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는 지난 4일 항암 후보물질 ‘EC-352H’와 ‘EC-374H’의 림프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용도 특허를 출원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특허를 기반으로 EDGC는 오는 10월 개최 예정인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 ‘EC-352H’와 ‘EC-374H’의 림프암 효능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 특허 출원은 EDGC의 독자적 후생유전학적 바이오 마커 탐색 기술로 발굴한 항암 후보물질 ‘EC-352H’와 ‘EC-374H’의 림프암 억제 효능을 확인한 용도 특허다. 해당 항암 후보물질은 정상 세포의 독성은 최소화하고, 특이적으로 림프암 세포의 증식은 억제해 림프암 종양 성장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기존 경쟁 항암제의 고질적 문제인 정상 세포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높은 효능을 갖는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EC-352H’와 ‘EC-374H’는 림프암에서의 효능 외에도 전립선암에서의 우수한 효능으로 지난 2018년 미국과 국내 물질 특허 등록을 마쳤다. EDGC는 이번 항암 후보물질 ‘EC-352H’와 ‘EC-374H’의 용도 특허 출원을 통해 전립선암에 이어 림프암에서의 효능을 증명하여 연구 방향을 다각화한다는 계획이다.
EDGC 신약개발연구소는 신약관련 물질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약물 최적화 과정 등으로 연구에 매진 중이다. 또 EDGC의 후생유전학 바이오마커 플랫폼 에피캐치(Epicatch)의 AI기반 유전체 분석법으로 암환자들의 메틸레이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굴된 마커를 통해 환자 맞춤형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에피캐치로 발굴한 바이오마커와 EDGC에서 보유 중인 약학 조성물들을 적용해, 림프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 대상의 효능 연구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EDGC 신약개발연구소 김연정 소장은 “EDGC 신약개발연구소는 자체 연구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고도화에 집중할 것”이라며 “EDGC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분야에서 유전체 분석을 접목한 신약개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에이프로젠,지주회사 전환...자회사 2곳-손자회사 4곳 |
2 | 엔지켐생명,구강점막염 치료제 임상2상 효능- 안전성 입증 |
3 | 가임기 여성 절반 겪는 자궁근종, 조기 발견이 치료 관건 |
4 | 강남구약사회, 회원약국 대상 고급 명찰 제작·배포 |
5 | 양자컴퓨터가 '난공불락 KRAS’를 무너뜨린다 |
6 | 앱클론, 질병관리청과 시약초자류 구매계약 체결 |
7 | 강스템바이오텍, 일본 기업과 오가노이드 적용 신소재 공동개발 착수 |
8 | 한국비엔씨,진메디신과 전략적 지분투자-판권 라이센싱 계약 체결 |
9 | 샤페론,혈액 바이오마커 기반 ‘아토피 맞춤 치료’ 솔루션 국제 학술지 게재 |
10 | 최초 항문암 치료 PD-1 저해제 FDA 허가취득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는 지난 4일 항암 후보물질 ‘EC-352H’와 ‘EC-374H’의 림프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용도 특허를 출원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특허를 기반으로 EDGC는 오는 10월 개최 예정인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 ‘EC-352H’와 ‘EC-374H’의 림프암 효능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번 특허 출원은 EDGC의 독자적 후생유전학적 바이오 마커 탐색 기술로 발굴한 항암 후보물질 ‘EC-352H’와 ‘EC-374H’의 림프암 억제 효능을 확인한 용도 특허다. 해당 항암 후보물질은 정상 세포의 독성은 최소화하고, 특이적으로 림프암 세포의 증식은 억제해 림프암 종양 성장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기존 경쟁 항암제의 고질적 문제인 정상 세포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높은 효능을 갖는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EC-352H’와 ‘EC-374H’는 림프암에서의 효능 외에도 전립선암에서의 우수한 효능으로 지난 2018년 미국과 국내 물질 특허 등록을 마쳤다. EDGC는 이번 항암 후보물질 ‘EC-352H’와 ‘EC-374H’의 용도 특허 출원을 통해 전립선암에 이어 림프암에서의 효능을 증명하여 연구 방향을 다각화한다는 계획이다.
EDGC 신약개발연구소는 신약관련 물질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약물 최적화 과정 등으로 연구에 매진 중이다. 또 EDGC의 후생유전학 바이오마커 플랫폼 에피캐치(Epicatch)의 AI기반 유전체 분석법으로 암환자들의 메틸레이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굴된 마커를 통해 환자 맞춤형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에피캐치로 발굴한 바이오마커와 EDGC에서 보유 중인 약학 조성물들을 적용해, 림프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 대상의 효능 연구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EDGC 신약개발연구소 김연정 소장은 “EDGC 신약개발연구소는 자체 연구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고도화에 집중할 것”이라며 “EDGC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 분야에서 유전체 분석을 접목한 신약개발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