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품질연구재단(회장 전인구)은 대한민국약전을 비롯한 국외 약전의 일반시험법 등을 중심으로 각 시험법의 이론, 장치, 측정원리, 조작법, 응용 및 주요 품질 이슈 등의 교육 내용을 새롭게 편성하여 의약품품질 규제과학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오는 5월21일과 22일 양일간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이번 2차 교육에 이어 올해 7월,9월 11월까지 금년 5차 교육이 진행되며 내년 3월중에 2026년 1차 교육이 예정돼 있는데 올 2회부터 5차례의 전 과정을 수료하는 참가자에게는 의약품품질규제과학 전문가 인증서가 발급된다.
5월 2차교육은 온라인 ZOOM 실시간 강의로 진행되며 강의 종료 다음 주부터 2주 간 다시 보기가 제공된다.
![]() |
사전등록은 지난 3월 21일(금)일 시작되어 오는 5월 19일까지 계속되며 등록은 의약품품질연구재단 홈페이지(pharmq.or.kr) >를 이용하면 된다.
웨비나 관련 자세한 문의는 의약품품질연구재단 사무국 (박지현 (02-359-2091, pharmq.pjh@gmail.com)으로 하면 된다.
![]() |
약업신문이 최근 한국약업사(韓國藥業史) 보정판을 출간했다.
1972년 약업신문이 처음 발간한 한국약업사(韓國藥業史/홍현오 저)는 한국 근대약학 및 약업의 발자취이자 한국약업 성쇠(盛衰)를 망라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창업시대, 유년시대, 혼란시대, 재건시대로 시기를 분류하여 약학, 약업계 관련사(事)를 기술하고 있으며, 후미에 화장품업계 소사(小史)와 주요 약업관련 연표를 덧붙이고 있다.
약업신문은 2024년 창간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약업사 보정판 출간위원회(위원장 심창구 서울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를 구성, 세로쓰기와 한자 중심으로 된 원본 한국약업사의 내용 전부를 현대 한글 맞춤법 표기법에 따라 수정하고, 내용중 일부에 대한 각 주와 연보, 인명색인 등을 재정리 편집하여 한국약업사(보정판)을 출간했다.
함태원 약업신문 대표는 발간사에서 “이 책은 최초 출간 당시 전 약업계의 관심과 이목을 집중시킨바 있으며 이후 많은 연구자들의 참고문헌, 인용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지난 2017년 편찬된 한국약학사(韓國藥學史)를 비롯한 다수 학술지 논문 집필에 중요한 참고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사료적 가치가 큰 책자이지만 이미 절판되어 관심 있는 이들의 동반자가 되지 못하고, 원문 세로쓰기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와 한자어들이 많아 이를 보완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 심창구 서울대약대 명예교수, 김진웅 대한약학회 약학사분과학회 회장을 주축으로 ‘한국약업사 재발간위원회'를 발족, 지난 2년간 재발간 관련 제반사업을 진행하여 그 결과물로 [한국약업사 보정판<補整版>]을 내게 되었다”고 그간의 경위를 소개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축사를 통해 "1972년 약업신문이 발간한 한국약업사는 근대약학과 한국 약업 성장의 역사를 망라한 소중한 기록입니다. 구한말부터 1970년대까지 자칫 소멸하거나 유실될 수 있던 약업계 자료를 한데 모으고, 체계적인 분류기준을 수립해 엮어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한국약업사는 후학들의 연구나 약학 관련 사료 발간에도 가장 중요한 자료로 꾸준히 인용, 활용되어 왔습니다. 한국약업사가 갖는 사료적 의미를 고려할 때 이번 보정판 발간은 참으로 반가운 일입니다."라고 축하의 인사를 전했다.
심창구 출간위원장은 "우리의 시선이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과거사를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을 때 기록으로 남은 역사는 비로소 미래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미래학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보정판 책자 발간의 의미를 정리하고 ‘한국약업사’가 널리 보급되어 모든 약업인들이 근대 한국약업사를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할 수 있게 되기를 진심으로 고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약업사』를 집필한 홍현오 前 약업신문 사장은 1924년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일본 호세이대학(法政大學) 상과를 거쳐 해방 직후 언론계에 투신했다. 여성잡지 『여성계(女性界)』 편집장, 대중잡지 『실화(實話)』, 종합잡지 『신태양(新太陽)』 편집장, 서울신문사 기획위원 및 연감(年鑑) 편찬실장 등을 거쳐 약업신문으로 옮겨 편집국장, 주간, 사장 등을 두루 역임했다. 홍현오 前 사장은 약업신문에 30여 년간 재직하면서 우리나라 의약계와 전문지 발전에 큰 공적을 남긴 전문언론인으로 기억되고 있다.
△ 판형 | 152(W)×225(H)mm / 양장제본
△ 정가 | 100,000원
△ 저 자 | 홍현오
△ 발행처 | 약업신문
△ 구입문의 | 약업신문 출판국 02-3270-0114.
![]() |
약업신문은 최근 ‘Pharmaceuticals in Korea’ 2025년판을 출간했다
‘Pharmaceuticals in Korea’ 2025년판은 한국 제약바이오산업 현황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제약 관련 단체소속 상장/비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30여 곳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한 곳에 모은 영문 책자이다.
2025년판은 개별기업 연구개발(R&D) 관련 파이프라인 보유 및 진행상황, 기업의 3대 경영지표 연도별 현황을 그래픽과 이미지를 활용, 시각화 하여 한 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Pharmaceuticals in Korea’는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 제약기업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성장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21C 글로벌시장을 향한 한국 제약바이오산업과 개별기업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 국내외 정보 소비자에게 매우 유용한 콘텐츠라는 안팎의 평가를 받고 있다.
‘Pharmaceuticals in Korea’ 2025년판은 투자정보/구직정보/기업홍보를 필요로 모든 비즈니스 니즈에 대해 원스톱서비스 자료 및 정보를 담고 있다.
본문은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개황, 기업소개 편으로 구성됐으며 △기업정보 (회사소개 및 주요연혁, 본사 연구소) △경영정보 (주요주주현황, 경영진구성, 주요제품매출현황, 생산실적, 연구개발현황) △재무정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가 담겨져 있다
▲판형: 4х6 변형판 (가로 19cm 세로 24.5cm)
▲분량 : 1,070페이지
▲정가 : 50달러. (한화 6만원)
▲구입문의 : 약업신문사 02-3270-0114,
![]() |
한국제약기술교육원은 2025년도 상반기 제약바이오 GMP 교육 20회 과정을 오는 20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국제약기술교육원은 그동안 국내 약 250여개 제약바이오사 및 관련 기관, 업체의 직원을 대상으로 18년 동안 410회의 과정을 통해 총 13,201명의 수강생을 배출한 GMP•제약기술 전문 교육기관이다.
최근 국제기구 및 각국 규제기관의 GMP 규정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으며, 식약처에서 PIC/S GMP 및 ICH 가이드라인 등과 동일하게 운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25년 교육과정에서는 예년과 달리 최근 강화된 글로벌 GMP 규정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과정과 과목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교육원 측은 GMP 품질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거나 해외 GMP 인증을 목표로 하는 완제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원료의약품 등 제약바이오사 및 제약관련 협력업체 등의 많은 관심과 참여로 각 사의 GMP 시스템의 혁신과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www.kptec.or.kr를 참고하거나 (031)426-0907~8로 문의하면 된다.
![]() |
'藥事年鑑(약사연감) 2025년판'이 최근 발간했다.
약업신문은 지난 1974년 이후 해마다 약사연감을 출간해 오고 있다.
약사연감은 제약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분석과 예측을 통해 새로운 시장창출을 선도하고 최종적으로 업계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발간되고 있다.
2025년판 藥事年鑑은 △제약/바이오 △행정/제도 △건강기능식품 △해외약업 등 총 4부로 구성 되어 있다. 부록으로 약업계 주요인사 3천여명의 최신 프로필이 포함된 인명록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약사연감 2025년판은 특히 최근 각광받고있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에 대한 폭넓은 접근과 해석은 물론 최근 연도별 의약품 생산실적과 주요 제약 바이오기업의 경영분석,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의약산업 전반의 최신 통계 자료와 변화된 약사제도 전반에 관한 해설과 전망이 담겨 있다.
'2025년판 藥事年鑑'은 제약바이오 의약/의료 산업 전반에 걸쳐 분야별로 명확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각종통계와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 있어 경영전략 수립시 구체적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4*6배판 양장본 / 총 982P / 정가 130,000원.
<구입문의 > 02-3270-0114. 약업신문 출판국.
![]() |
![]() |
한국제약기술교육원은 2024년도 하반기 제약바이오 GMP 교육 16개 과정을 8월 27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국제약기술교육원은 그동안 국내 약 250여개 제약바이오사 및 관련 기관, 업체의 직원을 대상으로 16년 동안 395회의 과정을 통해 총 12,728명의 수강생을 배출한 GMP•제약기술 전문 교육기관이다.
현재 국제기구 및 각국 규제기관의 GMP 기준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PIC/S 및 ICH 가이드라인과 동일하게 운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금년 하반기에서는 예년과 다르게 새롭고 강화된 글로벌 규정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과정과 과목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교육원측은 GMP 품질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거나 해외 GMP 인증을 목표로 하는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바이오의약품 등 제약바이오사 및 제약관련 협력업체 등의 많은 관심과 참여로 각 사의 GMP 시스템의 개선 및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www.kptec.or.kr를 참고하거나 (031)426-0907~8로 문의하면 된다.
![]() |
한국제약기술교육원은 2024년도 상반기 제약바이오 GMP 교육 18개 과정을 2월 15일부터 실시한다.
한국제약기술교육원은 그동안 국내 약 250여개 제약바이오사 및 관련 기관, 업체의 직원을 대상으로 16년 동안 377회의 과정을 통해 총 1만2071명의 수강생을 배출한 GMP, 제약기술 전문 교육기관이다.
현재 국제기구 및 각국 규제기관의 GMP 기준이 빠르게 강화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PIC/S 및 ICH 가이드라인과 동일하게 운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올해 상반기에서는 예년과 다르게 새롭고 강화한 글로벌 규정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과정과 과목을 추가해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한국제약기술교육원에서는 GMP 품질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거나 해외 GMP 인증을 목표로 하는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바이오의약품 등 제약바이오사 및 제약관련 협력업체 등의 많은 관심과 참여로 각 사의 GMP 시스템의 개선 및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kptec.or.kr)를 참고하거나 (031)426-0907~8로 문의하면 된다.
한국 PDA는 최신 제약기술 및 GMP 워크숍을 오는 11월20일 서울대학교 시흥캠펴스에서 개최한다.
한국PDA,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서울대학교 연구처가 공동 주최하고 PDA와 Official Partner Inner Space와 함께 진행하는 이번 워크숍은 Risk-Profile Based Training for Aseptic Manufacturing through Advance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를 주제로 실습 교육 등 다양한 내용의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자세한 문의는 pdakorea22@gmail.com으로 하면 된다.
![]() |
△주제 : Risk-Profile Based Training for Aseptic Manufacturing through Advance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주최 : 한국PDA(PDA Korea Chapter),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서울대학교 연구처
△일시 : 2023년 11월 20일(월) 09:00~17:30
△장소 :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교육협력동 1층 109호 대강의실
![]() |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피코엔텍 ‘키스립’, 2025 고객사랑브랜드 숙취해소제 부문 대상 수상 |
2 | 서정진 회장 "트럼프 리스크, 셀트리온 위기 아닌 성장 기회" |
3 | "3일에서 4시간으로" JW중외제약, AWS 헬스오믹스로 신약 성공에 '성큼' |
4 | 2026년 수가협상 개시...의협 "일차 의료 붕괴 직면, 근본 대책 시급" |
5 | 트럼프의 약가 인하 명령, 미국 제약 투자 찬물? |
6 | 한의협, 1차 수가협상서 "실수진자 감소 유일...지속가능성 위기" |
7 | ‘포스트 콜린’ 은행잎추출물, ‘도네페질 병용요법’서 알츠하이머 초기 임상 효과 확인 |
8 | 알지노믹스, 일라이릴리와 'RNA 편집 치료제 개발' 라이선스 체결 성공 |
9 | 샤페론,아토피 치료제 ‘누겔’ 우수한 안전성 결과 국제 학술지 게재 |
10 | 애브비 새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 FDA 가속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