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가 심폐소생술(CPR) 및 응급심혈관치료(ECC) 분야의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에 자사 연구를 등재시키며 글로벌 수준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뷰노는 19일 AI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VUNO Med®–DeepCARS®(이하 DeepCARS)와 관련한 연구가 미국 병원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 최근 발간한 '2025 AHA Guidelines for CPR & ECC'(이하 2025 AHA 가이드라인) 근거 문헌으로 인용됐다고 밝혔다. 2025 AHA 가이드라인은 심폐소생술 및 응급심혈관치료의 국제 표준을 제시하는 문서로, 국제 의료표준화 조직 ILCOR가 발표한 최신 과학적 근거 기반 권고안을 토대로 개발됐다.
이중 뷰노 연구는 병원 내 심정지 예방(IHCA Prevention) 파트에 인용됐다.
가이드라인은 "병원 내 심정지 예방을 위해 조기경보 시스템을 사용하라"고 권고하며 “입원 환자 상태 악화를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이 최근 개발됐고, 기존 시스템보다 더 성능이 뛰어나 임상적 악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분에서 뷰노는 미국 시카고 의대 연구와 함께 유일하게 제품 기반 근거 문헌으로 인용됐다.
뷰노의 해당 연구는 지난해 중환자의학 국제 권위지 ‘Critical Care Medicine’에 게재된 논문으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중환자의학·마취통증의학과 김정민 교수팀과 진행했다. 환자 약 10만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DeepCARS가 알람 수를 최대 63% 줄이면서 예측 정확도를 유지했으며 신속대응시스템이 부재한 시간에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해 다양한 임상환경에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주성훈 뷰노 CTO는 "이번 가이드라인 인용은 뷰노의 글로벌 연구 경쟁력을 보여주는 주요 성과"라며 "의료 현장에 도입된 지 4년차인 DeepCARS는 그동안 다수 전향적·후향적 연구를 통해 효과와 가치를 검증했으며, 현재는 중재연구와 RCT 등 보다 높은 근거 수준 연구를 이어가며 임상적 유효성 증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뷰노는 국제 학술지 및 주요 학회에서 200편 이상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AI 의료기기 분야 근거 기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툴젠, CRISPR Cas9 RNP 원천 기술 미국 특허 등록…"CASGEVY 관련 미국 소송 제기" |
| 2 | 비만치료제 GLP-1 대규모 가격 인하, 국내 시장 영향은? |
| 3 | BMS, ‘서울-BMS 이노베이션 스퀘어 챌린지’ 우승 기업 선정 |
| 4 | 지아이이노베이션,GI-102-GIB-7 병용요법 호주 임상2a상 IND 승인 |
| 5 |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환자·의료진·제약사 모두 지키는 ‘공적 안전망’ |
| 6 | 2025 글로벌 뷰티, 기능·감정·회복으로 축 이동 |
| 7 | "폐암, 치료제만으론 한계... '검진확대' 생명 구한다" |
| 8 | 에임드바이오 “IPO로 연구개발 집중…지속적인 신약 기술이전 구조 구축" |
| 9 | 셀리드,두경부암 면역치료백신 'BVAC-E6E7' 임상 본격 추진 |
| 10 | ‘위고비’ 유발 구역ㆍ구토 트래디피탄트 덕 50% ↓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대표 이예하)가 심폐소생술(CPR) 및 응급심혈관치료(ECC) 분야의 최신 국제 가이드라인에 자사 연구를 등재시키며 글로벌 수준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
뷰노는 19일 AI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VUNO Med®–DeepCARS®(이하 DeepCARS)와 관련한 연구가 미국 병원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 최근 발간한 '2025 AHA Guidelines for CPR & ECC'(이하 2025 AHA 가이드라인) 근거 문헌으로 인용됐다고 밝혔다. 2025 AHA 가이드라인은 심폐소생술 및 응급심혈관치료의 국제 표준을 제시하는 문서로, 국제 의료표준화 조직 ILCOR가 발표한 최신 과학적 근거 기반 권고안을 토대로 개발됐다.
이중 뷰노 연구는 병원 내 심정지 예방(IHCA Prevention) 파트에 인용됐다.
가이드라인은 "병원 내 심정지 예방을 위해 조기경보 시스템을 사용하라"고 권고하며 “입원 환자 상태 악화를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이 최근 개발됐고, 기존 시스템보다 더 성능이 뛰어나 임상적 악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분에서 뷰노는 미국 시카고 의대 연구와 함께 유일하게 제품 기반 근거 문헌으로 인용됐다.
뷰노의 해당 연구는 지난해 중환자의학 국제 권위지 ‘Critical Care Medicine’에 게재된 논문으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중환자의학·마취통증의학과 김정민 교수팀과 진행했다. 환자 약 10만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DeepCARS가 알람 수를 최대 63% 줄이면서 예측 정확도를 유지했으며 신속대응시스템이 부재한 시간에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해 다양한 임상환경에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주성훈 뷰노 CTO는 "이번 가이드라인 인용은 뷰노의 글로벌 연구 경쟁력을 보여주는 주요 성과"라며 "의료 현장에 도입된 지 4년차인 DeepCARS는 그동안 다수 전향적·후향적 연구를 통해 효과와 가치를 검증했으며, 현재는 중재연구와 RCT 등 보다 높은 근거 수준 연구를 이어가며 임상적 유효성 증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뷰노는 국제 학술지 및 주요 학회에서 200편 이상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AI 의료기기 분야 근거 기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