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아는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전환했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삐아는 올해 1~3분기 누적(이하 누적) 40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274억원 대비 46.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4억원으로 전년동기 32억원 대비 4.3% 늘었다. 그러나 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6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6억원으로 전년동기 2억원 대비 149.4% 늘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1.4%다. 연구개발비는 지출하지 않았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84억원으로 전년동기 24억원 대비 244.2% 증가했다. 비중은 21.0%다.
3분기의 경우 1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137억원 대비 3.6%, 전년동기 104억원 대비 35.4%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기 6억원 대비 72.6%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26억원보다는 60.3% 감소했다. 순이익 17억원을 기록해 32억원의 순손실을 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13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해서도 25.6% 증가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3억원으로 전기 2억원 대비 73.2% 증가했다. 전년동기엔 마이너스 7억원을 기록했다. 연구개발비는 지출하지 않았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마이너스 4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실적은 80억원이었다.
△ 지역별 실적

지역별 실적은 국내 매출 비중이 79%였다.
국내 매출 중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78%나 됐다. 누적 매출은 312억원으로 전년동기 248억원 대비 26% 성장했다. 비중은 78%. 3분기 매출은 180억원으로 전기 55억원 대비 226% 증가했고, 전년동기 172억원 대비 5% 각각 증가했다.
타사 상품 유통의 국내 누적매출은 5억원으로 전년동기 2억원 대비 150% 증가했다. 비중은 1%. 3분기 매출은 3억원으로 전기 2억원 대비 66% 증가했다. 마이너스 7억원을 기록했던 전년동기보다는 189% 성장했다. 비중은 2%.
해외 매출 중 제품의 누적 매출은 84억원으로 전기 24억원 대비 245% 늘었다. 비중은 21%. 3분기 매출은 마이너스 42억원으로 전기 80억원 대비 152% 역성장했다. 전년동기엔 마이너스 60억원을 기록했다.
타사상품 유통 누적 매출은 1억원으로 전년동기 2000만원 대비 144% 증가했다. 비중은 미미한 편이다. 3분기 매출은 4000만원으로 전기 1000만원 대비 152% 증가했다. 전년동기엔 마이너스 4억원을 기록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천당제약,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독점공급-판매계약 7개국에 프랑스 추가 |
| 2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3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
| 4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5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6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7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8 | 네이처셀, 라정찬-정상목 사내이사 선임 |
| 9 | 동물실험 넘어 오가노이드와 디지털로…인체 약동학 예측 전환점 |
| 10 | 네이처셀,미국 워싱턴서 '조인트스템' 연구성과-FDA EOP2 미팅 결과 발표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삐아는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적자전환했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삐아는 올해 1~3분기 누적(이하 누적) 40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274억원 대비 46.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4억원으로 전년동기 32억원 대비 4.3% 늘었다. 그러나 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6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6억원으로 전년동기 2억원 대비 149.4% 늘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1.4%다. 연구개발비는 지출하지 않았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84억원으로 전년동기 24억원 대비 244.2% 증가했다. 비중은 21.0%다.
3분기의 경우 1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137억원 대비 3.6%, 전년동기 104억원 대비 35.4%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기 6억원 대비 72.6%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26억원보다는 60.3% 감소했다. 순이익 17억원을 기록해 32억원의 순손실을 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13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해서도 25.6% 증가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3억원으로 전기 2억원 대비 73.2% 증가했다. 전년동기엔 마이너스 7억원을 기록했다. 연구개발비는 지출하지 않았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마이너스 4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실적은 80억원이었다.
△ 지역별 실적

지역별 실적은 국내 매출 비중이 79%였다.
국내 매출 중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78%나 됐다. 누적 매출은 312억원으로 전년동기 248억원 대비 26% 성장했다. 비중은 78%. 3분기 매출은 180억원으로 전기 55억원 대비 226% 증가했고, 전년동기 172억원 대비 5% 각각 증가했다.
타사 상품 유통의 국내 누적매출은 5억원으로 전년동기 2억원 대비 150% 증가했다. 비중은 1%. 3분기 매출은 3억원으로 전기 2억원 대비 66% 증가했다. 마이너스 7억원을 기록했던 전년동기보다는 189% 성장했다. 비중은 2%.
해외 매출 중 제품의 누적 매출은 84억원으로 전기 24억원 대비 245% 늘었다. 비중은 21%. 3분기 매출은 마이너스 42억원으로 전기 80억원 대비 152% 역성장했다. 전년동기엔 마이너스 60억원을 기록했다.
타사상품 유통 누적 매출은 1억원으로 전년동기 2000만원 대비 144% 증가했다. 비중은 미미한 편이다. 3분기 매출은 4000만원으로 전기 1000만원 대비 152% 증가했다. 전년동기엔 마이너스 4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