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R&D 센터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대표 고상석, 이하 IDC)의 자체 특허 물질인 항-CTHRC1 단클론항체(PBP1710)를 기반으로 한 삼중음성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5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생태계 R&D 구축 연구사업' 분야 후보물질 단계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지난 2021년부터 10년간 국내 신약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의 공익 창출 등을 목표로 신약 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IDC는 향후 2년간 연구비 지원을 받아 항체신약 PBP1710 전임상 연구와 공정개발을 본격화하고,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가속화에 나선다.
회사 측에 다르면 PBP1710은 암 진행과 전이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CTHRC1 단백질을 정밀하게 타깃하는 항체신약 후보물질이다. CTHRC1은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며, 종양의 섬유화와 혈관 신생을 유도해 치료제 침투 방해 및 암전이를 촉진한다. PBP1710은 이 기전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암세포 이동과 침윤을 45%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세포 수준에서 확인됐으며, 향후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과제는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단백질이 모두 발현되지 않아 기존 표적치료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난치성 암종으로, 전체 유방암의약 15%를 차지하지만 재발률과 전이율이 높아 환자들의 치료 선택지가 제한적이다. PBP1710은 CTHRC1 단백질을 표적해 삼중음성유방암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과제 연구책임자인 강태흥 신약개발본부장은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은 IDC의 혁신 신약 연구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PBP1710 연구개발 속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치료 대안이 부족한 난치성 고형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스탠드업테라퓨티스·서울대, 세계 최초 '세포초기화'로 '파킨슨병' 완치 제시 |
| 2 |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망막혈관 질병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
| 3 | 보령, 3분기 매출 2800억…영업이익 51% 증가하며 수익성 대폭 개선 |
| 4 | 바이오마커가 임상의 시작이자 끝…“초기 판단이 신약 성패 결정” |
| 5 | 비대면진료 제도화 초읽기…약사회 “플랫폼 왜곡 바로잡아야” |
| 6 | "트럼프 2기 '관세 폭탄'"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생존 전략은? |
| 7 | AI, 신약 개발 전 과정 주도..."'자율화 연구 시스템'으로 혁신 가속화" |
| 8 | K-뷰티, 남미 진출 지금이 적기 |
| 9 |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 차세대 키트루다 도전 ‘PB203' 국가신약 과제 선정 |
| 10 | [전문가 칼럼] 유럽 뷰티, 사후 스킨케어서 예방적 관리로 전환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R&D 센터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대표 고상석, 이하 IDC)의 자체 특허 물질인 항-CTHRC1 단클론항체(PBP1710)를 기반으로 한 삼중음성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이 주관하는 2025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생태계 R&D 구축 연구사업' 분야 후보물질 단계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지난 2021년부터 10년간 국내 신약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의 공익 창출 등을 목표로 신약 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IDC는 향후 2년간 연구비 지원을 받아 항체신약 PBP1710 전임상 연구와 공정개발을 본격화하고,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가속화에 나선다.
회사 측에 다르면 PBP1710은 암 진행과 전이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CTHRC1 단백질을 정밀하게 타깃하는 항체신약 후보물질이다. CTHRC1은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대장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며, 종양의 섬유화와 혈관 신생을 유도해 치료제 침투 방해 및 암전이를 촉진한다. PBP1710은 이 기전을 효과적으로 차단해 암세포 이동과 침윤을 45%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세포 수준에서 확인됐으며, 향후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과제는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단백질이 모두 발현되지 않아 기존 표적치료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난치성 암종으로, 전체 유방암의약 15%를 차지하지만 재발률과 전이율이 높아 환자들의 치료 선택지가 제한적이다. PBP1710은 CTHRC1 단백질을 표적해 삼중음성유방암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새로운 치료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과제 연구책임자인 강태흥 신약개발본부장은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은 IDC의 혁신 신약 연구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PBP1710 연구개발 속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치료 대안이 부족한 난치성 고형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