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환자에게 수면 방해 없이 수면무호흡과 혈압을 함께 감시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일반 혈압계는 커프의 압박으로 인해 수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수면다원검사 시 사용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었던 반면, 스마트 반지를 활용하면 외부 자극 없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수면다원검사를 더욱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지난 8월 31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ESC 2024)에서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김원주 교수는 “수면무호흡은 저항성 고혈압 환자 80%, 울혈성 심부전 환자 50%, 심방 세동 환자 50%가 수면무호흡증을 갖고 있다”며 “수면무호흡은 혈관 손상, 혈전 생성 등을 유발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인다”고 밝혔다.
특히, “수면 중 무호흡이 발생하면, 혈압이 상승하게 되고 높은 혈압과 저산소증으로 심장과 혈관에 큰 부담이 발생해 야간 고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며 “ 야간 고혈압은 심뇌혈관 질환이나 사망 가능성이 높아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수면무호흡 진단 골드 스탠다드(Gold Standard)인 수면다원검사는 여러 기능 센서들을 통해 수면 패턴을 상세히 분석하고 호흡의 상태를 함께 체크하지만, 혈압까지 동시에 측정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수면 중 커프형 혈압계를 착용할 경우, 커프 압박으로 환자가 잠에서 깨 자연스러운 수면이 방해를 받고, 수면 장애가 발생하면 뇌파, 산소포화도, 호흡, 심전도 등 다른 데이터에도 영향을 미치며, 평상시 수면 상태와 달라져 정확한 평가가 어렵게 된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웨어러블 기술이 수면무호흡과 고혈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원주 교수는 “웨어러블 기술은 표준 수면다원검사 단점을 보완하며, 수면무호흡 환자 심혈관 건강을 보다 간편하고 접근 가능한 중요한 도구로 평가될 것 같다”며 ' 카트 비피는 혈압 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맥박수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표준 수면다원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트 비피는 최근 심평원으로부터 의료행위 수가를 적용받은 스마트 반지형 혈압계다.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하면 반지에 탑재된 빛 센서 광용적맥파측정법(PPG) 기술을 사용해 혈압을 감시하며, 외부 자극이나 고통이 없어 수면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2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3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4 | '기분 탓'이라 넘기기엔 너무 위험…양극성장애, 평균 진단까지 6년 |
5 | K-뷰티 북미 공략 본격화… 'CPNA 2025' 한국 190여개사 참가 |
6 | KEY NOTES for MANAGEMENT: 2025년 06월 |
7 | "개인의 돌봄 부담, 사회가 함께 나눠야"…전국민 장기요양보험 확대 목소리 |
8 | 화장품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산업이다! 쎄파띠~ |
9 | J&J서 분사 ‘켄뷰’ 매각 전주곡? CEO 전격교체 |
10 | "VC·AC 주목해주세요" 유망 스타트업 투자유치 플랫폼 '빅웨이브'에 총집합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국내 연구진이 환자에게 수면 방해 없이 수면무호흡과 혈압을 함께 감시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일반 혈압계는 커프의 압박으로 인해 수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수면다원검사 시 사용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었던 반면, 스마트 반지를 활용하면 외부 자극 없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어 수면다원검사를 더욱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지난 8월 31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유럽심장학회 연례학술대회(ESC 2024)에서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김원주 교수는 “수면무호흡은 저항성 고혈압 환자 80%, 울혈성 심부전 환자 50%, 심방 세동 환자 50%가 수면무호흡증을 갖고 있다”며 “수면무호흡은 혈관 손상, 혈전 생성 등을 유발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인다”고 밝혔다.
특히, “수면 중 무호흡이 발생하면, 혈압이 상승하게 되고 높은 혈압과 저산소증으로 심장과 혈관에 큰 부담이 발생해 야간 고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며 “ 야간 고혈압은 심뇌혈관 질환이나 사망 가능성이 높아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수면무호흡 진단 골드 스탠다드(Gold Standard)인 수면다원검사는 여러 기능 센서들을 통해 수면 패턴을 상세히 분석하고 호흡의 상태를 함께 체크하지만, 혈압까지 동시에 측정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수면 중 커프형 혈압계를 착용할 경우, 커프 압박으로 환자가 잠에서 깨 자연스러운 수면이 방해를 받고, 수면 장애가 발생하면 뇌파, 산소포화도, 호흡, 심전도 등 다른 데이터에도 영향을 미치며, 평상시 수면 상태와 달라져 정확한 평가가 어렵게 된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웨어러블 기술이 수면무호흡과 고혈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원주 교수는 “웨어러블 기술은 표준 수면다원검사 단점을 보완하며, 수면무호흡 환자 심혈관 건강을 보다 간편하고 접근 가능한 중요한 도구로 평가될 것 같다”며 ' 카트 비피는 혈압 뿐만 아니라 산소포화도, 맥박수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표준 수면다원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트 비피는 최근 심평원으로부터 의료행위 수가를 적용받은 스마트 반지형 혈압계다. 사용자가 손가락에 착용하면 반지에 탑재된 빛 센서 광용적맥파측정법(PPG) 기술을 사용해 혈압을 감시하며, 외부 자극이나 고통이 없어 수면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