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에스비튜젠, 인포뱅크서 2억 원 투자 유치
노인성 근감소 질환 치료 획기적인 대안으로 꼽혀
입력 2021.07.08 18:27 수정 2021.07.08 18:2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인포뱅크㈜ 아이엑셀(대표 홍종철)이 결성한 50억규모의 개인투자조합 1호 펀드에서 바이오 스타트업 ‘케이에스비튜젠(대표 김보경)’에 2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

케이에스비튜젠(KSB TUGEN)은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인 김보경 대표가 30여년간 대학에서 연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020년 창업한 ‘노인성 근감소증 치료제' 개발 바이오 스타트업이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노령인구가 급증하면서 개인의 운동 능력 저하가 인지장애나 당뇨병 등 다수의 난치성 질병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제는 노인성 근감소증은 전세계가 인정하는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KCD 8차 개정 한국 질병 분류 코드에 등록됐다.

업계에서는 2025년까지 수 조원 규모의 치료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전세계적으로 현재까지 치료제는 전무한 실정이다. 대형 제약사들도 시장 진입을 위해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는 등 임상시험에 도전하고 있으나, 바이오의약품은 고분자에 기반해 구조적 복잡성, 면역반응 유발 등의 문제로 임상효능 예측이 불가능하여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케이에스비튜젠의 신약 후보물질은 저분자 기반의 화합물로 안정성이 이미 입증되었고, 바이오의약품과 비교해 복약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과 진입장벽이 낮다. 특히 자체 개발한 후보물질(KSB-10104, KSB-10201, KSB-10301)은 글로벌 제약사의 파이프라인에 비해 근감소율을 평균 5% 이상 경감시키는 효능을 입증했다.

김보경 케이에스비튜젠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지식재산권을 미국, 중국, 독일 등으로 확장하고 연구자주도임상시험을 시행하여, 2022년 하반기 임상 1상에 진입할 계획”이라며 “국내외 병원, 합성전문회사 등과도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임상시험진입 및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인포뱅크 iAccel 홍종철 대표는 “노인성 근감소증은 유병율이 50%를 넘는 중대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치료제가 부재인 상황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케이에스비튜젠은 근감소증 치료제의 전임상 평가가 완료되어 조기 임상진입을 앞두고 있는 시장 선도기업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며, “임상시험 조기성공률 극대화와 더불어 국내외 제약사에게 라이센싱 아웃을 조속하게 성공할 수 있도록 인포뱅크 iAccel의 다양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과 네트워크를 통해 폭 넓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신영에어텍 김용희 대표 "혁신 플라즈마 살균 기술로 숨 쉬는 공기 지킨다"
[임상시험의 날 특별인터뷰] 국내 1호 CRO 씨엔알리서치에 듣는 한국 임상시험 미래
건선 치료, 빔젤릭스가 제시하는 새로운 가능성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케이에스비튜젠, 인포뱅크서 2억 원 투자 유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케이에스비튜젠, 인포뱅크서 2억 원 투자 유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