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코텍 윤태영 대표,파이프라인 현황- 향후 계획 소개
2024년 하반기 R&D Day 개최...내성발현 차단 통해 재발/전이 막아 근본적 항암치료 가능성 제시
입력 2024.10.25 15:40 수정 2024.10.26 07:2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혁신신약개발 기업 오스코텍(대표 김정근 윤태영)이 24일 여의도 거래소 별관 5층 코스닥협회 강당에서 기관투자자 및 제약/바이오 애널리스트 약 30여명을 대상으로2024년 하반기 R&D Day를 열고, 주요 연구과제 현황 을 소개했다. 

우선 윤태영 대표는 최근 FDA 허가를 받고 J&J가 출시한  레이저티닙 우수성을 소개하며 “효능 개선 원인을 병용약인 아미반타맙의 c-Met 저해에 의한 내성 발현 차단에서도 찾을 수 있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추측한다”며  오스코텍 항암제 개발 전략인  ‘내성 극복’ 연결 지었다.

회사 측에 따르면  먼저 ‘세비도플레닙’(cevidoplenib, SKI-O-703)은 지난해 희귀자가면역질환인 면역혈소판감소증 글로벌 임상2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난달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현재 복수의 기업과 글로벌 허가임상 전략을 포함한 파트너링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연구자 임상을 준비 중이다. 연말까지 국내 식약처에 임상시험신청 예정인 연구자 임상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윤재호 교수 주도로 진행된다. 

면역혈소판감소증 신규환자 1차 치료 후 세비도플레닙이 재발을 늦추거나 완치에 이르게 할 수 있을 지를 보는 탐색적 임상으로,   성공적일 경우 세비도플레닙 시장성을 크게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윤대표는 밝혔다.

‘덴피본티닙’(denfivontinib, SKI-G-801)은 국내 고형암 임상1a상 투약과 추적 관찰을 마치고, 내년 상반기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할 예정이다.  5단계 용량을 진행하면서 특별한 안전성 이슈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격적으로 효능을 확인할 후속 병용투여 임상1b는 투자우선순위에 따라 결정할 예정이다.

아델과 공동연구개발 중인 ‘ADEL-Y01’ 경우 미국에서 순탄하게 1상을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두 단계 용량 증대를 마쳤으며  안전성 관련 우려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 내년 초부터 현재 진행 중인 건강인 대상 단회투여 용량 증대 시험과 병행해 알츠하이머 환자 대상 다회투여 용량 증대 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윤태영 대표는 오스코텍 중장기 비전을 담은 내성 차단 항암제 개발 진행 현황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암세포 사멸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존 항암치료가 오히려 살아 남은 암세포 치료 내성을 키워 종양 재발과 전이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최근 다수 연구결과를 통해 알려졌다고 밝힌 윤 대표는, 특히 배수성 주기(ploidy cycle)을 통한 종양이 재생된다는 가설을 소개하며, 오스코텍은  배수성 주기를 차단함으로써 치료제 내성과 그에 따른 암 재발 및 전이를 억제하는 기전 약물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는 기존 항암제와 병용요법을 통해 보다 근본적으로 항암치료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표는 국내 카나프테라퓨틱스로부터 도입해 내년 임상 진입을 앞둔 EP2/4 이중저해제 OCT-598을 비롯한 오스코텍 디스커버리 단계 항암제 파이프라인이 대부분  치료제 내성 및 전이를 극복하는 기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결과 일부도 공개했다.

윤태영 대표는 디스커버리 단계 파이프라인과 관련, 현재 3~4개 혁신신약 (first-in-class) 과제가 후보물질, 선도물질, 유효물질 단계에 고르게 포진하고 있으며, 항암/섬유화 과제 경우 빠르면 올해  후보물질을 선정하고 내년 봄 국제학회를 통해 내용을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오스코텍은 R&D Day 발표자료 및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공개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기관지확장증, ‘안정적 조절’이 목표”…염증 조절로 악화 줄인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오스코텍 윤태영 대표,파이프라인 현황- 향후 계획 소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오스코텍 윤태영 대표,파이프라인 현황- 향후 계획 소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