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신약개발 전문기업 신테카바이오(대표 정종선)는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지구인 둔곡 지구 내에 건립한 AI 바이오 슈퍼컴(AI Bio Supercom, ABS)센터의 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2022년 5월 첫 삽을 뜬지 약 1년 5개월 만이다.
신테카바이오 ABS센터는 대전 둔곡지구 연구 용지 1만200㎡(대지 3000평 규모)의 부지에 연면적 3954.54㎡, 건축면적 1387.39㎡에 지상 4층 규모로 준공됐다. 기존에 구로 센터에 있던 슈퍼컴퓨팅 장비 이동 작업을 마무리하고 장비 사용 재개 및 안정화 단계를 거쳐 10월 말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ABS센터는 친환경·고효율을 지향하며 ‘흰개미집 구조’에 기반한 자연대류 구조 열 배출 방식 설계를 적용했다.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 평가 지표인 전력 사용효율(PUE)은 데이터센터 연 실사용 전력량을 필요 전력량으로 나눠 계산하는 수치인데, 1에 가까울수록 높은 에너지효율을 의미한다. 신테카바이오 ABS센터도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해 PUE 목표치를 1.1 수준으로 설정할 예정이다.
이 센터에는 소방청고시 제2022-41호(2022.11.25) 화재안전기준(NFSC 107A)에 의거한 불활성기체 소화설비를 적용했다. 또 인체에 무해한 가스를 사용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소방 설비도 6곳으로 나누어져 있어 특정 섹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데이터센터가 정상 작동되도록 설계돼 있다.
회사는 ABS센터가 새롭게 가동되는 시점을 기점으로 △기존의 딥매처를 활용한 원스톱 서비스(DDC 서비스)를 강화하고 △주요 플랫폼 및 서비스를 모듈화해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모델 출시 일정은 내년 초로 보고 있으며, 해당 서비스들은 구독 기반의 요금제를 적용해 고객사 니즈에 따라 연간 1천달러부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테카바이오 정종선 대표이사는 “친환경·에너지 고효율·안전성 측면에 주안점을 둔 ABS센터를 큰 이슈 없이 준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면서 “자체 구축한 ABS센터 및 인프라는 AI 신약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제약사들과 계약을 맺고 서비스 공급하는 데에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 대표는 “ABS센터 준공으로 글로벌 비즈니스의 토대가 마련된 만큼 현재 진행 중인 비즈니스 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이른 시일 내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1분기 화장품 ODM, 상위사 집중 현상 심화 |
2 | 연세대 약대 황성주 교수,정년퇴임…35년 제약학 교육·연구 헌신 조명 |
3 | 신약개발 성공 이끄는 씨엔알리서치와 '숨은 영웅들' |
4 | 2025 올리브영 페스타, '테마형 뷰티테인먼트'로 새로운 길 연다 |
5 | 의약품유통협회, 얀센 마진 인하에 '최후통첩'..."철회 외 협의 없다" |
6 | "치매 더 정밀하게 찾는다" 아밀로이드 '혈액·PET 진단' 공존시대 개막 |
7 | 신영에어텍 김용희 대표 "혁신 플라즈마 살균 기술로 숨 쉬는 공기 지킨다" |
8 | SK바이오사이언스,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 특허침해소송 '승소' |
9 | 식약처, 방사성 요오드 부족 "일시적 원료 문제" |
10 | 아이진, 엠브릭스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MBT-002' 기술이전 및 판권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AI신약개발 전문기업 신테카바이오(대표 정종선)는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지구인 둔곡 지구 내에 건립한 AI 바이오 슈퍼컴(AI Bio Supercom, ABS)센터의 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2022년 5월 첫 삽을 뜬지 약 1년 5개월 만이다.
신테카바이오 ABS센터는 대전 둔곡지구 연구 용지 1만200㎡(대지 3000평 규모)의 부지에 연면적 3954.54㎡, 건축면적 1387.39㎡에 지상 4층 규모로 준공됐다. 기존에 구로 센터에 있던 슈퍼컴퓨팅 장비 이동 작업을 마무리하고 장비 사용 재개 및 안정화 단계를 거쳐 10월 말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ABS센터는 친환경·고효율을 지향하며 ‘흰개미집 구조’에 기반한 자연대류 구조 열 배출 방식 설계를 적용했다. 데이터센터의 에너지효율 평가 지표인 전력 사용효율(PUE)은 데이터센터 연 실사용 전력량을 필요 전력량으로 나눠 계산하는 수치인데, 1에 가까울수록 높은 에너지효율을 의미한다. 신테카바이오 ABS센터도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해 PUE 목표치를 1.1 수준으로 설정할 예정이다.
이 센터에는 소방청고시 제2022-41호(2022.11.25) 화재안전기준(NFSC 107A)에 의거한 불활성기체 소화설비를 적용했다. 또 인체에 무해한 가스를 사용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소방 설비도 6곳으로 나누어져 있어 특정 섹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데이터센터가 정상 작동되도록 설계돼 있다.
회사는 ABS센터가 새롭게 가동되는 시점을 기점으로 △기존의 딥매처를 활용한 원스톱 서비스(DDC 서비스)를 강화하고 △주요 플랫폼 및 서비스를 모듈화해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형태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모델 출시 일정은 내년 초로 보고 있으며, 해당 서비스들은 구독 기반의 요금제를 적용해 고객사 니즈에 따라 연간 1천달러부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신테카바이오 정종선 대표이사는 “친환경·에너지 고효율·안전성 측면에 주안점을 둔 ABS센터를 큰 이슈 없이 준공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면서 “자체 구축한 ABS센터 및 인프라는 AI 신약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제약사들과 계약을 맺고 서비스 공급하는 데에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 대표는 “ABS센터 준공으로 글로벌 비즈니스의 토대가 마련된 만큼 현재 진행 중인 비즈니스 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이른 시일 내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