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종속기업 중 한올바이오파마가 1032억원의 매출로 종속기업 중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했다.
약업닷컴이 대웅제약의 2023년 11월 3분기 보고서(연결)를 분석한 결과, 종속기업 기여도는 한올바이오파마가 1032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Daewoong Pharmaceutical(Thailand)Co.,Ltd.(145억원), 힐리언스(67억원), PT. DAEWOONG INFION(63억원), HPI,INC.(60억원), 대웅이엔지(57억원), 요녕대웅제약유한공사(48억원), Daewoong Pharma PHILIPPINES INC.(43억원), 북경대웅위업의약과기유한공사(21억원), PT. Daewoong Pharmaceutical(Indonesia)Co.,Ltd.(12억원), Daewoong innovation holdings(8억원), 아이엔테라퓨틱스(6억원), Daewoong Pharmaceutical India Pvt., Ltd.(6억원), Daewoong Biologics Indonesia(1억원) 순이다.
순이익 역시 한올바이오파마가 64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PT. DAEWOONG INFION가 1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종속기업이 적자지속 내지 적자전환 상태이나 HPI,INC., Daewoong innovation holdings 등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한편 국내법인 주요 품목 매출을 살펴보면 제품 중에서는 우루사가 239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펙수클루(144억원), 크레젯(84억원), 올메텍(74억원), 가스모틴(60억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은 릭시아나 233억원, 크레스토189억원 순이다. 다이아벡스, 임팩타민, 세비카 등은 공시자료가 없었다.
누적 실적으로 보면 우루사, 올메텍, 가스모틴, 크레스토 등은 전기 대비 매출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년 연속 천억대 충격 적자" HLB, 지난해 영업익 -1185억·순익 -1080억 |
2 | “차기 정부에 바란다” 제약업계가 제안하는 제약바이오 정책 10가지는 |
3 | 펩트론, 1개월 지속형 비만치료제 ‘PT403’ 호주 이어 한국 특허 취득 |
4 | 콜마 윤동한 회장 '적극 중재' ...결과는? |
5 | HLB생명과학, 지난해 영업익 -248억원 "두 해 연속 적자" |
6 | 이뮨온시아, 코스닥 데뷔…"추가 글로벌 기술이전 추진" |
7 | 당뇨·비만 판 흔들, 릴리 1위 vs 노보 추락… 승패 갈린 이유? |
8 | 50% 치료율에 던진 질문, 로킷헬스케어 유석환 회장이 그리는 의료 미래 |
9 | 발등에 불똥 떨어진 노보 노디스크…CEO 전격 교체 |
10 | [임상시험의 날 특별인터뷰] 국내 1호 CRO 씨엔알리서치에 듣는 한국 임상시험 미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웅제약 종속기업 중 한올바이오파마가 1032억원의 매출로 종속기업 중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했다.
약업닷컴이 대웅제약의 2023년 11월 3분기 보고서(연결)를 분석한 결과, 종속기업 기여도는 한올바이오파마가 1032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Daewoong Pharmaceutical(Thailand)Co.,Ltd.(145억원), 힐리언스(67억원), PT. DAEWOONG INFION(63억원), HPI,INC.(60억원), 대웅이엔지(57억원), 요녕대웅제약유한공사(48억원), Daewoong Pharma PHILIPPINES INC.(43억원), 북경대웅위업의약과기유한공사(21억원), PT. Daewoong Pharmaceutical(Indonesia)Co.,Ltd.(12억원), Daewoong innovation holdings(8억원), 아이엔테라퓨틱스(6억원), Daewoong Pharmaceutical India Pvt., Ltd.(6억원), Daewoong Biologics Indonesia(1억원) 순이다.
순이익 역시 한올바이오파마가 64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PT. DAEWOONG INFION가 1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종속기업이 적자지속 내지 적자전환 상태이나 HPI,INC., Daewoong innovation holdings 등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한편 국내법인 주요 품목 매출을 살펴보면 제품 중에서는 우루사가 239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펙수클루(144억원), 크레젯(84억원), 올메텍(74억원), 가스모틴(60억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은 릭시아나 233억원, 크레스토189억원 순이다. 다이아벡스, 임팩타민, 세비카 등은 공시자료가 없었다.
누적 실적으로 보면 우루사, 올메텍, 가스모틴, 크레스토 등은 전기 대비 매출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