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1년에 4회만 투여하면 되는 장기지속형 정신분열증 치료제가 FDA의 허가관문을 통과했다.
존슨&존슨社의 계열사인 얀센 파마슈티컬스社는 FDA가 신속심사를 진행한 끝에 3개월마다 1회 투여하는 자사의 장기지속형 이형성 정신분열증 치료제 ‘인베가 트린자’(Invega Trinza: 팔미트산염 팔리페리돈)의 발매를 승인했다고 19일 공표했다.
‘인베가 트린자’는 월 1회 투여제형인 ‘인베가 서스티나’(팔미트산염 팔리페리돈)으로 최소한 4개월 충분히 치료를 진행한 환자들에 한해 사용이 가능하다.
얀센 파마슈티컬스측에 따르면 ‘인베가 트린자’는 장기 유지요법제로 투여한 환자들 가운데 93%에서 정신분열증의 제 증상들이 위중하게 재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인베가 트린자’의 임상 3상 시험결과는 지난 3월 의학저널 ‘미국 의사회誌 정신의학’에 게재된 바 있다. 임상 3상 시험에서 도출된 효용성을 근거로 얀센 파마슈티컬스측은 자료모니터링위원회(IDMC)의 권고를 받아들여 시험을 조기에 중단했었다.
임상시험을 진행했던 미국 미시시피州 플로우드에 소재한 프라이스 리서치센터의 조셉 웬터스 박사는 “주사간격이 연장되어 매일이 아니라 계절 단위로 투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정신분열증 환자 뿐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단기적인 증상조절에 매달리지 않고 증상회복이라는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실제로 ‘인베가 트린자’는 환자들이 약물투여에 매몰되지 않도록 하면서 치료과정의 다른 측면들에도 좀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등 한결 자립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으로 보인다.
얀센 리서치&디벨롭먼트 LLC社의 후세이니 K. 만지 뉴로사이언스 치료제 부문 사장은 “얀센이 지난 50년 이상의 기간 동안 혁신적인 정신건강 치료제와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선도적인 위치를 구축해 왔다”며 “이번에 허가를 취득한 ‘인베가 트린자’가 정신분열증을 치료하는 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즉, ‘인베가 서스티나’로 최소한 4개월 치료를 진행했던 환자와 의사들이 3개월마다 1회 투여하는 ‘인베가 트린자’로 매끄럽게 약물치료법을 전환할 수 있게 되리라는 설명이다.
얀센측은 ‘인베가 트린자’가 다음달 중순경부터 시장에 발매되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임상 3상 시험에서 ‘인베가 트린자’는 ‘인베가 시스티나’와 궤를 같이하는 안전성 및 내약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능-위험성 프로필 측면에서 새로운 문제점이 눈에 띄지도 않았다.
‘인베가 트린자’는 아일랜드 제약기업 앨커미스社(Alkermes)가 특허를 보유한 ‘나노크리스탈’(NanoCrystal) 기술이 적용되어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를 높인 제품이다.
현재 미국 내 성인 정신분열증 환자 수는 약 24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신풍제약, 3Q 누적 매출 1766억 원, 전년比 6.5%↑...영업익 · 순익 흑자전환 |
| 2 | 베일 벗는 '약가유연계약제'...기존 보다 '품목확대 · 요건 완화' 검토 |
| 3 | 비대면진료 법제화 앞두고 산업계·약계 정면충돌 |
| 4 | [기업분석] 실리콘투 3분기 매출 2994억…전년比 60.4%↑ |
| 5 | “인재 양성, 내게 맡겨라” SNU제약바이오인력양성센터 ‘실습·AI·글로벌’ 전략 강화 |
| 6 | GSK도 마일로이드 시장 합류…“T세포 다음은 이쪽이다” |
| 7 | 美 바이킹 테라 비만 치료제 임상 3상 본격화 |
| 8 | 디티앤씨알오, 임상사업부 신임 사장에 조두연 사장 선임 |
| 9 | 2분기 화장품산업, 중견기업이 끌고갔다 |
| 10 | 동성제약, 3Q 누적매출 681억 원·영업손실 30억 원…적자 기조 지속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1년에 4회만 투여하면 되는 장기지속형 정신분열증 치료제가 FDA의 허가관문을 통과했다.
존슨&존슨社의 계열사인 얀센 파마슈티컬스社는 FDA가 신속심사를 진행한 끝에 3개월마다 1회 투여하는 자사의 장기지속형 이형성 정신분열증 치료제 ‘인베가 트린자’(Invega Trinza: 팔미트산염 팔리페리돈)의 발매를 승인했다고 19일 공표했다.
‘인베가 트린자’는 월 1회 투여제형인 ‘인베가 서스티나’(팔미트산염 팔리페리돈)으로 최소한 4개월 충분히 치료를 진행한 환자들에 한해 사용이 가능하다.
얀센 파마슈티컬스측에 따르면 ‘인베가 트린자’는 장기 유지요법제로 투여한 환자들 가운데 93%에서 정신분열증의 제 증상들이 위중하게 재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인베가 트린자’의 임상 3상 시험결과는 지난 3월 의학저널 ‘미국 의사회誌 정신의학’에 게재된 바 있다. 임상 3상 시험에서 도출된 효용성을 근거로 얀센 파마슈티컬스측은 자료모니터링위원회(IDMC)의 권고를 받아들여 시험을 조기에 중단했었다.
임상시험을 진행했던 미국 미시시피州 플로우드에 소재한 프라이스 리서치센터의 조셉 웬터스 박사는 “주사간격이 연장되어 매일이 아니라 계절 단위로 투여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정신분열증 환자 뿐 아니라 의료진에게도 단기적인 증상조절에 매달리지 않고 증상회복이라는 목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실제로 ‘인베가 트린자’는 환자들이 약물투여에 매몰되지 않도록 하면서 치료과정의 다른 측면들에도 좀 더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는 등 한결 자립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으로 보인다.
얀센 리서치&디벨롭먼트 LLC社의 후세이니 K. 만지 뉴로사이언스 치료제 부문 사장은 “얀센이 지난 50년 이상의 기간 동안 혁신적인 정신건강 치료제와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선도적인 위치를 구축해 왔다”며 “이번에 허가를 취득한 ‘인베가 트린자’가 정신분열증을 치료하는 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즉, ‘인베가 서스티나’로 최소한 4개월 치료를 진행했던 환자와 의사들이 3개월마다 1회 투여하는 ‘인베가 트린자’로 매끄럽게 약물치료법을 전환할 수 있게 되리라는 설명이다.
얀센측은 ‘인베가 트린자’가 다음달 중순경부터 시장에 발매되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임상 3상 시험에서 ‘인베가 트린자’는 ‘인베가 시스티나’와 궤를 같이하는 안전성 및 내약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효능-위험성 프로필 측면에서 새로운 문제점이 눈에 띄지도 않았다.
‘인베가 트린자’는 아일랜드 제약기업 앨커미스社(Alkermes)가 특허를 보유한 ‘나노크리스탈’(NanoCrystal) 기술이 적용되어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도를 높인 제품이다.
현재 미국 내 성인 정신분열증 환자 수는 약 24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