로써 말을 부드럽고 예의 바르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차(茶)를 ‘오차’, 스시를 ‘오스시’, 벤또를 ‘오벤또’, 주문(注文)을 ‘고주문’, 끼겐(기분)을 ‘고끼겐’이라고 하는 식이다. 남이 두려우니 말이 자연 부드럽고 예의바르게 되는 것이 아닐까? 2.&n...
2014-08-20 09:38 |
![]() |
[기고] <156> 연구자의 장기근속 - 신약개발 성공의 급소
지난 6월 20일, 슈퍼박테리아를 타깃으로 삼은 동아에스티(ST)의 항생제 ‘테디졸리드(제품명 시벡스트로)’가 파트너사인 미국 큐비스트 사의 손을 통해 미국 FDA의 신약 승인을 받았다. 국산 신약이 FDA의 승인을 받은 것은 LG생명과학의 항균제 ‘팩티브’ 이래 11년 만의 경사이다.동아ST는 어떻게 이런 성취를 이룰 수 있었을까? 동아ST는 국내 제약기업 중 신약개발 능력을 갖춘 대표적인 기업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동아ST의 전신(前身)인 동아제약이 ‘박카스’로 돈을 벌 때 ‘제약회사가 물장사로 돈을 번다’고 비난하기도 하였다...
2014-08-06 09:38 |
![]() |
[기고] <155> “파든?”은 안돼!
1. 1988년 미국에 갔을 때 허리가 결려 의원에 갔더니 의사가 좀 절절 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내가 ‘과거에 이런 증상이 있었을 때 무슨 약을 먹어서 잘 고쳤다’고 경험담을 이야기 하자, ‘We have a cousin drug’이라며 비슷한 약을 처방해 주었다. 여기까지는 잘 나갔는데, 그 다음에 의사가 내게 무슨 지시를 하는데 잘 알아 들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럴 때 쓰면 된다고 한국에서 배운 대로 “파든?”이라고 해 보았다. 그러자 의사는 자기 설명이 부족해서 내가 못 알아 들은 줄 알고 아까보다 훨씬 장황한 설명을 하는...
2014-07-23 09:38 |
![]() |
[기고] <154> 영어 교육 - 아엠어 보이?
내가 미국을 싫어하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영어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음식이 별로 내 입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음식은 잘 하면 어느 정도 참을 수 있을 것 같으나 영어는 아직까지도 거북하기 짝이 없다. 내가 학교 다닐 때의 영어 교육은 실례지만 좀 웃기는 수준이었다. 당시의 영어 교사는 대개 회화를 할 실력이 없지 않았을까 싶다. 내가 아는 어떤 젊은 영어 선생이 1년간 휴직하고 영국에 가 있었는데, 체류 중 가장 노심초사한 것은 자신이 한국에서 영어 교사였다는 사실이 밝...
2014-07-09 10:28 |
![]() |
[기고] <153> ‘때문에’와 ‘덕분에’의 차이
1. “과일 중에서 가장 뜨거운 과일은?” 지난 봄 교회 수련회에 갔을 때 열린 퀴즈 대회에서 나온 문제이다. 순간 나는 손을 번쩍 들고 “천도 복숭아”라고 외쳤다. 며칠 전 일곱 살짜리 큰 손녀 예나가 알려 준 적이 있어서 답을 알고 있던 문제였다. 조그만 상품을 타고 돌아 온 나는 예나를 만나 고마움을 표하였다. “예나야, 너 때문에 할아버지가 교회에서 퀴즈를 맞혀 선물을 받아 왔다. 고마워”. 그랬더니 예나가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할아버지, 그런 때는 ‘예나 때문에’라고 하는 게 아니라 ‘예나 덕분에’라고 해야 하...
2014-06-25 10:10 |
![]() |
[기고] <152> 로봇 인간 시대
TV를 보면 인간들이 로봇과 세상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는 영화가 종종 방영된다. 나는 그런 영화가 나오면 즉시 채널을 돌려버린다. 말도 안 되는 허황된 이야기를 보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며칠 전 교회의 장로수련회에서 한 미래학자의 특강을 들어 보니, 그 영화의 내용이 결코 허황된 것이 아니란다. 30년 이내에 실제로 그런 시대가 오게 된단다. 즉 사람 몸의 일부가 로봇 장기(臟器)로 대체될 뿐만 아니라, 생각하는 기능마저 갖춘 로봇 인간들이 사람들과 함께 사는 세상이 온다는 것이다. 그 강사...
2014-06-11 10:07 |
![]() |
[기고] <151> 국가복원력 (國家復元力)
1. 역주행 (逆走行)운전 면허를 딴 지 얼마 안 되는 아버지가 오늘 처음으로 고속도로를 주행한다고 하셨다. 그런데 아들이 집에서 티브이를 보고 있자니, ‘어떤 사람이 고속도로에서 역주행을 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는 뉴스가 나오는 것이었다. 아들이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었다. “아버지, 어떤 사람이 고속도로에서 역주행을 하고 있다니 조심하세요”. 전화를 받은 아버지가 대답하였다. “그래 나도 보고 있다. 그런데 한두 놈이 아니다”. 2. 빵 장수와 버터 장수어느 빵 장수에게 매일 아침 버터를 납품해 주는 시골 농부...
2014-05-28 10:08 |
![]() |
[기고] <150> 안전사고위험 신고전화 911
많은 사람들이 한 마음으로 세월호 사고에 분노하고 있다. 선장을 비롯한 선원들의 비인간적이고 어이없는 대처, 생존자 구출에서 보인 정부의 우왕좌왕함, 그리고 배 회사 오너의 비리 등 때문이다. 한편 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고 희생자들의 빈소를 찾아 애도하고 있다. 우리는 역시 남의 불행에 함께 울고 함께 분개하기를 잘 하는 감성이 넘치는 민족인가 보다. 대통령은 사고 발생 후 20일도 지나지 않아 ‘국가안전처’를 신설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정부기관이 없어서 사고가 났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
2014-05-14 10:06 |
![]() |
[기고] <149> 매뉴얼, 매뉴얼 !!
지난 4월 16일, 제주도 수학여행길의 고등학생들을 비롯한 승객 476명이 탄 배 ‘세월호’가 침몰하는 큰 사고가 발생하였다. 국민들은 우선 사고의 엄청난 크기에 놀랐다. 승선자 중 구조된 사람은 174명에 불과하였다. 무어라 사고 당사자 및 가족들을 위로할 단어조차 생각나지 않는 순간이다. 다음으로는 탈출을 진두 지휘했어야 할 선장을 비롯한 선원들의 앞장선 도망 소식에 아연실색(啞然失色)하였다. 우리의 민도(民度)가 이 정도 밖에 되지 않았던가? 끝으로 사고 일주일 째인 4월 22일 현재까지도 실종자의 대부분을 구조하지...
2014-04-30 10:08 |
![]() |
[기고] <148> 규제개혁이 성공하려면
얼마 전 박근혜 대통령은 규제개혁을 강조하는 ‘끝장 토론’을 벌였다고 한다. 그러나 매스컴들은 역대 정부치고 규제개혁을 시도하지 않은 정부가 없었지만, 그 모든 시도가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고 보도하였다.
나는 ‘규제개혁’이라는 말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기차는 철로(鐵路) 위로만 다니게 되어 있다. 다니는 길을 철로로 제한하였다는 측면에서 보면 이 규정(規定)은 기차의 운행에 대한 일종의 규제(規制)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철로 밖에서 달렸다가는 전복 사고가 일어 날 수 밖에 없음을 생각하면...
2014-04-16 11:19 |
![]() |
[기고] <147> 베토벤과 신데렐라의 몰락
(사건 1) 지난 2월 7일 회사 업무로 일본 미야자키에 갔었을 때 일본 TV와 신문은 소위 ‘디지털 시대의 베토벤’ 사기 사건으로 법석을 떨고 있었다.일본에 사무라고치 라는 천재적인 작곡가가 있었다. 그는 후천적 귀머거리 행세를 하면서 ‘히로시마 교향곡 제1번’ 등 수많은 명곡을 작곡하여, 수많은 일본 음악 애호가들로부터 ‘디지털 시대의 베토벤’이라는 찬사를 듣고 있었다. 그랬는데 최근 모 방송국이 사무라고치를 의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한 음악대학의 시간 강사인 니이가키 라는 사람이 기자회견을 열고, ‘사무라고...
2014-04-03 13:48 |
![]() |
[기고] <146> 세월이 약이겠지요
가수 송대관 씨가 부른 ‘세월이 약(藥)이겠지요’라는 노래가 있다. 몸과 마음의 상처는 세월이 지나야 회복되는데, 세월은 유수(流水)처럼 또는 화살처럼 빨리 흐르니 좀 참고 기다리라는 내용이었던 것 같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월이 빠르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세월의 속도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것 같다. 젊어서는 느리게 지나갔던 시간이 나이가 들수록 빨리 지나간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래서 ‘세월은 20대에는 시속 20킬로로 지나가고 60대에는 시속 60킬로로 지나간다’는 말이 있는가 보다.
‘...
2014-03-12 11:53 |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3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4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7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8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9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10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재이슈화에 ‘정치 공세’ 비판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