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국민건강은 누가 책임지나
차기 대통령선거가 한달여 남았다.
이미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각 후보들은 매스컴이나 각종 단체에서 공약을 발표하고, 정책토론회를 연일 개최하고 있고, 각 후보에 대한 지지율 조사결과도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어디를 봐도 대선 주자들의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지난 21일에는 보건의료단체연합이 '대선 각 진영 보건의료정책 토론회'를 개최해 각 당의 공약을 발표하고 패널들과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토론에는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관계자만이 참가해 공공의료 강화,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무상의료 5개년 계획 등 공약을 발표했다.
지난 22일 한나라당이 발표한 대선 공약에도 5대암과 만성질환에 대한 국가관리 강화, 4대 사회보험의 재정기반 확충 등 정책이 들어있다.
하지만 어느 당도 구체적인 추진 방안이나 재원마련 계획 등 세부적인 내용을 제시하지 못했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공약(公約)은 공약(空約)이 되기 십상이다.
더구나 대통령 후보로 나선 이들이 선거를 한달도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국민의 건강을 어떻게 지켜나가고,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보건의료서비스 정책은 정부가 책임져야 할 가장 큰 의무 중 하나다.
차기 정권을 이끌어 가겠다는 대선 주자들이 이처럼 정책마련에 소홀하다면 국민의 건강은 누가 책임지란 말인가?
앞으로 대선까지는 아직 한달여의 시간이 남았다.
유세도 중요하고 세몰이도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을 위한 효과적이고 올바른 정책을 준비하는 일이다.
각 대선 후보 진영에서는 지금이라도 국민들이 안심하고 의료서비스를 맡길 수 있는 후보가 누구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성실하고 구체적인 보건의료정책을 마련·발표해야 할 것이다.
김정준
2002-11-25 0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