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젠,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 기술' 日 특허 등록
미국, 유럽, 중국, 한국에 출원…추후 다양한 국가에서 특허등록 기대
입력 2021.08.26 14:36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유전자교정 전문기업 ㈜툴젠(대표 김영호, 이병화)은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방법 관련 일본 특허를 등록했다고 26일 밝혔다. 

툴젠에 따르면 이번 발명은 높은 특이성과 높은 활성을 가지는 표적 특이적 차세대 유전자가위 시스템을 선별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오프 타깃(off-target) 활성 및 온 타깃팅(on-target) 활성을 동시에 확인하는 다중 타깃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세대 유전자가위를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에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발 관련 방법 특허로 유용성이 매우 높다. 현재 일본에서 등록된 특허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중국, 한국에 출원이 돼있어 추후 다양한 국가에서 특허등록이 기대된다. 

해당 기술을 이용하면 오프 타깃(off-target) 효과는 감소하고 온 타깃(on-target)의 효과는 증가된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기능이 향상된 차세대 유전자가위를 발굴할 수 있어 툴젠의 유전자교정 플랫폼 회사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툴젠은 본 발명을 활용해 기존 CRISPR/Cas9 보다 정확하고 우수한 특이성(specificity)을 가진 Sniper-Cas9을 개발해 2018년 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또한 Sniper-Cas9 보다 온 타깃팅 활성이 높고 오프 타깃 활성이 낮은 Sniper-Cas9 2.0까지 개발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회사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기술을 적용해 개발된 Sniper-Cas9 2.0으로 치료제를 개발하면 기능이 향상된 차세대 CRISPR/Cas9 시장을 선점해 나갈 수 있다”라며 “타사가 유사한 방법으로 유전자가위를 개발할 경우 툴젠의 특허권리 행사가 가능하며, UC버클리, 브로드연구소와 같은 그룹들이 차세대 유전자가위들을 개발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밝혔다.

툴젠 김영호 대표이사는 “툴젠은 ZFN, TALEN, CRISPR 유전자가위를 모두 개발한 세계 유일한 기업이며, AAV 유전자 전달기술에 적합한 작은 크기의 Cj-Cas9과 높은 정확도를 갖는 Sniper-Cas9 등 차세대 유전자가위도 개발했다”며 “이번에 일본에 등록된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 방법에 대한 특허를 통해 툴젠의 우수한 기술력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툴젠,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 기술' 日 특허 등록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툴젠, '차세대 유전자가위 개발 기술' 日 특허 등록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