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정책 담당자의 책임
약대 6년제 실시가 보건의료계의 뜨거운 감자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한약학과 학생들이 한약학과 6년제 동반추진 및 한방의약분업 실시를 주장하며 외로운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학생들은 지난달 9일 약대 학제개편에 대한 제3자 단체의 부당한 개입에 항의하며 수업거부에 돌입한 이후, 6월14일과 7월1일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 집회를 열고 22일부터 단식시위를 이어오며 한약학과의 6년제 개편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학생들의 수업거부가 한달여 이어지고 있어 학사행정에 큰 차질을 주고 있으며, 그 동안 단식시위를 진행하다 탈진, 후송된 학생만도 4명이나 된다.
하지만 그 동안 보건복지부는 약대 6년제 추진과정에서 지난해 말 한약학과 동반추진안을 제시한 후 커리큘럼안을 제출받기도 했지만 정확한 가부 판단이나 입장 표명 없이 상황을 끌어 왔고, 한·약 합의에 이은 교육부 이관과정에서도 한약학과 문제는 배제시켜 왔다.
더욱이 한약학과 신설 이후 1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한방의약분업이나 기타 한약사 직능의 명확한 기능과 역할을 규정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책담당자들은 자신들이 내린 결정에 책임 져야한다. 한약사제도 및 한약학과는 과거 한약분쟁의 해결을 위해 정부가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언제까지나 거대 직능단체들의 눈치만 보며, 정책결정 과정에서 만들어진 소수 직능인들의 희생을 강요해서는 안될 것이다. 국민의 공복으로써 정책 담당자의 책임이 무엇인가를 직시해야 할 때다.
물론 한의계와 약계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직능의 이해에만 급급하기 보다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의료인으로써 전체 보건의료체계의 중장기적인 발전을 우선한 제도 개선에 합의해 가야 함은 물론, 자신들의 분쟁 해결을 위해 생겨난 직능을 함께 어우르고 끌고 갈 수 있는 책임과 여유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김정준
2004-07-09 1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