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콩에서 추출된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을 말하는 이소플라본(isoflavones)이 폐경기 후 여성들의 골 손실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텍사스州 휴스턴에 소재한 베일러 의과대학 산하 아동영양연구소의 윌리암 W. 웡 박사 연구팀은 미국 임상영양학회(ASCN)가 발간하는 ‘미국 임상영양학誌’(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1월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의 제목은 ‘폐경기 여성들에게서 콩 이소플라본 섭취와 골밀도의 상관성; 2년 다기관 임상시험’.
웡 박사팀은 40~60세 사이의 폐경기 후 여성 총 403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분류를 거쳐 콩에서 추출된 이소플라본(hypocotyl aglycone isoflavones) 80mg 및 120mg 또는 위약(僞藥)을 2년 동안 매일 섭취토록 하는 방식의 시험을 진행했었다.
시험을 통해 이소플라본 섭취를 통해 폐경기 후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면밀히 관찰코자 했던 것.
이 시험의 피험자들은 예외없이 1일 400mg의 칼슘과 400 IU의 비타민D 섭취를 병행했다. 피험자들은 또 충원과정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골다공증 환자들은 배제된 가운데 시험참여가 확정된 이들이었다.
특히 이 시험은 미국 농무부(USDA)와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의 연구비 지원으로 진행된 것이었다.
그 결과 1일 120mg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했던 그룹에서 2년 후 전신의 골밀도(BMD) 손실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감소했음이 눈에 띄었다.
다만 이 같은 골밀도 손실의 감소가 장기적으로 골절 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됐다. 아울러 이소플라본 섭취가 폐경기 후 여성들에게서 특정한 부위의 골밀도 또는 골 대사와 관련이 있는 생체지표인자, T-점수(T-scores) 등의 변화에는 유의할만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T-점수’란 자신의 골밀도와 젊은 연령층 평균 골밀도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웡 박사는 “장기간에 걸친 콩 섭취가 골밀도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결론지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GEO, GMO와 동일 규제는 족쇄"... 유전자교정 규제 혁신 이뤄져야 |
| 2 | 500억 투입 '한국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신약개발 지형 흔든다 |
| 3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파우더·넥스피어' 세계일류상품 육성사업' 선정 |
| 4 | 로킷헬스케어, ‘자가혈 활성 주사 플랫폼’ 론칭 |
| 5 | 에임드바이오, IPO 공모가 최상단 11,000원 확정…의무보유 확약비율 80.2% |
| 6 | 비보존, VVZ-2471 일본 물질특허 등록 허가…125개 화합물 독점권 확보 |
| 7 | 바이오의 꽃 ‘신약개발 레드바이오’ 흔들린다…VC 선택 기준 ‘사업성’ |
| 8 | 캐나다 앱토즈 바이오사이언스, 한미약품에 인수합병 |
| 9 | DLBCL 치료 패러다임 전환…조기 CAR-T가 생존 곡선 바꾼다 |
| 10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 FDA EOP2 미팅 성공적 종료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콩에서 추출된 식물성 에스트로겐 성분을 말하는 이소플라본(isoflavones)이 폐경기 후 여성들의 골 손실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텍사스州 휴스턴에 소재한 베일러 의과대학 산하 아동영양연구소의 윌리암 W. 웡 박사 연구팀은 미국 임상영양학회(ASCN)가 발간하는 ‘미국 임상영양학誌’(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1월호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의 제목은 ‘폐경기 여성들에게서 콩 이소플라본 섭취와 골밀도의 상관성; 2년 다기관 임상시험’.
웡 박사팀은 40~60세 사이의 폐경기 후 여성 총 403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분류를 거쳐 콩에서 추출된 이소플라본(hypocotyl aglycone isoflavones) 80mg 및 120mg 또는 위약(僞藥)을 2년 동안 매일 섭취토록 하는 방식의 시험을 진행했었다.
시험을 통해 이소플라본 섭취를 통해 폐경기 후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면밀히 관찰코자 했던 것.
이 시험의 피험자들은 예외없이 1일 400mg의 칼슘과 400 IU의 비타민D 섭취를 병행했다. 피험자들은 또 충원과정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골다공증 환자들은 배제된 가운데 시험참여가 확정된 이들이었다.
특히 이 시험은 미국 농무부(USDA)와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의 연구비 지원으로 진행된 것이었다.
그 결과 1일 120mg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했던 그룹에서 2년 후 전신의 골밀도(BMD) 손실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감소했음이 눈에 띄었다.
다만 이 같은 골밀도 손실의 감소가 장기적으로 골절 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됐다. 아울러 이소플라본 섭취가 폐경기 후 여성들에게서 특정한 부위의 골밀도 또는 골 대사와 관련이 있는 생체지표인자, T-점수(T-scores) 등의 변화에는 유의할만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T-점수’란 자신의 골밀도와 젊은 연령층 평균 골밀도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웡 박사는 “장기간에 걸친 콩 섭취가 골밀도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