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석] 對 제약정책 '言行一致' 선행돼야
도협은 올해 제약사영업정책 개선, 공정거래풍토 확립, 유통일원화 유지 개선, 난립 방지 제도시행 촉구, 3자 공동물류 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업권수호 대형화를 위해 필수적인 사안들이다.
이중 회원들 피부에 가장 와 닿는 사안이 대 제약사 문제다. 실제 최근 제약사영업정책에 대한 목소리가 부쩍 늘었다. 저마진개선과 약정서없이 거래내용을 일방적으로 바꾸거나, 약국직거래를 위해 과도한 경품을 제공하는 제약사에 대한 대응 등으로 모아진다. 이미 몇몇 제약사가 거론되고 있고, 도협 초도이사회에서도 참석자들도 대부분 공감했다.
도협은 저마진은 기준을 정해 유통비용을 확보하는데 전력하고, 거래약정서도 수집해 검토한 후 제약사 협조를 얻고, 개선이 안 되면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다. 해결되면 상당한 부담을 덜며 업에 전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협조(?)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당장 저마진 논리로 내세우는 뒷마진은 도매업계가 제공하고 있고, 계속되고 있다. 거래약정서도 하소연하는 상태로라도 거래를 희망하는 업소들도 꽤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이 상황에서는 협조를 얻기 힘들고, 제약사들도 ‘시큰둥’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혹 움직임에 나섰을 때 ‘표리부동’ 가능성도 점친다. 실제 이 같은 예는 쥴릭 문제에서도 많이 노출됐고, 그대로 제약사에 연결되며 도매업계의 큰 약점이 됐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잘못된 영업정책을 개선시켜야 한다는 것은 도매업소 모두의 절실한 바람이다. 반면 제약사들은 ‘논리’와 ‘뒤바뀐 戰勢’를 앞세우며 물러서지 않으려 한다. “말과 행동이 일치되지 않고, 자체 모순을 해결하려는 치열한 노력이 없으면 대 제약정책은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는 한 인사의 말은 시사하는 바가 있다. 물론 현 상태에 만족한다면 그만이다.
이권구
2006-03-06 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