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테라펙스(대표 이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행사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 참가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테라펙스는 이번 행사에서 핵심 파이프라인인 차세대 EGFR 저해제 ‘TRX-221’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외국계 바이오텍들과 기술이전을 위한 파트너십 논의를 활발하게 나눴다.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C797S 돌연변이를 저해하는 4세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4th Generation EGFR-TKI)로, 현재 국내에서 임상 1상 용량상승시험(Dose Escalation Study)의 막바지 단계에 있다.
테라펙스는 TRX-221의 중간 임상 데이터와 함께 자사의 폐암 치료제 개발 전략, 경쟁 파이프라인 대비 차별화된 포지셔닝에 대한 논의를 다양하게 진행했다. 특히 현장에서는 주요 글로벌 빅파마 및 신흥 바이오텍들과의 1 대 1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기술이전(L/O), 공동개발(Co-dev), 글로벌 임상 공동 추진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협의를 이어갔다.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BIO USA에서 글로벌 대형 제약사를 포함한 20여 개 업체와의 실질적인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했다"면서 "특히 TRX-221이 폐암 치료의 새로운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확인한 뜻깊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파트너링을 통해 테라펙스의 R&D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입증하고, 향후 전략적 협업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약업신문 HLB 기사, 팩트 입각한 정론 보도 |
2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 반려 |
3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올해 미국 플로리다서 실용화 추진 |
4 | "지방간 치료 시장 폭발 예고" 최초 MASH 치료제 '레즈디프라' 연매출 1조원 눈앞 |
5 | 릴리, 항체공장 매각...제약기업들,미국내 제조 생산시설 관심↑ |
6 | 바이오스타, 자폐증 재생의료 치료 일본 후생성 승인...치료 시작 |
7 | MSD도 결국 '칼' 뺐다…글로벌 빅파마 구조조정 도미노 |
8 | 퍼스트바이오-디앤디파마텍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NLY02’ 미국 특허 등록 결정 |
9 | 인트론바이오, 대장암 모델 독소제어 실증시험 성공-미국 특허출원 |
10 | GLP-1, 당뇨 치료 넘어서 치매·천식까지 정조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사이테크(Sci-tech) 선도기업 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테라펙스(대표 이구)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행사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 참가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테라펙스는 이번 행사에서 핵심 파이프라인인 차세대 EGFR 저해제 ‘TRX-221’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외국계 바이오텍들과 기술이전을 위한 파트너십 논의를 활발하게 나눴다.
TRX-221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내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C797S 돌연변이를 저해하는 4세대 EGFR 티로신 인산화효소 저해제(4th Generation EGFR-TKI)로, 현재 국내에서 임상 1상 용량상승시험(Dose Escalation Study)의 막바지 단계에 있다.
테라펙스는 TRX-221의 중간 임상 데이터와 함께 자사의 폐암 치료제 개발 전략, 경쟁 파이프라인 대비 차별화된 포지셔닝에 대한 논의를 다양하게 진행했다. 특히 현장에서는 주요 글로벌 빅파마 및 신흥 바이오텍들과의 1 대 1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기술이전(L/O), 공동개발(Co-dev), 글로벌 임상 공동 추진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협의를 이어갔다.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BIO USA에서 글로벌 대형 제약사를 포함한 20여 개 업체와의 실질적인 기술이전 협의를 진행했다"면서 "특히 TRX-221이 폐암 치료의 새로운 옵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확인한 뜻깊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파트너링을 통해 테라펙스의 R&D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입증하고, 향후 전략적 협업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