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영국은 첨단산업 중 제약바이오산업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3일 발간한 제16호 정책보고서 ‘KPBMA Brief’에서 주한 영국 대사관 이은정 상무관은 ’혁신적인 보건 의료의 나라, 영국’ 주제 기고에서 영국 제약·바이오산업은 5,500여개 회사가 24만명이 넘는 인력을 고용해 연간 매출 700억 파운드와 수출 300억 파운드를 달성하며 영국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상무관에 따르면 영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R&D 투자가 이뤄지는 국가로, 전체 R&D 비용의 20%를 제약·바이오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첨단산업 분야 중 가장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또 영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제약·바이오산업전략을 발표하고 12월 영국 제약·바이오산업간 민관협약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이를 실행에 옮기는 등 보건의료와 제약·바이오산업의 대표적인 혁신 국가로 자리매김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제약·바이오산업전략과 민관협약은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임상시험 개선 등 주요내용 함께 R&D 및 제조 관련 세금 혜택 등에 대한 내용도 함께 담고 있다.
이은성 상무관은 "영국 정부의 다양한 재정 장려책 및 세금 혜택이 영국을 세계에서 R&D, 임상 개발, 제조하기에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들었다"며 " 영국은 현재 G7 국가 중 가장 낮은 법인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경우 R&D 비용의 23%까지 세금 감면을 지원하는 등 전 세계에서 가장 관대한 수준의 R%D 세금공제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3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4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7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8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9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10 | 네이처셀,미국 워싱턴서 '조인트스템' 연구성과-FDA EOP2 미팅 결과 발표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영국은 첨단산업 중 제약바이오산업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23일 발간한 제16호 정책보고서 ‘KPBMA Brief’에서 주한 영국 대사관 이은정 상무관은 ’혁신적인 보건 의료의 나라, 영국’ 주제 기고에서 영국 제약·바이오산업은 5,500여개 회사가 24만명이 넘는 인력을 고용해 연간 매출 700억 파운드와 수출 300억 파운드를 달성하며 영국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상무관에 따르면 영국은 전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R&D 투자가 이뤄지는 국가로, 전체 R&D 비용의 20%를 제약·바이오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첨단산업 분야 중 가장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또 영국 정부는 지난해 8월 제약·바이오산업전략을 발표하고 12월 영국 제약·바이오산업간 민관협약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이를 실행에 옮기는 등 보건의료와 제약·바이오산업의 대표적인 혁신 국가로 자리매김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제약·바이오산업전략과 민관협약은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임상시험 개선 등 주요내용 함께 R&D 및 제조 관련 세금 혜택 등에 대한 내용도 함께 담고 있다.
이은성 상무관은 "영국 정부의 다양한 재정 장려책 및 세금 혜택이 영국을 세계에서 R&D, 임상 개발, 제조하기에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들었다"며 " 영국은 현재 G7 국가 중 가장 낮은 법인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경우 R&D 비용의 23%까지 세금 감면을 지원하는 등 전 세계에서 가장 관대한 수준의 R%D 세금공제제도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