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제약·바이오
[창간 71주년] LSK Global PS, 1691건 레퍼런스로 증명한 임상 CRO 역량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harma Services, 이하 LSK Global PS)가 치열한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심에서 세계적 수준의 원스톱 풀 서비스(One-Stop Full Service) CRO로 자리 잡으며, 국내 CRO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다.LSK Global PS는 2000년 설립 이후 25년 동안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협력하며, 최상의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암, 신경계, 심혈관계를 포함한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임상 1상부터 4상까지 전 단계를 수행하며, 의료기기·디지털 치료제 임상, 역학 연구 등 포괄적인 연구 서비스까지 아우르고 있다.LSK Global PS는 CRO 서비스를 넘어, 연구자 및 연구기관이 주도하는 학술적 의약학 연구까지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다. 국내 연구 역량 강화에 기여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이러한 성과는 객관적인 수치로도 강력하게 입증된다. 2024년 12월 기준, LSK Global PS는 총 1691건의 임상시험을 수행했다. 이 중 187건이 글로벌 임상시험이었다. 이는 국내 CRO 중에서도 압도적인 기록으로, LSK Global PS가 국내를 넘어 글로벌 임상시험 시장에서도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LSK Global PS는 국내 CRO 최초로 글로벌 대형 CRO와 경쟁해 미국 다국적 제약사의 항암제 First-In-Human(FIH) 1상을 수주하는 쾌거도 이뤘다. 국내 CRO의 역량이 글로벌에 뒤지지 않는 다는 것을 증명한 이정표를 세운 것이다. 또한 미국, 유럽, 아시아 등 12개국 95개 사이트에서 진행된 대규모 글로벌 항암제 3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국제 무대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입증했다.국내 개발 신약 3개 중 1개 이상이 LSK Global PS의 임상시험을 거쳤다. 현재까지 수행한 국내 신약 3상 임상시험만 14건에 달하며, 이는 국내 개발 신약 38개 중 약 40%를 차지하는 수치다. LSK Global PS는 국내 신약개발 성공의 결정적 역할을 하는 필수적인 파트너로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특히 LSK Global PS는 국내 항암제 중 최초로 美 FDA 승인받은 유한양행의 렉라자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렉라자 성공에 일조했다.LSK Global PS 이영작 대표는 "임상시험은 신약개발의 성패를 결정짓는 핵심 과정이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관문"이라면서 “LSK Global PS는 임상시험 대행을 넘어, 신약개발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CRO로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이 대표는 “대한민국 제약산업이 발전하고 세계시장에 진출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최선을 다해 왔다"며 "앞으로도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세계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LSK Global PS를 이끄는 임상 통계 전문가, 이영작 대표LSK Global PS의 성공적인 성장 뒤에는 이영작 대표의 전문성과 리더십이 자리하고 있다. 이 대표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에서 통계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국립암연구소(NIH), 국립신경질환연구소, 국립모자건강연구소등에서 데이터 통계 분석 및 임상 연구를 담당하며 글로벌 임상시험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았다. 1999년 한국으로 귀국한 그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를 겸임하며, 이듬해인 2000년, LSK Global PS를 창립하며 국내 CRO 산업을 본격적으로 선도하기 시작했다. 그의 리더십 아래 LSK Global PS는 국내 최초로 글로벌 대형 CRO와 경쟁해 다국적 제약사의 임상시험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현재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도 신뢰받는 CRO로 자리 잡았다. 이 대표의 연구와 업적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아 세계 3대 권위 인명사전인 ‘마르퀴즈 후즈후(Marquis Who’s Who)’에 등재됐다. 또한 그는 한국임상CRO협회장을 역임하며 국내 CRO 산업 발전에도 이바지했다. 2017년에는 임상시험 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한 환경, 제도 및 규제 개선, 홍보 등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고 2023년에는 ‘과학기술분야 국회공로장 시상식’에서 임상시험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회의장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LSK Global PS 대표이사로서 기업을 이끌어가는 동시에 서경대학교 석좌교수로 활동하며 국내 임상시험 산업 발전과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신약개발 원스톱 풀 서비스(One-Stop Full Service)LSK Global PS는 신약개발 분야에 원스톱 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 목록은 △신약개발 컨설팅 (Consulting Service) △메디컬라이팅 & 리서치(Medical Writing & Research) △ 의약품인허가 및 규제 관련(Regulatory Affairs) △임상시험셋업(Study Start Up) △임상시험운영(Clinical Operation) △임상데이터관리(Data Management) △통계분석(Biostatistics) △신뢰성보증(Quality Assurance) △역학연구(Epidemiological Research)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아카데믹 리서치 서비스(Academic Research Service) 등이다. 국제 기준 충족, 신뢰받는 글로벌 CROLSK Global PS의 지속적인 성장의 핵심 동력은 국제적 수준의 품질 관리와 신뢰성 확보에 있다. LSK Global PS는 다수의 글로벌 CRO 및 제약사의 시스템 감사(System Audit)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실태조사에서 검증된 CRO다. 설립 이후 현재까지 단 한 건의 중대한(Critical) 지적사항도 보고되지 않았다. 이러한 철저한 품질관리는 LSK Global PS가 신뢰받는 임상시험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이다.LSK Global PS 국제 표준 인증인 ‘ISO 9001:2015’(품질경영시스템)와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기준을 충족하는 운영 체계를 구축했다. 데이터 관리(DM) 분야에서도 국제표준을 준수하는 기업에만 주어지는 CCDM® Industry Partners 인증을 SCDM(Society for Clinical Data Management)으로부터 획득하며 데이터 신뢰성을 더욱 강화했다. 이러한 글로벌 수준의 품질 인증은 LSK Global PS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도 신뢰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LSK Global PS는 2016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 등 교육실시기관으로 지정받아 ‘LSK 교육센터’를 개설했다. 임상시험 분야에서 전문성을 유지하고 지속해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인재 양성이 필수적이라는 이영작 대표의 신념 때문이다. LSK 교육센터는 LSK Global PS 내부 직원뿐만 아니라 임상시험에 관심 있는 외부 인력에도 개방돼 있으며,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22년 3월부터는 보다 전문적인 인력 양성을 위해 체계적인 인턴십 프로그램을 도입해 미래 CRO 인재들을 육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350여 명의 임상 전문가가 만드는 강력한 맨파워”LSK Global PS는 2025년 1월 기준, 350여명의 임상시험 전문가로 구성된 강력한 인적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이들은 임상시험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글로벌 수준의 임상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LSK Global PS는 국내 CRO 중 최초로 ‘CCDM Industry Partners’ 데이터 관리 인증을 획득했다. 이 인증은 전 세계적으로 단 16개 기업만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LSK Global PS의 데이터 관리 역량이 글로벌 수준에 부합함을 의미한다. 또한, 국내 CRO 중 유일하게 유럽 EMA(유럽의약품청) 직접 안전성 정보 보고가 가능한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유럽 시장에 진출할 때 신속하고 효율적인 약물감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강점을 제공하고 있다.LSK Global PS Data management 본부는 2024년 10월부터 임상시험 전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고도화된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인 [LSK V1Z]를 제공하고 있다. LSK Global PS의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 [LSK V1Z]는 타 서비스와 차별된 ‘맞춤형’ 서비스를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LSK Global PS는 전자 데이터 수집(EDC) 시스템의 종류와 관계없이 강력한 고객 맞춤형 데이터 리포트와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해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이처럼 맞춤형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CRO는 LSK Global PS가 유일하다.그뿐만 아니라, LSK Global PS는 3명의 전문의를 보유해 임상시험에 대한 컨설팅과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Certified MedDRA Coder 인력과 美 RQAP-GCP(임상시험 품질보증) 자격을 갖춘 품질보증 부서를 운영해 철저한 데이터 관리와 품질 보증을 수행하고 있다. LSK Global PS의 전문 인력과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임상시험을 선도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1691건, 레퍼런스로 증명하는 임상 역량LSK Global PS는 2024년 12월 기준, 총 1691건의 임상시험을 수행했다. 이 중 187건은 글로벌 임상시험이었다. 여기에 현재까지 14개의 국내 개발 신약 3상 임상시험을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 허가된 38개의 개발 신약 중 약 40%에 해당하는 수치다.LSK Global PS는 치료 영역 중 암 관련 임상시험이 269건(국내 198건, 글로벌 71건)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심혈관계 임상시험이 222건(국내 208건, 글로벌 14건)으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내분비계 임상시험이 156건(국내 143건, 글로벌 13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또한 신경계 임상시험은 총 111건(국내 100건, 글로벌 11건), 소화기계 임상시험은 82건(국내 81건, 글로벌 1건), 근골격계 임상시험은 79건(국내 72건, 글로벌 7건)으로 다양한 치료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백신과 감염질환 분야에서도 각각 70건(국내 63건, 글로벌 7건), 63건(국내 55건, 글로벌 8건)의 임상시험이 수행됐다. 뿐만 아니라 소아 자페스펙트럼 장애를 비롯해 난이도 높은 난치성 신경질환 분야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비뇨기계(국내 53건) 및 호흡기계(국내 50건, 글로벌 9건) 임상시험도 활발하게 진행됐다. 임상시험 통계,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임상 연구를 이끌다LSK Global PS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임상통계 전문가와 데이터 분석 인력을 보유한 CRO로, 차별화된 통계적 전문성을 제공하고 있다. 6명의 임상통계 박사와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통계 전문가, 통계 프로그래머(Statistical Programmer)로 구성된 팀이 프로젝트별 전담팀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정밀한 데이터 분석과 수준 높은 통계 결과를 도출해, 기업들에게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LSK Global PS는 글로벌 규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국내 CRO 중 최고 수준의 CDISC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FDA와 유럽 EMA가 CDISC 표준을 의무화한 2010년부터 SDTM(Study Data Tabulation Model)과 ADaM(Analysis Data Model) 서비스를 개시하며, 글로벌 임상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의 표준을 선도해왔다. 이 외에도 최신 임상시험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웨비나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 및 데이터 분석 분야의 인재 양성에도 힘쓰며, 국내 임상시험 산업의 질적 성장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다. [LSK Global PS 주요 경험]
권혁진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